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11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8
1. 연구 배경 19
2. 선행연구 검토 20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22
가. 연구방법 22
나. 연구의 구성 22
제2장 중국의 디지털 무역과 통상 정책 24
1. 중국의 디지털 무역 발전 현황 25
가. 중국의 디지털 서비스 무역 현황 26
나. 중국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현황 36
2. 중국의 디지털 통상 정책 40
가. 중국의 디지털 무역 정책 40
나. 중국의 디지털 무역장벽 및 무역 규범 47
다.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글로벌 규범 경쟁 61
라. 중국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및 플랫폼 해외 진출 지원 정책 71
3. 소결 87
제3장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 경쟁력 분석 89
1.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 현황 분석 90
가. 중국 전자상거래 현황 92
나.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96
2.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제도 및 규범 101
가. 제도 101
나. 주요 법률 및 규정 108
3. 중국 디지털 플랫폼의 경쟁력 분석과 전망 116
가. 디지털 플랫폼 기업 116
나. 콘텐츠 기반 플랫폼 기업 122
4. 소결 145
제4장 중국 디지털 플랫폼의 해외 진출 현황 및 전략 147
1. 중국 디지털 플랫폼의 해외 진출 현황 148
가. 주요 대상국 진출 현황 148
나. 주요 디지털 플랫폼의 해외 진출 사례 분석 156
다.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진출에 대한 주요국 대응 160
2. 중국 디지털 국제결제 플랫폼의 발전과 해외 진출 166
가. 중국 디지털 국제결제 플랫폼의 발전 166
나. 중국 국제결제 플랫폼의 해외 진출 174
다. 중국 국제결제 플랫폼과 디지털 통상 발전 180
3. 주요 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 184
4. 소결 194
제5장 결론 197
1. 요약 198
가. 중국의 디지털 무역과 통상정책 198
나.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 경쟁력 200
다. 중국 디지털 플랫폼의 해외진출 현황 및 전략 201
2. 시사점 203
가. 중국의 디지털 통상정책 평가와 우리의 대응 203
나. 정책 시사점 207
참고문헌 219
판권기 3
표 2-1. 주요국의 디지털 서비스무역 규모 추이 28
표 2-2. 글로벌 10대 디지털 서비스무역 수출국 추이 29
표 2-3. 글로벌 10대 디지털 서비스무역 수입국 추이 30
표 2-4. 중국의 서비스 무역 및 디지털 무역 추이 32
표 2-5. 2015~23년 중국의 디지털로 전달 가능한 서비스 무역 추이 33
표 2-6. 중국 국경간 전자상거래 추이 37
표 2-7. 2023년 중국 성ㆍ시의 디지털 서비스 무역 수출입 규모 44
표 2-8. 중국의 역외 이전대상 개인정보 유형 규제 변화 46
표 2-9. 중국의 무역협정 속 디지털 무역과 관련된 조항 52
표 2-10. 중국의 지역무역협정 디지털 무역 규범 심도 56
표 2-11. 높은 수준의 글로벌 지역무역협정의 디지털 무역 규범 심도 57
표 2-12. DEPA 주요 조항 57
표 2-13. 국제 전자상거래 플랫폼 점유율(2023년 9월 기준) 62
표 2-14. 기존 디지털 통상협정에서 데이터 관련 규범의 의무화 수준 비교 65
표 2-15. QR코드 모바일 결제 사용 기기 수(2022년 기준) 67
표 2-16. 중국 국경간 전자상거래 종합시험구 지정 및 지역별 분포 현황 72
표 2-17. 항저우 종합시험구의 '6대 시스템, 2대 플랫폼' 74
표 2-18. 중국정부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종합시험구 평가 결과 76
표 2-19. 중국 디지털 실크로드 추진 과정 78
표 2-20. 중국-아세안 디지털 생태계 협력 촉진을 위한 공동성명 81
표 2-21. 동남아시아 국가별 전자상거래 점유율 현황 86
표 3-1. 중국 디지털 플랫폼 산업의 범위 90
표 3-2.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유형별 특징 95
표 3-3.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유형별 특징 99
표 3-4. 중국 디지털 플랫폼 주요 정책 분야 및 언급 수 103
표 3-5. 도시 15분 생활권 구축 3개년 행동 계획의 주요 추진 분야 106
표 3-6. 중국 디지털 플랫폼(전통)의 전자상거래 매출액 상위 기업 117
표 3-7. 알리바바의 새로운 소매 전략의 주요 분야 120
표 3-8. 주요 소셜커머스 플랫폼 기업의 영업이익 124
표 3-9. 핀둬둬의 주요 연혁 131
표 3-10. 핀둬둬의 농산품 플랫폼 구축 전략 135
표 3-11. TEMU의 주요 유통방식 137
표 3-12. 중국 디지털 플랫폼 경쟁력 분석을 통한 시사점 145
표 4-1. Shein 유럽 순매출간 온라인 구매처 비중(2023년 기준) 152
표 4-2.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위험 요인 주요 사례 161
표 4-3. 동남아시아 국가별 국제 전자상거래의 모바일 국제결제 점유율 179
표 4-4. 전자상거래 플랫폼 결제 방식의 구분과 비중 현황(2022년 기준) 183
표 4-5. 아마존 매출(net sales) 구성과 비중 추이 185
표 4-6. 알리바바 매출액(revenue) 구성과 비중 추이 186
표 4-7. 알리바바 그룹의 해외 전자상거래 플랫폼 투자 현황 190
표 4-8. 중국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 진출 전략 194
표 5-1. 2023년 중국의 디지털 무역 규모 204
표 5-2. 한국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수지 추이 212
그림 2-1. 중국의 디지털 경제 규모 및 GDP 비중 27
그림 2-2. 미국과 중국의 디지털 서비스 무역 수출 성장세 비교 31
그림 2-3. 중국 국경간 전자상거래 수출입 규모 및 상품무역 비중 37
그림 2-4. 2022년 주요국의 OECD 디지털 서비스무역제한지수(DSTRI) 48
그림 2-5. 중국 DSTRI 추이(2014~22년) 50
그림 3-1. 중국 전자상거래액과 그 중 상품 소매액의 추이 93
그림 3-2. 중국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개념도 96
그림 3-3. 중국 라이브커머스 시장규모 98
그림 3-4. 제조업체의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한 판매경로 100
그림 3-5. 중국 디지털 플랫폼 관련 주요 기관이 발표한 정책 수 102
그림 3-6. 징동의 창고면적(좌)과 징동 물류의 수입에서 외부주문의 비중(우) 119
그림 3-7. 알리바바 그룹의 생태계 현황 121
그림 3-8. 2024년 9월 중국 인기 쇼트 비디오 앱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 128
그림 3-9. 중국 디지털 플랫폼 거래액 비중 변화 130
그림 3-10. 핀둬둬 이용자 수 변화 및 증가율 추이(2017~22년) 133
그림 4-1. 주요 온라인 플랫폼의 글로벌 쇼핑 구매 비중(2023년 기준) 149
그림 4-2. 중국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수출 대상국 비중 150
그림 4-3. 미국의 국경간 온라인 구매 국가 비중(2023년 기준) 151
그림 4-4. 주요 온라인 패스트 패션 업체 유럽 순매출(2023년 기준) 153
그림 4-5. 테무의 상위 5대 시장의 글로벌 GMV 비중(2023년 기준) 154
그림 4-6. 한국의 대중국 전자상거래 수입 155
그림 4-7. 한국의 대미 및 대중국 전자상거래 수입 비중 추이 155
그림 4-8. 글로벌 쇼핑 앱의 다운로드 순위(2023년 기준) 156
그림 4-9. 중국 비은행 결제 플랫폼 모바일 결제 금액 추이 166
그림 4-10. 중국 비은행 모바일 결제 플랫폼 QR코드 결제금액 추이 168
그림 4-11. 중국 비은행 모바일 결제 플랫폼 시장 점유율 추이 171
그림 4-12. 중국 광고 매체별 매출액 추이 174
그림 4-13. 알리바바 그룹의 동남아 라자다에 대한 투자 추이 188
그림 5-1. 한국의 전자상거래 해외직접 구매액 추이 211
그림 5-2. 한국의 전자상거래 해외직접 판매액 추이 211
그림 5-3. 디지털 플랫폼 제공산업의 종사자 규모별 디지털화 및 디지털 전환 전략 수립 여부 215
그림 5-4. 한국 해외직접판매액 추이(2018~23년) 216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중국의 디지털 통상 발전 전략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