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주요 내용
ㅇ CSIS(전략국제문제연구소)와 CEPA(유럽정책분석센터)가 공동 연구하여 발간한 『침체되었지만 무너지지 않음: 서방 제재 하의 러시아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경제는 서방 제재에도 불구하고 예상보다 잘 버티고 있으며, 심지어 2023~2024년에는 성장세를 보임
ㅇ 이는 고강도 자본 통제, 적극적인 정부 재정 지출(군비 조달 및 사회 보조금), 유가 상승, 자국 내 투자 확대 등으로 가능했던 결과
ㅇ 하지만 이러한 ‘회복력’은 미래의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저당 잡힌 대가라는 점도 지적함
ㅇ 러시아는 ‘전시경제(wartime economy)’ 구조를 활용하여 내부 지지층(군수 산업, 친정부 기업가, 저소득층)을 경제적으로 결속시키고 있음
2. 서방 제재의 효과와 한계
ㅇ 2022년 이후 러시아 중앙은행 외환보유고 동결, SWIFT 배제, 첨단 기술 수출금지 등 강력한 제재가 가해졌으나, 러시아는 에너지 수출 다변화(중국·인도·터키), 국내 생산 확대, 국영기업 중심의 재정 확대로 제재를 부분적으로 우회함
ㅇ 유럽 가스 시장은 상당 부분 상실했지만, 석유 수출과 전쟁경제 기반의 내수 경기 부양으로 버티고 있음
ㅇ 제재를 예견해 2014년 크림 사태 이후부터 축적해 온 외환·재정 안전망, 이른바 '포트리스 러시아(Fortress Russia)' 전략이 완충 역할을 수행함
3. 러시아 내부 경제적 변화
ㅇ 실질 임금 상승과 소비 붐 현상이 있었음, 특히 군수 산업과 부동산 분야에서의 내부 투자 증가가 눈에 띔
ㅇ 외국 기업의 러시아 철수로 친정부 기업가들이 헐값에 자산을 매입하며, 결과적으로 새로운 친정부 재벌층이 형성됨
ㅇ 이민 감소, 징집 확대, 인구 감소 등의 원인으로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화되어 임금 상승 압력과 인플레이션이 가중됨
ㅇ 기술 수입이 차단되어 생산성과 성장 지속 가능성은 약화됨
4. 서방에 대한 정책 제안
ㅇ 보고서는 서방의 기존 대(對)러 제재가 경제적 제약 측면에서 효과를 보기보다는 러시아의 정치적 결속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으므로, 전략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함
ㅇ 구체적으로, 기술·부품·이중용도 물자에 대한 제재 강화는 유지하고, 중앙아시아 송금 제한 및 전문 인력 유출 촉진 등 노동시장 압박 전략을 활용해야 함
ㅇ 에너지 수출에 대한 통제 강화와 함께, 동시다발적인 금융·에너지 부문 추가 제재의 필요성을 제시함
ㅇ 러시아 중앙은행의 동결된 외환보유고를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책임 분담에 대한 협상 카드로 남겨두는 전략을 취해야 함
ㅇ CSIS(전략국제문제연구소)와 CEPA(유럽정책분석센터)가 공동 연구하여 발간한 『침체되었지만 무너지지 않음: 서방 제재 하의 러시아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경제는 서방 제재에도 불구하고 예상보다 잘 버티고 있으며, 심지어 2023~2024년에는 성장세를 보임
ㅇ 이는 고강도 자본 통제, 적극적인 정부 재정 지출(군비 조달 및 사회 보조금), 유가 상승, 자국 내 투자 확대 등으로 가능했던 결과
ㅇ 하지만 이러한 ‘회복력’은 미래의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저당 잡힌 대가라는 점도 지적함
ㅇ 러시아는 ‘전시경제(wartime economy)’ 구조를 활용하여 내부 지지층(군수 산업, 친정부 기업가, 저소득층)을 경제적으로 결속시키고 있음
2. 서방 제재의 효과와 한계
ㅇ 2022년 이후 러시아 중앙은행 외환보유고 동결, SWIFT 배제, 첨단 기술 수출금지 등 강력한 제재가 가해졌으나, 러시아는 에너지 수출 다변화(중국·인도·터키), 국내 생산 확대, 국영기업 중심의 재정 확대로 제재를 부분적으로 우회함
ㅇ 유럽 가스 시장은 상당 부분 상실했지만, 석유 수출과 전쟁경제 기반의 내수 경기 부양으로 버티고 있음
ㅇ 제재를 예견해 2014년 크림 사태 이후부터 축적해 온 외환·재정 안전망, 이른바 '포트리스 러시아(Fortress Russia)' 전략이 완충 역할을 수행함
3. 러시아 내부 경제적 변화
ㅇ 실질 임금 상승과 소비 붐 현상이 있었음, 특히 군수 산업과 부동산 분야에서의 내부 투자 증가가 눈에 띔
ㅇ 외국 기업의 러시아 철수로 친정부 기업가들이 헐값에 자산을 매입하며, 결과적으로 새로운 친정부 재벌층이 형성됨
ㅇ 이민 감소, 징집 확대, 인구 감소 등의 원인으로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화되어 임금 상승 압력과 인플레이션이 가중됨
ㅇ 기술 수입이 차단되어 생산성과 성장 지속 가능성은 약화됨
4. 서방에 대한 정책 제안
ㅇ 보고서는 서방의 기존 대(對)러 제재가 경제적 제약 측면에서 효과를 보기보다는 러시아의 정치적 결속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으므로, 전략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함
ㅇ 구체적으로, 기술·부품·이중용도 물자에 대한 제재 강화는 유지하고, 중앙아시아 송금 제한 및 전문 인력 유출 촉진 등 노동시장 압박 전략을 활용해야 함
ㅇ 에너지 수출에 대한 통제 강화와 함께, 동시다발적인 금융·에너지 부문 추가 제재의 필요성을 제시함
ㅇ 러시아 중앙은행의 동결된 외환보유고를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책임 분담에 대한 협상 카드로 남겨두는 전략을 취해야 함
목차
Introduction 1
Part I: The Onset of the 2022 Sanctions Regime and Its Impact on the Russian Economy 2
Part II: The Lessons Russia Learned from the 2014 Sanctions Regime 6
Part III: Putin Thought His Full-Scale Invasion Was Worth the Risks 8
Part IV: The Power of the Purse, or How the Kremlin Has So Far Managed to Strengthen Its Wartime Domestic Position 10
Policy Recommendations 13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Down But Not Out: The Russian Economy Under Western Sanctions
(침체되었지만 무너지지 않음: 서방 제재 하의 러시아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