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6
들어가며: 왜 이 연구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나? 8
제Ⅰ장 중국문명과 사회경제사관 14
아날학파와 유물론적 역사관 15
중국문명의 장기지속성 25
동아시아 세계체제의 기원 32
제Ⅱ장 세계체제와 중국사회주의 성격 39
이념으로서 변증법적 세계관 40
분석방법으로서 구조론적 전체주의 49
사유체계로서 세계체제론적 시각 52
제Ⅲ장 중화제국의 전통질서 담론 68
중화제국의 세 가지 통치방식: 조공-기미-화친 기제 69
왕조순환과 중화제국의 해체와 팽창: 중국문명의 관성 84
제Ⅳ장 신중화제국의 청사진 구조 91
신중화제국의 상부구조: 글로벌 안보 이니셔티브(GSI) 92
신중화제국의 하부구조: 글로벌 발전 이니셔티브(GDI) 106
신중화제국의 재건목표: 글로벌 문명 이니셔티브(GCI) 122
제Ⅴ장 천하체제의 성격과 위계질서 126
천하체제의 성격과 특징: 반체제 국가 127
천하체제의 운용과 전개 방식: 위계적 네트워크화 136
천하체제와 유교사회주의: 공동부유(대동사회) 141
천하체제와 인류운명공동체: 사회주의 세계체제 146
제Ⅵ장 천하체제와 한반도: 한중-북중관계 151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기조: 전통질서 속의 주변 안정화 152
중국의 대북한 정책 원칙: 최소한의 체제유지 자원 공급 154
중국의 대한반도 통일 기준: 비현실적 발상 159
제Ⅶ장 갈무리 164
중국사회주의의 미래: 중국의 힘에 의한 중국의 길 모색 165
통일한국의 미래: 비대칭적 평화공존 170
참고문헌 177
판권기 2
〈표 Ⅰ-1〉 중국문명 형성의 배경 22
〈표 Ⅲ-1〉 근대 서구 국제질서와 전통 동아시아 국제질서 비교 72
〈표 Ⅲ-2〉 비대칭적 국면의 '조공-책봉' 및 '기미-화친' 관계 유형 74
〈표 Ⅳ-1〉 일대일로(BRI) 개념 116
〈표 Ⅳ-2〉 일대일로(BRI) 프로젝트 유형 119
〈표 Ⅴ-1〉 시진핑 1기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에 대한 다양한 견해 161
[그림 Ⅰ-1] 생산력(경제력)과 생산관계(패권력) 19
[그림 Ⅱ-1] 이데올로기의 형성과정 42
[그림 Ⅱ-2] 중국사회주의의 모순론(변증법) 체계 43
[그림 Ⅱ-3] 중국공산당 이념의 변증법적 전환 44
[그림 Ⅱ-4] 세계체제 모형 53
[그림 Ⅱ-5] 세계체제 구조 59
[그림 Ⅱ-6]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계서도 60
[그림 Ⅱ-7] 중국사회주의 정치경제적 발전구조 62
[그림 Ⅳ-1] 중국 일대일로의 정책적 함의 118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세계체제와 중국사회주의 : 제국화와 문명화의 작용과 반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