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15
연구요약 5
Ⅰ. 서론 23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4
2. 선행연구 분석 24
3. 연구 내용 28
4. 연구 방법 29
Ⅱ. 디지털 역량의 개념과 중요성 31
1. 디지털 역량의 개념 32
가. 디지털 역량에 관한 용어와 정의 검토 32
나. 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의 구축 35
다. 디지털 역량의 개념과 프레임워크의 조작적 정의 41
2. 디지털 역량의 중요성 42
Ⅲ. 디지털 역량의 실태 45
1. 디지털 역량과 노동시장 이행 46
2. 디지털 역량의 수준과 격차 57
Ⅳ. 국내 디지털 역량 강화 정책 분석 70
1. 분석 개요 71
2. 교육부의 직업전환교육기관(DX-Academy) 사업 73
3. 고용노동부의 K-디지털 트레이닝과 기초역량훈련 80
가. K-디지털 트레이닝 83
나.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88
다. 시사점 92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디지털배움터 93
5. 소결 100
Ⅴ. 해외 주요국의 정책 사례 분석 103
1. 분석의 필요성 및 목적 104
2. 미국 105
3. 영국 124
4. 독일 133
5. 싱가포르 141
6. 뉴질랜드 153
7. 시사점 158
Ⅵ. 요구 분석 167
1. 성인 디지털 역량의 현황 및 수요 168
가. 조사 개요 168
나. 조사 결과 169
2. 전문가 델파이 조사 179
가.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방법 179
나. 델파이 조사 설계 179
다.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80
라.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83
마. 중요성과 시급성 교차 분석 186
3. 디지털 역량 강화 방안 FGI 193
가. FGI 방법 193
나. FGI 설계 193
다. FGI 분석 194
라. FGI 분석 결과 195
Ⅶ. 정책 제언 211
1. 개요 212
2. 정책 제언 216
가. 거버넌스 구축 216
나. 통합 플랫폼 운영 217
다. 진단 및 상담 체계 구축 220
라.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223
마. 이수 결과의 관리 225
바. 개인 지원 227
사. 기업 지원 230
참고문헌 232
[부록 1] 디지털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현황 설문조사 238
[부록 2] 성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1차 조사) 246
[부록 3] 성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2차 조사) 258
[부록 4] 성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 방안 마련을 위한 FGI 질문지 265
판권기 267
〈표 Ⅰ-1〉 디지털 역량 관련 국내 연구 27
〈표 Ⅱ-1〉 디지털 역량의 용어와 정의 33
〈표 Ⅱ-2〉 DigComp 2.2 구성요소 36
〈표 Ⅱ-3〉 유네스코의 디지털 시민성 역량과 하위 역량의 개념 39
〈표 Ⅲ-1〉 디지털 역량이 레벨 2 또는 3에 속하는 성인 비율의 국가별 비교 59
〈표 Ⅲ-2〉 부모의 교육 수준에 따른 자녀의 디지털 역량 64
〈표 Ⅲ-3〉 이메일 사용 빈도에 따른 디지털 역량 65
〈표 Ⅳ-1〉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국내의 주요 정책 71
〈표 Ⅳ-2〉 직업전환교육기관(DX-Academy) 지정ㆍ운영 시범사업 교육(비학위과정) 지원 내용 73
〈표 Ⅳ-3〉 직업전환교육기관 지정ㆍ운영 시범사업 선정 연합체 현황 74
〈표 Ⅳ-4〉 컨소시엄별 교육과정 수준별 운영 과정 수 75
〈표 Ⅳ-5〉 컨소시엄별 참여자 수 76
〈표 Ⅳ-6〉 교육과정 수준별 재직자 비중 76
〈표 Ⅳ-7〉 재직자 여부별 교육과정 수준 비중 77
〈표 Ⅳ-8〉 교육과정 수준별 연령별 참여자 수 77
〈표 Ⅳ-9〉 재직자의 교육과정 수준별 연령별 참여자 수 78
〈표 Ⅳ-10〉 구직자의 교육과정 수준별 연령별 참여자 수 79
〈표 Ⅳ-11〉 K-디지털 트레이닝 훈련 유형 구분 I 83
〈표 Ⅳ-12〉 K-디지털 트레이닝 훈련 유형 구분 II 84
〈표 Ⅳ-13〉 훈련기관 유형별 분포 86
〈표 Ⅳ-14〉 훈련생이 수강한 훈련기관 유형 86
〈표 Ⅳ-15〉 훈련 참여자의 취업 여부 87
〈표 Ⅳ-16〉 훈련 참여자의 연령 분포 87
〈표 Ⅳ-17〉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훈련과정 선정 현황(2021-2022년) 89
〈표 Ⅳ-18〉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참여자의 일반 특성(2022.1.~10.) 90
〈표 Ⅳ-19〉 고용노동부 원격훈련 훈련과정의 훈련시간 및 훈련비('21.5.1.~'22.10.31. 실시) 90
〈표 Ⅳ-20〉 고용노동부 원격훈련 실시 인원 연령대 분포('21.5.1.~'22.10.31. 실시) 91
〈표 Ⅳ-21〉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강사 및 서포터즈의 역할 및 자격 요건 94
〈표 Ⅳ-22〉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교육생 현황(2021년) 95
〈표 Ⅳ-23〉 7가지 디지털 생활양식의 정의 96
〈표 Ⅳ-24〉 디지털 생활양식에 따른 디지털 세부 능력 및 정의 97
〈표 Ⅴ-1〉 미국 'DEER 이니셔티브' 내 디지털 격차 해소 전략 구성과 예시 107
〈표 Ⅴ-2〉 디지털 평등 실현을 위한 주요 장애물과 전략 108
〈표 Ⅴ-3〉 디지털 복원력 생태계 구축을 위한 새로운 학습 모델의 구성요소 112
〈표 Ⅴ-4〉 미국 'DRAW 이니셔티브' 내 주요 서비스 개발 및 제공 내용 예시 113
〈표 Ⅴ-5〉 미국 'NCWES 전략'의 주요 목표 114
〈표 Ⅴ-6〉 미국 NCWES 전략에 기반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 117
〈표 Ⅴ-7〉 미국 WIOA법에 기반한 연방 및 주 정부의 역할과 책임성 배분 119
〈표 Ⅴ-8〉 성인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공공 도서관의 역할 강화와 주체 간 협력 122
〈표 Ⅴ-9〉 영국 '디지털 자격' 제도의 주요 대상과 지원 범위 127
〈표 Ⅴ-10〉 영국 'Skills Bootcamps' 프로그램의 특징 129
〈표 Ⅴ-11〉 독일 '국가 스킬 전략' 내 주요 이해관계자와 역할 배분 137
〈표 Ⅴ-12〉 독일 '국가 스킬 전략' 내 주요 중점과제 추진 내용 138
〈표 Ⅴ-13〉 독일 '탁월한 직업교육을 위한 혁신' 프로그램 개요 140
〈표 Ⅴ-14〉 싱가포르 'SkillsFuture Credit' 내 주요 대상과 지원 범위 142
〈표 Ⅴ-15〉 싱가포르 'TechSkills Accelerator(TeSA)' 내 세부 프로그램 144
〈표 Ⅴ-16〉 싱가포르 'MySkillsFuture Series' 프로그램 내 교육 프로그램 구성 147
〈표 Ⅴ-17〉 싱가포르 'MySkillsFuture Series' 프로그램 내 주요 교육과정 148
〈표 Ⅴ-18〉 싱가포르 'Workplace Skills Recognition(WPSR)' 프로그램 구성 149
〈표 Ⅴ-19〉 싱가포르 'Digital for Life(DfL)'하에 운영되는 프로젝트 예시 152
〈표 Ⅴ-20〉 NZQCF(New Zealand Qualifications and Credentials Frame)의 구조 155
〈표 Ⅵ-1〉 주요 설문 내용 169
〈표 Ⅵ-2〉 응답자 기초통계 169
〈표 Ⅵ-3〉 디지털 교육훈련의 필요성과 충분성 175
〈표 Ⅵ-4〉 디지털 교육훈련의 수준과 방법 176
〈표 Ⅵ-5〉 델파이 조사 대상 180
〈표 Ⅵ-6〉 부처별 지자체별 협력 방안 184
〈표 Ⅵ-7〉 대학 및 전문대학의 참여 방안 184
〈표 Ⅵ-8〉 수요자 맞춤형 디지털 역량 강화 185
〈표 Ⅵ-9〉 취약계층 대상의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 185
〈표 Ⅵ-10〉 디지털 역량 강화 인프라 186
〈표 Ⅵ-11〉 FGI 참여자 기본 정보 194
〈표 Ⅵ-12〉 FGI 자료 주제 분석 결과 196
〈표 Ⅶ-1〉 민간 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심사기준: 중소기업 부문 231
[그림 Ⅱ-1] DigCom 2.0 업데이트 35
[그림 Ⅱ-2] UNESCO의 디지털 스킬 프레임워크 38
[그림 Ⅱ-3] 디지털 인재양성 목표와 관련 정책 40
[그림 Ⅲ-1] ICT를 활용한 문제해결능력 정도에 따른 경제활동 참가율 46
[그림 Ⅲ-2] ICT 활용 경험 부족과 ICT 활용 문제해결능력 정도가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 47
[그림 Ⅲ-3] ICT를 활용한 문제해결능력 정도에 따른 경제활동 참가율의 국가별 비교 48
[그림 Ⅲ-4] 직장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근로자의 비율 49
[그림 Ⅲ-5] 일상생활에서의 이메일 사용과 경제활동 참가율의 국가별 비교 50
[그림 Ⅲ-6] ICT를 활용한 문제해결능력 정도에 따른 실업률의 국가별 비교 51
[그림 Ⅲ-7] 일상생활에서의 이메일 사용 정도에 따른 실업률의 국가별 비교 52
[그림 Ⅲ-8] 디지털 역량과 임금 프리미엄 53
[그림 Ⅲ-9] 디지털 역량에 따른 임금 프리미엄의 국가별 비교 54
[그림 Ⅲ-10] 일에서의 이메일 사용 정도에 따른 임금 프리미엄의 국가별 비교 55
[그림 Ⅲ-11] 컴퓨터 스킬 부족에 따른 고용의 어려움을 보고한 근로자와 그렇지 않은 근로자 간 임금 격차의 국가별 비교 56
[그림 Ⅲ-12] 디지털 역량 분포의 국가별 비교 58
[그림 Ⅲ-13] 연령별 디지털 역량의 국가 간 비교 60
[그림 Ⅲ-14] 교육 수준별 디지털 역량의 국가 간 비교 61
[그림 Ⅲ-15] 성별 디지털 역량의 국가 간 비교 63
[그림 Ⅲ-16] 문해력 수준별 디지털 역량의 국가 간 비교 66
[그림 Ⅲ-17] 변이계수로 본 디지털 역량 격차의 국가별 비교 67
[그림 Ⅲ-18] 광대역 인터넷에 대한 집에서의 접근성 68
[그림 Ⅲ-19] 인터넷 이용자의 국가별 비교 68
[그림 Ⅳ-1] 직업능력개발훈련 체계(2023년) 81
[그림 Ⅳ-2] 'K-디지털 아카데미' 홈페이지 화면 82
[그림 Ⅳ-3] 7가지 디지털 생활양식 95
[그림 Ⅳ-4] 기초과정 학습모듈 98
[그림 Ⅳ-5] 생활과정 학습모듈 98
[그림 Ⅳ-6] 심화과정 학습모듈 99
[그림 Ⅴ-1] DEER 이니셔티브 내 '디지털 평등'의 구성요소 105
[그림 Ⅴ-2] 미국 'DEER 이니셔티브' 내 교육기술처(OET)의 역할 107
[그림 Ⅴ-3] 미국 'DRAW 이니셔티브' 내 '디지털 복원력 생태계'의 개념 111
[그림 Ⅴ-4] 미국 'NCWES 전략' 내 '디지털(사이버) 생태계' 개념 115
[그림 Ⅴ-5] 영국의 '직업지도(Occupational Maps)' 내 디지털 부문 정보 제공 예시 125
[그림 Ⅴ-6] 영국의 지역 내 Institutes of Technology 분포 132
[그림 Ⅴ-7] 싱가포르 Skills Framework for Infocomm Technology 개념도 146
[그림 Ⅴ-8] Ara institute of Canterbury의 전공 영역과 디지털 역량 관련 과정 154
[그림 Ⅴ-9] Ara Connect 4개 캠퍼스의 교육 진행 상황 157
[그림 Ⅴ-10] OECD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 접근 158
[그림 Ⅵ-1] 응답자의 디지털 역량 수준 170
[그림 Ⅵ-2] 지난 1년간 디지털 교육훈련 경험(복수 응답) 171
[그림 Ⅵ-3] 지난 1년간 디지털 교육훈련 시간 172
[그림 Ⅵ-4] 주된 교육훈련 방법 172
[그림 Ⅵ-5] 주된 교육훈련 방법에 따른 교육훈련 만족 비율 173
[그림 Ⅵ-6] 가장 만족하는 교육훈련 174
[그림 Ⅵ-7] 만족하지 못하는 항목 174
[그림 Ⅵ-8] 디지털 교육훈련이 필요한 이유 175
[그림 Ⅵ-9] 디지털 교육훈련의 저해요인 177
[그림 Ⅵ-10] 디지털 교육훈련 지원 방안 177
[그림 Ⅵ-11] 부처별 및 지자체별 협력 방안 187
[그림 Ⅵ-12] 대학 및 전문대학의 참여 방안 188
[그림 Ⅵ-13] 수요자 맞춤형 디지털 역량 강화 방안 189
[그림 Ⅵ-14] 취약계층 대상의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 방안 190
[그림 Ⅵ-15] 디지털 역량 강화 인프라 191
[그림 Ⅵ-16] FGI 분석 절차 195
[그림 Ⅵ-17] FGI 분석 결과: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매칭 210
[그림 Ⅶ-1] 디지털 역량 강화 방안 개요도 215
[그림 Ⅶ-2] 디지털 역량 강화 협의체의 구조 217
[그림 Ⅶ-3] 디지털 역량의 구조 220
[그림 Ⅶ-4] IT 역량 수준 결정체계(일본) 221
[그림 Ⅶ-5] ITSQF 개념도 222
[그림 Ⅶ-6] 25~79세 성인의 평생학습 불참 요인 228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디지털 평생교육체제 구축을 위한 성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