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ㅇ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1일 호주 싱크탱크 로위연구소의 보고서
「Southeast Asia Aid Map: 2025 Key Findings」를 인용해 이같은 분석을 보도함
ㅇ로위연구소 보고서는 서방의 개발 지원 약화 속에서 동남아 개발 주체로서 중국의 상대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하고, 특히 동남아 인프라 자금의 최대 조달국인 중국이 서방 원조 축소 분위기 속에서 동남아 주도권을 차지할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지적함
□ 미국과 EU는 동남아시아에 대한 대외 원조를 대폭 줄이고 있으며, 이는 동남아 개발 금융 환경의 중심이 중국으로 이동하는 주요 원인임
ㅇ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마가(MAGA·미국을 더욱 위대하게)' 정책을 최우선시하면서 약 600억 달러의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원조를 중단하고 동남아 국가들에 관세 인상을 압박하고 있으며,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등 EU 주요 국가와 영국도 경제 상황 악화를 이유로 250억 달러 이상의 대외 원조를 삭감함
ㅇ로위연구소는 내년 동남아시아에 대한 개발 자금이 올해 대비 8%, 20억 달러 이상 감소한 265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며, 서방 국가들이 제안한 동남아시아에서의 청정에너지 전환 사업 지원 약속이 실제 프로젝트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비판함
□ 중국은 '일대일로' 사업을 통해 동남아 인프라 건설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음
ㅇ중국은 베트남 북부 항만(하이퐁)까지 연결하는 새 철도 노선 건설에 차관을 지원할 예정이며, 태국 및 라오스와의 고속철도 연결 사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음
ㅇ2013년 시진핑 주석 집권 이후 추진된 동남아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에는 미얀마 짜욱퓨 경제특구 심해항, 말레이시아 동부 해안 철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반둥 고속철도 등 다수의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가 포함됨
ㅇ사실 중국이 명분상 상대국과의 공동 번영을 약속하면서 추진해온 일대일로 사업이 상대국들을 빚더미에 올리고 중국의 자원 독식 및 경제·외교·안보적 영향력 확장을 위한 의도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중국은 동남아 인프라 건설 사업을 계속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미얀마 짜욱퓨 심해항 프로젝트의 부활은 중국의 동남아 인프라 프로젝트 투자를 대폭 증가시키는 계기가 됨
[출처] 동남아 인프라 자금줄 美·유럽→中…커지는 中영향력 (2025.07.21.) / 연합뉴스
목차
Title page 1
Contents 3
Overview 4
The Southeast Asia Aid Map in four charts 6
Understanding official development finance 8
Analysis 9
1. Regional development support increased modestly in 2023 but remained below pre-Covid levels 9
2. US, EU, and UK aid cuts could see official development finance to the region decline by more than $2 billion in coming years 10
3. Western aid cuts and rising trade tensions will reduce Southeast Asia's development choices and risk ceding ground to China 11
4. Aid cuts will also deepen a development divide, with poorer countries and social sector priorities falling behind 12
5. Southeast Asia's infrastructure race has slowed to a crawl 15
6. The region's energy transition is dangerously underfunded, with global implications 16
7. Progress on climate and social inclusion may come under pressure 18
Country profiles 20
BRUNEI 20
CAMBODIA 21
INDONESIA 23
LAOS 25
MALAYSIA 27
MYANMAR 29
PHILIPPINES 31
SINGAPORE 33
THAILAND 34
TIMOR-LESTE 36
VIETNAM 38
REGIONAL INITIATIVES 40
Methodology 42
Notes 44
About the lead authors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