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북극 해빙이 가속화되며, 북극은 협력과 보존의 공간에서 전략자산의 투사, 자원 확보, 해상 통로 통제의 공간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그린란드 매입 추진, 툴레기지 현대화, 북극항로 통제 의사 등 공세적 조치를 통해 북극을 미국 전략질서의 핵심 전장으로 상정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미국은 러시아의 북극군 증강 및 중국의 ‘빙상 실크로드’ 전략에 대응해 2024년 美국방부 주도의 북극 전략을 개정하였으며, 우주·해양·북극 전장의 통합, 감시·대응체계 강화, 나토와의 북극사령부 및 대공통합미사일방어(IAMD) 체계 연계를 핵심으로 한다. 한편, 미국은 나토 회원국과의 전략 공조를 바탕으로 ‘푸른북극(Blue Arctic)’ 전략하에 북극 안보태세 강화를 추진 중이며, 북극사령부 창설을 위한 논의가 2025년 나토정상회의를 전후해 본격화될 전망이다. 반면, 북서항로(NWP)를 둘러싼 미국-캐나다 간 이견, 러시아·중국과의 하이브리드 전력 경쟁 심화 등 북극의 전략적 불확실성도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북극전략의 변화와 나토와의 전략제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한국의 정책적 대응을 제안한다. 한국은 LNG·조선·물류·디지털 플랫폼 등 다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이 크며, 북극항로의 상업화 및 안보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북극전략 종합계획’ 수립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에너지 공급망 확보, 친환경 선박 개발, 극지 인프라 투자, 국제연구협력 확대 및 외교 역량 제고 등을 포괄하는 3대 이니셔티브 기반의 실행 로드맵이 요구된다.
(출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출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목차
표제지 1
목차 2
국문초록 3
Ⅰ. 서론 4
Ⅱ. '러시아와 중국 견제'를 위한 군사적 요충지로서 북극 6
1. 미ㆍ중ㆍ러 전략 경쟁의 전개 6
2. 미국의 북극 전략 개정 (24.7.21.) 8
3. 미국-나토 동맹간 전략적 제휴: 북극사령부의 출범 9
Ⅲ. 결론 12
1. 전망 12
2. 시사점 13
참고문헌 15
Abstract 1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패권 경쟁의 요충지로서 북극 : 트럼프 2기 미국의 북극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