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지역별 인구다양성 지수 산출과 활용 : 이주배경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을 중심으로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거주 인구의 인종, 종교, 문화 등 인구 다양성이 최근 5년간 8%가량 확대됨
   ㅇ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지역별 인구 다양성 지수 산출과 활용」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인구 다양성 지수는 2018년 0.0527에서 2022년 0.0568로 7.79% 상승함
   ㅇ 인구 다양성 지수는 한 지역이나 집단을 구성하는 인구가 '완전 동질(0)∼완전 이질(1)'의 연속선상에서 어느 정도에 위치하는지 나타내는 개념
   ㅇ 이 지수는 종교, 인종, 문화가 뒤섞인 지역 공간에서의 인구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
   ㅇ 연구진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인구총조사 등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집단 내 이질성을 측정하는 '블라우 지수'(Blau Index)로 다양성 정도를 산출하였으며, 블라우 지수에서는 결괏값이 1에 가까울수록 여러 집단의 인구가 균등하게 분포함을 뜻함

□ 지역별 인구 다양성 지수 상승폭은 인천이 가장 컸으며, 특정 지역에 인구 다양성 지수가 집중되어 나타남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ㅇ 인천의 인구 다양성 지수는 2018년 0.0592에서 2022년 0.0722로 21.96% 급등하여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임
   ㅇ 대전(17.67%), 전남(17.5%), 전북(16.94%), 강원(13.65%), 대구(13.64%) 등도 10%가 넘는 상승폭을 기록
   ㅇ 반면 세종은 9.49% 하락했으며, 서울도 0.92% 소폭 하락했음
   ㅇ 2022년 현재 읍면동 수준에서 인구 다양성 지수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곳은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으로 0.735에 달함
   ㅇ 김포시 대곶면(0.688), 단원구 선부2동(0.673), 시흥시 정왕1동(0.665), 화성시 양감면(0.653) 등 상위 5위 지역이 모두 경기도에 위치
   ㅇ 서울에서는 영등포구 대림2동이 0.650으로 인구 다양성 지수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조사됨
   ㅇ 2018년과 2022년 모두 경기도 서남부와 김포, 포천, 서울 서남권의 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농공단지나 농촌 지역에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주자 등이 밀집해 있음을 시사함

□ 저출생과 이민 정책 등의 영향으로 6세 이하 영유아의 인구 다양성 지수도 큰 폭으로 상승함
   ㅇ 영유아의 인구 다양성 지수는 2018년 0.0419에서 2022년 0.0609로 약 45% 급등한 것으로 나타남



 
[출처] '한국 인구다양성 지수 8%↑…상승폭 인천·대전·전남 순' (2025.07.02.) / 연합뉴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론  3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5
제2절 연구 내용과 주요 용어 정리  10

제2장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19
제1절 이민행정과 지방정부의 역할  21
제2절 이주민 밀집 지역 관련 선행연구  25
제3절 이주배경 영유아 대상 보육 지원정책 현황  30
제4절 이주배경 아동 보육서비스 접근성 관련 선행연구  35
제5절 본 연구의 차별성  40

제3장 지역의 인구다양성 변화  43
제1절 인구다양성 지수의 산출 방법  45
제2절 인구다양성 지수의 변화  51
제3절 이주배경 인구의 국적별 분포  80
제4절 영유아의 지역별 인구다양성 지수의 변화  89
제5절 소결  110

제4장 이주배경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 분석  113
제1절 지역별 보육 수요와 이용률 변화  115
제2절 외국인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 분석  142
제3절 다문화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 분석  156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83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85
제2절 정책적 함의와 제언  190

참고문헌  197
부록  211
Abstract  221

해시태그

#인구다양성지수 # 외국인근로자 # 이민정책 # 다문화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지역별 인구다양성 지수 산출과 활용 : 이주배경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