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 이행 현황 및 대응 방안 연구

목차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1

Ⅰ. 서론 21

1. 연구목적 22

2. 연구내용 25

3. 연구방법 26

가. 문헌연구 26

나. 면담조사(FGI) 26

다. 수요자 부모 대상 설문조사 27

라. 자문회의 28

4. 연구범위 및 절차 29

5. 연구배경 33

가. 국내 디지털 전환 문헌 고찰 33

나. 국외 디지털 전환 문헌 고찰 36

Ⅱ. 육아 분야 주요 부문 디지털 전환 이행 현황 48

1. 육아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51

가. 육아 분야 주요 플랫폼 현황 52

나. 정부-지자체 육아/돌봄 플랫폼의 디지털 전환 이행 66

2. 취학전 교육과정 운영 77

가. 디지털 교육 체제로의 전환 77

나. 유아교육ㆍ보육 분야에서의 디지털 전환 90

다. 교육과정 디지털 전환에 대한 소결 96

3. 위기아동 발굴 지원을 위한 e아동행복지원시스템 : 아동복지급여ㆍ서비스 제공을 넘어 아동학대 예방 활용으로 97

가. 아동 복지급여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사례 : 행복e음(2010~)부터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2022~)까지 98

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과 다양한 사회보장 빅데이터를 연계 구축하여 위기가구를 발굴 및 지원하는 최초의 디지털 전환 사례 :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2015~) 100

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과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 정보 기반으로 아동학대 고위험군 발굴 및 양육 지원을 위한 디지털 전환 사례 : e아동행복지원시스템(2018~) 102

4. 아동 건강ㆍ의료-발달지원 연계 113

가. 공공 서비스 113

나. 민간 서비스 114

다. 자료의 축적 및 인프라 구축 117

라. 해외의 아동 통합데이터 체계 구축 117

Ⅲ.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 요구 및 의견 분석 121

1. 수요자 부모 FGI 분석 122

가. 연구방법 122

나. 연구내용 124

2. 공급자 FGI 분석 136

가. 연구 방법 136

나. 연구내용 139

다. 소결 153

3. 부모 설문조사 결과 155

가. 응답자특성 155

나. 육아 분야(교육ㆍ돌봄 포함) 디지털 전환 이용 현황 및 의견 159

다. 디지털 역량 192

라. 자녀 미디어 이용 현황 195

마.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에 대한 평가 및 우선 순위 200

Ⅳ.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 이행 과제 및 로드맵 210

1.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 이행 점검과 과제 211

가. 연구결과 개요 211

나. 디지털 역량과 접근성의 차이(격차) - 디지털 교육, 안내의 중요성 215

다. 전 생애주기 찾아가는 디지털 육아지원체계 : 육아지원 및 교육ㆍ돌봄 - 개별화 된 맞춤형 설계로 전환(pivoting) 215

라. 디지털 역량과 윤리의 중요성 216

마. 공-사 민관협력과 거버넌스 구축 및 활성화 217

바. 데이터 체계 구축 및 플랫폼 연계 217

사. 아동중심의 디지털 환경 구축 전략 220

2. 육아 분야 DX 이행 로드맵안 220

참고문헌 225

Abstract 234

[부록 1] 설문조사 236

[부록 2] FGI 질문지(부모, 교사) 255

판권기 3

〈표 Ⅰ-3-1〉 면담조사 수행 27

〈표 Ⅰ-3-2〉 면담조사 일정 27

〈표 Ⅰ-3-3〉 자문회의 개최 28

〈표 Ⅰ-5-1〉 국내 최신 영유아 교육보육 분야 디지털 전환 관련 연구 34

〈표 Ⅰ-5-2〉 국내 최신 영유아 교육보육 분야 디지털 놀이 관련 연구 35

〈표 Ⅰ-5-3〉 디지털 환경에서의 다차원적 영유아 보호 현황 37

〈표 Ⅰ-5-4〉 정책 지침 39

〈표 Ⅰ-5-5〉 디지털 시대의 도전과제 42

〈표 Ⅰ-5-6〉 전자정부(e-government)의 정의 44

〈표 Ⅰ-5-7〉 아동의 연령별 디지털 정부의 서비스 45

〈표 Ⅰ-5-8〉 아동 및 가족과 관련된 공공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촉진 요소 45

〈표 Ⅰ-5-9〉 아동 친화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요인 46

〈표 Ⅰ-5-10〉 아동 친화적인 디지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부의 직면 과제 46

〈표 Ⅰ-5-11〉 디지털 공공 서비스를 위한 권고 사항 47

〈표 Ⅱ-1-1〉 정부24-원스톱/생애주기/꾸러미 서비스 제공 육아 분야 목록 53

〈표 Ⅱ-1-2〉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서비스 제공 목록 54

〈표 Ⅱ-1-3〉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상담 서비스 목록 55

〈표 Ⅱ-1-4〉 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 서비스 제공 목록 59

〈표 Ⅱ-1-5〉 부산시 당신처럼 애지중지 플랫폼 서비스 제공 목록 60

〈표 Ⅱ-1-6〉 광주 아이 키움 서비스 제공 목록 60

〈표 Ⅱ-1-7〉 서초구 건강부모e-음 서비스 제공 목록 62

〈표 Ⅱ-1-8〉 수성올인원 돌봄키움플랫폼 서비스 제공 목록 63

〈표 Ⅱ-1-9〉 공공서비스 부분 육아 플랫폼 64

〈표 Ⅱ-1-10〉 공공서비스 부분 디지털 플랫폼_복지로(https://www.bokjiro.go.kr) 서비스 종류 65

〈표 Ⅱ-1-11〉 정부-지자체 육아/돌봄 플랫폼 운영 현황 - ① 중앙정부 68

〈표 Ⅱ-1-12〉 정부-지자체 육아/돌봄 플랫폼 운영 현황 - ② 광역시도 72

〈표 Ⅱ-2-1〉 교육 분야에서의 디지털 전환 정책 흐름 78

〈표 Ⅱ-4-1〉 영유아건강검진 항목 113

〈표 Ⅲ-1-1〉 면담조사(FGI) - 참여자 특성 122

〈표 Ⅲ-1-2〉 면담조사(FGI) - 질문 내용 124

〈표 Ⅲ-1-3〉 육아 분야 디지털 경험 125

〈표 Ⅲ-2-1〉 공급자 FGI 연구참여자 특성 137

〈표 Ⅲ-2-2〉 FGI 질문 내용 138

〈표 Ⅲ-2-3〉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의 쟁점과 방향 145

〈표 Ⅲ-2-4〉 공공기관 지침 및 협력 방안 147

〈표 Ⅲ-3-1〉 응답자 부모 특성 155

〈표 Ⅲ-3-2〉 응답자 가구 특성 157

〈표 Ⅲ-3-3〉 중앙정부 육아 플랫폼/포털에 대한 인지도ㆍ이용경험ㆍ만족도ㆍ지속성 163

〈표 Ⅲ-3-4〉 인지도, 이용 경험_정부 정부24 원스톱서비스(임신, 출산, 돌봄지원 등) 167

〈표 Ⅲ-3-5〉 육아 관련 어플/사이트 인지도ㆍ이용경험ㆍ이용만족도ㆍ지속성 176

〈표 Ⅲ-3-6〉 설치한 육아관련 어플과 가입ㆍ등록 사이트, 실제 사용하는 어플 수 184

〈표 Ⅲ-3-7〉 육아관련 정보 경로 186

〈표 Ⅲ-3-8〉 경험 혹은 알고 있는 지자체 육아 관련 사이트/어플, 온라인사업 갯수_시ㆍ도 187

〈표 Ⅲ-3-9〉 육아 관련 사이트/어플, 온라인사업 내용 요소(종합) 188

〈표 Ⅲ-3-10〉 육아 관련 사이트/어플, 온라인사업 만족도_시ㆍ도 189

〈표 Ⅲ-3-11〉 육아 분야 디지털 활용도 191

〈표 Ⅲ-3-12〉 디지털 역량 193

〈표 Ⅲ-3-13〉 디지털 사용 윤리 194

〈표 Ⅲ-3-14〉 자녀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여부(첫째 자녀 기준) 195

〈표 Ⅲ-3-15〉 자녀의 미디어 이용 시작 연령(월령) 197

〈표 Ⅲ-3-16〉 자녀의 미디어 이용 시간 198

〈표 Ⅲ-3-17〉 자녀의 미디어 이용 시간_주중 198

〈표 Ⅲ-3-18〉 디지털 미디어 사용 중 아이와의 상호작용 정도 199

〈표 Ⅲ-3-19〉 디지털 기기 이용, 온라인정보 검색, 어플 활용의 어려움 201

〈표 Ⅲ-3-20〉 육아 분야 디지털(온라인)화 및 디지털 전환의 이행과 대응에 대한 평가_종합표 204

〈표 Ⅲ-3-21〉 이용 경험 혹은 이용 중 정부-공공분야의 디지털 경험 및 평가 205

〈표 Ⅲ-3-22〉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 이행 정도 206

〈표 Ⅲ-3-23〉 아동 정보/데이터-서비스 이용간 연계에 대한 의견 207

〈표 Ⅲ-3-24〉 육아 분야의 디지털 기술 및 디지털 전환 이행 단계 208

〈표 Ⅲ-3-25〉 육아 분야의 디지털 기술 및 디지털 전환 이행 수준 209

[그림 Ⅰ-3-1] 연구 내용-방법 체계 29

[그림 Ⅰ-4-1] 연구내용 30

[그림 Ⅰ-4-2] 디지털 전환 이행 분석 범위와 절차 32

[그림 Ⅱ-1] 디지털 전환 이행의 육아 분야 적용 49

[그림 Ⅱ-2] 디지털 전환의 두 가지 관점 - 자료의 축적과 서비스의 활용 50

[그림 Ⅱ-1-1] 아이돌봄서비스 고도화 방안(2023. 2. 15.) 57

[그림 Ⅱ-2-1] 디지털 시대 교육의 대전환 방향 81

[그림 Ⅱ-2-2] 디지털 교육 체제 전환 로드맵 83

[그림 Ⅱ-2-3] 교실혁명을 위한 교사의 역량 강화 지원 방향 86

[그림 Ⅱ-2-4] 교실혁명을 위한 교원역량 체계(Classroom Revolution Competency Framework) 87

[그림 Ⅱ-2-5] 유아의 디지털 과의존ㆍ과몰입 예방 치유프로그램 제공 로드맵 91

[그림 Ⅱ-2-6] 보육통합정보시스템 고도화 방안 92

[그림 Ⅱ-2-7] 유보통합 실행계획 중 디지털 전환 관련 내용 93

[그림 Ⅱ-3-1] 사회보장정보시스템과 복지사각지대 위기 관련 사회보장 행정데이터 연계 활용하는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 운영 프로세스 101

[그림 Ⅱ-3-2]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 기반 아동학대 위기요인 관련 정보 연계 확장을 통한 e아동행복지원시스템 운영 프로세스 104

[그림 Ⅱ-3-3] e아동행복지원시스템 위기아동 정보 연계구축 및 위험예측 분석모형 활용을 통한 위기아동 발굴 프로세스 106

[그림 Ⅱ-3-4] e아동행복지원시스템 기반 아동학대 위기아동 사례관리 체계 108

[그림 Ⅲ-2-1] 민간분야 돌봄서비스 디지털 전환 이행 과정 139

[그림 Ⅲ-3-1] 중앙정부 육아 플랫폼/포털에 대한 인지도ㆍ이용경험ㆍ만족도ㆍ지속성 165

[그림 Ⅲ-3-2] 육아 관련 프로그램과 사이트/어플(인지도, 이용경험, 이용만족도, 지속성) 177

[그림 Ⅲ-3-3] 이용 서비스 어플(중복)_1)임신기 178

[그림 Ⅲ-3-4] 이용 서비스 어플(중복)_2)출산, 신생아기 179

[그림 Ⅲ-3-5] 이용 서비스 어플(중복)_3)영유아기 180

[그림 Ⅲ-3-6] 이용 서비스 어플(중복)_4)초등학령기 180

[그림 Ⅲ-3-7] 이용 서비스 어플(중복)_5)여가 181

[그림 Ⅲ-3-8] 이용 서비스 어플(중복)_6)교육관련 182

[그림 Ⅲ-3-9] 이용 서비스 어플(중복)_7)그 외 기타 183

[그림 Ⅲ-3-10] 육아 분야 디지털 활용도 192

[그림 Ⅲ-3-11] 육아 분야의 디지털 기술 및 디지털 전환 이행 수준 209

[그림 Ⅳ-1-1] 아동 데이터 체계의 구축 및 연계ㆍ활용 219

[그림 Ⅳ-2-1]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 이행의 목표 및 핵심요소 도출 221

[그림 Ⅳ-2-2]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 이행의 로드맵(안) 222

[그림 Ⅳ-2-3]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 이행의 추진 과제 및 방향 223

해시태그

#교육과정 # 디지털전환 # 디지털교과서 # 육아정책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육아 분야 디지털 전환 이행 현황 및 대응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