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한국 신(新) 정부의 대외정책 기조 및 전망

 2025년 6월 3일 제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음
 ㅇ 작년 12월 3일 계엄 선포로 인해 야기된 정치·경제·사회적 혼란을 수습하고 대한민국을 재도약시킬 수 있는 정치적 계기가 6개월여 만에 마련됨
 ㅇ 이재명 정부는 대내적으로는 내란을 종식하여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침체에 빠진 한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급변하는 안보 상황과 공세적인 자국이익 우선주의에 대응하여 우리의 국익을 지켜야 하는 중차대한 임무를 부여받았음

□ 대한민국을 둘러싼 국제 환경은 미·중 전략적 경쟁의 심화와 장기화되는 국제 분쟁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이 증대되고 있음
 ㅇ 자국의 이익을 국제무대에서 공세적으로 추구하는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등장은 국제 질서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음
 ㅇ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국제무대에서 미국의 이익을 담보하기 위해 ‘미국우선 대외정책 2.0’을 공세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ㅇ 외교·안보 분야에서 공공재를 제공하고 국제 안보 체제를 책임감 있게 이끌어 나가는 패권국의 역할 대신 ‘전략적 선택과 집중’ 및 ‘거래 중심적 동맹관’의 재활성화를 통해 국제무대에서 자국의 이익을 공세적으로 추구하는 강대국 외교를 추구하고 있음
 ㅇ 경제·통상 분야에서는 관세를 이용한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감소와 국제통상 시스템 재조정 및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을 통해 미국 제조업의 부흥을 도모하고자 함
 ㅇ 국제적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에 맞서 자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세계 각국은 각자도생의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음

 본 보고서에서는 한국 신(新)정부의 대외정책 기조 및 동아시아 정책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출범 초기 우리 정부가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안들을 논의하고자 함

목차

표제지 1

목차 3

1. 문제의 제기 4

2. 한국 신(新) 정부의 대외정책 기조 6

가. '국익중심 실용외교' 6

나. '글로벌 선도국가' 8

3. 한국 신(新) 정부의 주요 대외정책 전망 11

가. 한미 관계 11

나. 남북 관계 13

다. 한일 관계 15

라. 한중 관계 16

마. 한러 관계 17

4. 정책적 고려사항 18

가. 한미 관계 18

나. 북미 관계 23

판권기 2

해시태그

#안보전략 # 실용외교 # 한미관계 # 한반도평화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한국 신(新) 정부의 대외정책 기조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