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국제 신재생에너지 정책변화 및 시장분석

목차

표제지 1

목차 3

요약 7

제1장 서론 1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2. 연구 내용 13

제2장 국제 재생에너지 보급 및 정책 동향 14

1. 전 세계 재생에너지 보급 동향 14

1.1. 1차 에너지 15

1.2. 전력부문 17

1.3. 재생에너지원별 균등화발전비용(LCOE) 22

1.4. 재생에너지 보급 전망 27

2. 국가별 재생에너지 현황 비교 28

2.1. 국가별 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28

2.2. 국가별 재생에너지 균등화발전비용(LCOE) 비교 34

3. 국제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39

3.1. 국제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39

3.2. G20 국가의 재생에너지 보급 특성과 발전부문 정책 동향 41

4. 소결 44

제3장 국제 재생에너지 정책개발 이슈 분석 46

1. 산업부문의 재생에너지 전환 46

1.1. 산업부문 에너지소비 실태 46

1.2. 산업 부문 재생에너지 확대 조치 48

1.3.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도입과 영향 50

1.4. RE100에 의해 촉진된 기업 PPA 51

1.5. 산업부문 열에너지 전환 동향 53

1.6. 산업 부문의 전력화와 재생에너지 활용 55

2. 재생에너지의 전력시스템 통합 57

2.1.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계통 연결과 글로벌 동향 57

2.2. 재생에너지 전력망 연결 조치 사례 61

2.3. 전력망 강화 기술 63

2.4. 수요 유연성 및 시간 가변 전력망 요금 65

2.5. 가상 발전소 68

2.6. 마이크로 그리드 70

2.7. 태양광 및 풍력의 전력시스템 통합 조치 72

3.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소생산 82

3.1. 재생 수소 정책 동향 82

3.2. 재생 수소 시장 현황과 전망 84

4. 소결 86

4.1. 산업부문 재생에너지 전환 86

4.2. 재생에너지 전력시스템 통합 87

4.3. 재생에너지 수소 생산 88

제4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89

1. 재생에너지 보급 및 정책 동향 89

2. 정책개발 주요 이슈 및 대응 방향 90

3. 정책 시사점 92

참고문헌 95

〈표 2-1〉 국가별 신규 건설시 최저비용 발전원 유형(2023년 하반기 LCOE 기준) 35

〈표 2-2〉 G20 국가의 발전부문 정책 동향 43

[그림 2-1] 전 세계 에너지원별 1차에너지 공급(TPES) 비중 15

[그림 2-2] 전 세계 재생에너지원별 1차에너지 공급(TPES) 비중 16

[그림 2-3] 전 세계 2013~2023년 1차에너지 공급 기준 연평균 성장률 17

[그림 2-4] 전 세계 2014~2023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의 변화 18

[그림 2-5] 전 세계 2014~2023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비중 변화 19

[그림 2-6] 전 세계 2008~2022년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포 추이 20

[그림 2-7] 전 세계 2008~2022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비중 분포 추이 20

[그림 2-8] 전 세계 2008~2022년 재생에너지 (평균)발전량 및 발전비중 추이 21

[그림 2-9] 전 세계 2008~2022년 변동성 재생에너지 발전량 평균과 재생에너지 발전량과의 비교 추이 22

[그림 2-10] 전 세계 2022~2023년 재생에너지원별 LCOE 변화 23

[그림 2-11] 전 세계 2010~2022년 변동성 재생에너지 원별 LCOE 변화 추이 24

[그림 2-12] 2010~2023년 가장 저렴한 화석연료 발전 대비 재생에너지원별 LCOE 변화 추이 25

[그림 2-13] 전 세계 2009~2023년 BNEF 추정 LCOE 변화 추이 26

[그림 2-14] 주요 기관별 재생에너지 발전량 전망 시나리오 비교 28

[그림 2-15] 국가별 최종에너지 소비 대비 재생에너지 비중(2021년) 29

[그림 2-16] 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따른 그룹별 분포도(2022년) 31

[그림 2-17]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에 따른 그룹별 분포도(2022년) 31

[그림 2-18] 변동성 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따른 그룹별 분포도(2022년) 32

[그림 2-19] 변동성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에 따른 그룹별 분포도(2022년) 32

[그림 2-20] 신규 건설시 최저비용 대규모 발전원 분포(2023년 하반기 LCOE 기준) 34

[그림 2-21] 2023년 하반기 국가별 LCOE 중간값(2022년 실질) 36

[그림 2-22] 국가별 (2022년 대비) 2023년 태양광ㆍ육상풍력의 LCOE 변화 38

[그림 2-23] 탄소중립 선언국 현황과 재생에너지 목표 수립 국가(2023년 기준) 40

[그림 3-1] 산업부문 최종에너지소비 중의 재생에너지 비중, 2011년과 2021년 47

[그림 3-2] 산업별 재생에너지 점유율 및 전기화율, 2021 55

[그림 3-3] 그리드 연결 대기 현황, 2023년과 2024년 60

[그림 3-4] 프로젝트 단계별 연결 대기 재생에너지 용량 60

[그림 3-5] 시장별 개발 후기 단계의 태양광 및 풍력 프로젝트, 2023년과 2024년 61

[그림 3-6] 2023년 주요 국가 및 시스템별 태양광 및 풍력의 연간 및 최대 시간별 발전비율 73

[그림 3-7] 2018-2028년 연간 변동성 재생에너지(VRE) 발전비율 범위별 국가 수 73

[그림 3-8] 2024년 4월 30일 캘리포니아(CAISO) 주요 기술별 발전 프로파일 74

해시태그

#신재생에너지 # 전력시스템 # 수소생산 # 에너지정책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국제 신재생에너지 정책변화 및 시장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