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美 관세 조치에 대한 주요국 대응과 시사점

□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무역적자 해소와 제조업 부흥을 목표로 광범위한 관세 조치 단행
  • ․멕시코․중국에 대해 최대 25% 관세를 부과하며 시작된 관세 조치는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별 관세를 거쳐 전세계․전품목 대상 보편관세 및 상호관세로 확대
- 관세 부과 근거로 국가비상경제권한법(IEEPA)과 무역확장법 232조 등 의회 승인 없이 행정부 단독 관세 부과가 가능한 수단을 활용
  • 상호관세 행정명령에서 상대국의 대응에 따라 관세율 상향 또는 하향이 가능함을 명시 
□ 주요국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맞불(보복)’ 조치부터 ‘관세인하(협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
- 국가별 대응 강도에 따라 보복, 유보, 신중, 협력 및 협상, 협조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품목별 특성이나 미국의 반응에 따라 이들 전략을 적절히 혼합하여 활용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
국가 대응책
EU 보복 및 
협상 병행
즉시 보복관세(최대 25%) 부과를 발표한 것과 달리 상호관세에 대해서는 상호무관세 등 적극적인 협상 의지 피력
멕시코 유보 미국의 관세 부과에 강경 대응 의사를 밝히되 시행은 일단 유보하여 협상 여지를 남김
영국 신중 EU의 보복 조치에 동참하지 않고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가운데 미국과 대화 지속
호주 협상 보복 조치를 배제하고 미국과 지속 협상 방침
일본
협상 및 
협조
미국과 지속적인 대화와 협력을 통해 관세 면제를 이끌어 낸다는 입장
인도 협조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관세 인하디지털서비스세 폐지 추진 등 미국과 우호적인 관계 유지를 위한 노력 지속
베트남 협조 대미 무역 의존도가 높은 베트남은 관세 인하에 협조하는 동시에 미국의 상호관세 연기를 위해 미국산 수입품 관세 철폐 및 구매 확대를 약속
 
□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조치를 선(先) 발표하고 후(後) 협상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보복 조치에 대해서는 재보복으로 대응
  • 관세 면제․연기에도 불구 보편관세 및 품목별 232조 관세 조치는 여전히 유효하며,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 속 미국의 구체적인 목표는 여전히 불명확
 
□ 미국의 관세 조치뿐만 아니라 주요국의 보복관세 동향도 면밀히 파악하여 추가적인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유의
- 한국 기업은 정부 지원 사업을 활용하여 관세 충격에 따른 피해 최소화 필요

 
 

목차

목차 1

Ⅰ. 트럼프 2기 행정부 주요 관세 조치 1

Ⅱ. 주요국 대응 2

Ⅲ. 시사점 7

해시태그

#트럼프 2기 # 관세조치 # 보복관세 # 미국관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美 관세 조치에 대한 주요국 대응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