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18일 국무회의에서 산불대응 및 통상ㆍAI 지원 등을 위한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함
ㅇ 금번 추경예산안은 총 12.2조원 규모로 ① 재해ㆍ재난대응 3.2조원, ② 통상 리스크 대응 및 AI 경쟁력 제고 4.4조원, ③ 민생 지원 4.3조원, ④ 기타(국채이자, 주요행사 개최 등) 0.2조원으로 구성됨.
ㅇ 추경의 재원은 세계잉여금 및 기금 여유재원 등 가용재원 4.1조원 활용하고, 부족한 8.1조원은추가 국채 발행을 통해 조달함. 추경안은 4.22(화) 국회에 제출할 계획임
ㅇ 지난 2022년 5월 이후로 약 3년 만에 마련된 추경안이며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내놓는 역대 첫 추경이기도 함
□ 시급한 현안과 직접 관련되고, 연내 신속 집행이 가능한 사업을 중심으로 총 14개 부처의 93개 사업을 추려냈다면서 '필수 추경'이라는 타이틀을 달아서 발표함
ㅇ 영남권 산불 피해, 미국발 관세 충격 등으로 추가재정 투입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결과임
ㅇ 3대 사업 분야로 ▲ 재해·재난 대응에 3조2천억원 ▲ 통상·인공지능(AI) 지원에 4조4천억원▲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에 4조3천억원을 각각 투입함. 최근의 산불피해와 더불어 여름철 태풍·집중호우 등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예산국회에서 감액된 예비비 가운데 1조4천억원을 증액함. 그밖에 국채이자 등으로 약 2천억원을 배정함
□ 추경 재원으로는 기금 자금을 비롯한 가용재원 4조1천억원을 투입하고, 나머지 8조1천억원은 국채 발행으로 조달할 예정으로, 그만큼 재정적자 규모는 불어나게 될 전망임
ㅇ 국가채무는 1천273조원에서 1천279조원으로 6조원가량 증가함.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48.4%를 기록하게 됨.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73조9천억원에서 84조7천억원으로 10조9천억 증가함. GDP 대비 적자 비율은 2.8%에서 3.2%로 상향조정되면서 재정준칙 한도(3%)를 웃돌게 됨
ㅇ 올해 총지출은 당초 673조3천억원에서 685조5천억원으로 늘어나며 전년 대비 총지출 증가율도 2.5%에서 4.4%로 높아짐
ㅇ 총수입도 한국은행 잉여금 초과수납분, 지방채 이자수입 등이 반영되면서 651조6천억원에서 652조8천억원으로 1조3천억원 증가하게 됨
□ 이번 추경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편성된 62조원 규모의 추경 이후로 약 3년만에 추진되는 것임
ㅇ 앞서 정부는 2022년 5월 코로나19 장기화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자영업자 손실보상을 위해 59조원의 추경을 내놨고, 62조원 규모로 국회를 통과함
ㅇ 지난 4일 대통령 파면으로 윤석열 정부가 간판을 내린 상황에서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편성된 첫번째 추경이기도함
□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인포그래픽

[출처]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2025.04.18.)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산불·통상·소상공인' 12.2조 필수추경…경기 마중물엔 역부족 (2025.04.18.) / 연합뉴스
ㅇ 금번 추경예산안은 총 12.2조원 규모로 ① 재해ㆍ재난대응 3.2조원, ② 통상 리스크 대응 및 AI 경쟁력 제고 4.4조원, ③ 민생 지원 4.3조원, ④ 기타(국채이자, 주요행사 개최 등) 0.2조원으로 구성됨.
ㅇ 추경의 재원은 세계잉여금 및 기금 여유재원 등 가용재원 4.1조원 활용하고, 부족한 8.1조원은추가 국채 발행을 통해 조달함. 추경안은 4.22(화) 국회에 제출할 계획임
ㅇ 지난 2022년 5월 이후로 약 3년 만에 마련된 추경안이며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내놓는 역대 첫 추경이기도 함
□ 시급한 현안과 직접 관련되고, 연내 신속 집행이 가능한 사업을 중심으로 총 14개 부처의 93개 사업을 추려냈다면서 '필수 추경'이라는 타이틀을 달아서 발표함
ㅇ 영남권 산불 피해, 미국발 관세 충격 등으로 추가재정 투입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결과임
ㅇ 3대 사업 분야로 ▲ 재해·재난 대응에 3조2천억원 ▲ 통상·인공지능(AI) 지원에 4조4천억원▲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에 4조3천억원을 각각 투입함. 최근의 산불피해와 더불어 여름철 태풍·집중호우 등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예산국회에서 감액된 예비비 가운데 1조4천억원을 증액함. 그밖에 국채이자 등으로 약 2천억원을 배정함
□ 추경 재원으로는 기금 자금을 비롯한 가용재원 4조1천억원을 투입하고, 나머지 8조1천억원은 국채 발행으로 조달할 예정으로, 그만큼 재정적자 규모는 불어나게 될 전망임
ㅇ 국가채무는 1천273조원에서 1천279조원으로 6조원가량 증가함.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48.4%를 기록하게 됨.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73조9천억원에서 84조7천억원으로 10조9천억 증가함. GDP 대비 적자 비율은 2.8%에서 3.2%로 상향조정되면서 재정준칙 한도(3%)를 웃돌게 됨
ㅇ 올해 총지출은 당초 673조3천억원에서 685조5천억원으로 늘어나며 전년 대비 총지출 증가율도 2.5%에서 4.4%로 높아짐
ㅇ 총수입도 한국은행 잉여금 초과수납분, 지방채 이자수입 등이 반영되면서 651조6천억원에서 652조8천억원으로 1조3천억원 증가하게 됨
□ 이번 추경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편성된 62조원 규모의 추경 이후로 약 3년만에 추진되는 것임
ㅇ 앞서 정부는 2022년 5월 코로나19 장기화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자영업자 손실보상을 위해 59조원의 추경을 내놨고, 62조원 규모로 국회를 통과함
ㅇ 지난 4일 대통령 파면으로 윤석열 정부가 간판을 내린 상황에서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편성된 첫번째 추경이기도함
□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인포그래픽
[출처]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2025.04.18.)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산불·통상·소상공인' 12.2조 필수추경…경기 마중물엔 역부족 (2025.04.18.) / 연합뉴스
목차
표제지 1
목차 2
Ⅰ. 추경 편성방향 3
Ⅱ. 재정총량 변화 4
Ⅲ. 추경안 주요내용 5
1. 재해ㆍ재난 대응 6
1. 신속한 산불 피해 복구 지원 6
2. 재해ㆍ재난 예방ㆍ대응력 강화 6
3. 항공 및 노후 하수관로ㆍ도로 안전투자 7
2. 통상 및 AI 지원 8
1. 통상 리스크 대응 8
2. 국내 AI 생태계 혁신 10
3. 반도체 등 첨단전략산업 경쟁력 제고 11
3. 민생 지원 12
1. 소상공인 비용부담 경감 12
2. 영세 사업자 매출기반 확충 13
3. 취약계층 생활안정 지원 13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산불대응 및 통상·AI 지원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