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디지털(ICT) 분야 해외 우수인재 유치방안에 관한 연구

목차

표제지 1

목차 4

요약문 11

SUMMARY 23

제1장 서론 2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27

1. 연구의 필요성 27

2. 연구 목표 30

제2절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31

1. 연구 범위 31

2. 연구 방법 32

제2장 글로벌 인재 현황 및 국내외 인재 유치정책 분석 34

제1절 디지털 분야 인재 현황 및 문제점 34

1. 국가 간 디지털 인재 유출입 현황 및 문제점 34

2. 국내 거주 중인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현황 43

3. 종합 및 시사점 49

제2절 국내외 글로벌 인재 유치 정책 분석 51

1. 국내 글로벌 인재 유치 정책 분석 51

2. 주요국의 글로벌 인재 유치 정책 분석 70

3. 국내외 비자 제도 현황 84

4. 시사점 114

제3장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관련 수요와 공급 측면 의견수렴 및 분석 124

제1절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관련 설문조사 분석 124

1.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특징, 채용 시장 및 애로사항 파악을 위한 사전 자문 124

2.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수요기업과 대학 대상 설문 설계 128

3.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수요기업과 대학 대상 설문 결과 분석 133

4. 시사점 154

제2절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의 국내 근무 현황 및 요구 사항 분석 160

1. 디지털 인재 특징 및 이동 동인 160

2.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심층 인터뷰 설계 163

3.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심층 인터뷰 결과 분석 166

4. 시사점 175

제4장 디지털 분야 해외 우수인재 유치를 위한 정책제언 180

제1절 디지털 분야 해외 우수인재 유치 정책 방향 180

제2절 디지털 분야 해외 우수인재 유치방안 제언 183

1. 종합적 디지털 해외 인재 발굴 및 유치 지원 185

2. 디지털 분야 유학생 확대 및 장기적 국내 정착 지원 187

3. 혁신적 디지털 해외 인재 업무 환경 개선 189

4. 디지털 해외 인재 유치 및 유지 측면에서의 안정적 재정 지원 190

5. 지속적 해외 인재 정착 지원을 통한 디지털 인재 유지 정책 192

6. 디지털 분야 인재 특화 비자 제도 개선 194

7. 기업 협력을 통한 디지털 해외 인재 유치 및 유지 정책 199

제5장 정부정책반영현황 201

1. 「기업 역동성 제고 및 신산업 축진을 위한 경제규제 혁신 방안」 정책 방안 제언 201

2. 법무부에 비자 제도 개선안 제출 201

3. 「글로벌 개방 혁신을 위한 첨단산업 해외인재 유치ㆍ활용전략」 정책 방안 제언 202

4. 기재부 인재 양성 간담회 발표 202

5. 수요 및 공급 측면의 현장의 목소리 조사 결과 과기부 정책 반영 예정 203

6. 과기부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부처 요청 사항 대응 자료 제공 203

참고문헌 204

[부록 1] 기업 대상 설문조사 210

[부록 2] 대학 대상 설문조사 217

판권기 223

〈표 2-1〉 각 연도별 글로벌 AI Index 종합 순위 Top 10 36

〈표 2-2〉 영역별 글로벌 AI Index 순위 Top 10 36

〈표 2-3〉 인구 만 명당 AI 분야 핵심 연구자 수 39

〈표 2-4〉 국가 간 AI 기술 보유 인재 이동(2023) 40

〈표 2-5〉 국내 거주 유학생 출신 국가 현황 44

〈표 2-6〉 2023년 국내 거주 유학생 국적 및 전공 현황 45

〈표 2-7〉 국내 거주 디지털 분야 관련 외국인 전문인력 현황(2024.09.30. 기준) 47

〈표 2-8〉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유치 관련 법령 세부 내용 53

〈표 2-9〉 첨단산업 해외 인재 유치ㆍ활용 전략 주요 내용 60

〈표 2-10〉 K-Tech Pass 주요 내용 85

〈표 2-11〉 Startup Korea Special Visa 주요 내용 86

〈표 2-12〉 과학기술 우수 인재 패스트트랙 주요 내용 87

〈표 2-13〉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유치 관련 D 비자들의 주요 내용 89

〈표 2-14〉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유치 관련 E 비자들의 주요 내용 90

〈표 2-15〉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유치 관련 F-5-9~11 비자의 주요 내용 92

〈표 2-16〉 우리나라 노마드(워케이션) 비자의 주요 내용 93

〈표 2-17〉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유치 관련 GKS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94

〈표 2-18〉 미국 H-1B. J-1, O-1 비자 주요 내용 96

〈표 2-19〉 일본 고도인재 유형 98

〈표 2-20〉 일본 특별고도인재유형과 자격요건 99

〈표 2-21〉 일본 J-Skip, J-Find 자격 주요 내용 100

〈표 2-22〉 영국 Global Talent Visa, High Potential Individual Visa, AI Futures Grants 주요 내용 102

〈표 2-23〉 중국 R 비자 주요 내용 105

〈표 2-24〉 호주/뉴질랜드 글로벌 인재 대상 비자 주요 내용 106

〈표 2-25〉 대만 Gold Card, 싱가포르 ONE Pass, 아랍에미리트 골든비자 주요 내용 109

〈표 2-26〉 디지털노마드 비자 주요국 현황 111

〈표 2-27〉 주요국(미/일/영/중) 해외 디지털 인재 유치 정책 요약 116

〈표 2-28〉 우리나라 비자 제도 요약 및 해외 유사 제도 매칭 119

〈표 2-29〉 해외 비자제도 벤치마킹 검토 요소 121

〈표 3-1〉 설문 조사 개요 128

〈표 3-2〉 디지털 인재,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정의 129

〈표 3-3〉 디지털 기술 정의 130

〈표 3-4〉 설문 조사 내용 요약 130

〈표 3-5〉 인력 역량 수준 정의 131

〈표 3-6〉 기업 설문 응답자 분류 133

〈표 3-7〉 기업 설문 응답자 직급과 직무 135

〈표 3-8〉 기업 규모별 전체 기업 평균 종사자수, 디지털 인력수, 해외 디지털 인력수 136

〈표 3-9〉 기업의 업력에 따른 평균 해외 디지털 인력 비율 137

〈표 3-10〉 기업 규모, 사업 범위별 해외 디지털 인력 비율 138

〈표 3-11〉 기업의 기술별, 수준별 부족인력 비율 138

〈표 3-12〉 기업의 기술별, 수준별 디지털 해외 인력 평균 채용 예정 인원 139

〈표 3-13〉 기술별, 수준별 디지털 해외 인력 기업 평균 고용 인원 140

〈표 3-14〉 기업 고용 시 해외 디지털 인력 취득 비자 종류 141

〈표 3-15〉 기업 규모별 비자 종류 141

〈표 3-16〉 기업의 해외 디지털 인력 근속 기간 142

〈표 3-17〉 중요도 측면의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채용 확대를 위한 기업의 제도 개선 요구사항 문항 145

〈표 3-18〉 시급성 측면의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채용 확대를 위한 기업의 제도 개선 요구사항 문항 146

〈표 3-19〉 대학 설문 응답자 분류 148

〈표 3-20〉 대학 고용 시 해외 디지털 인력 취득 비자 종류 149

〈표 3-21〉 기업, 대학 디지털 인재 채용 후 인력 관리 시 어려운 점 150

〈표 3-22〉 중요도 측면의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채용 확대를 위한 대학의 제도 개선 요구사항 문항 152

〈표 3-23〉 시급성 측면의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채용 확대를 위한 대학의 제도 개선 요구사항 문항 153

〈표 3-24〉 심층 인터뷰 개요 163

〈표 3-25〉 심층 인터뷰 내용 구성 164

〈표 3-26〉 해외 디지털 인력 특성 (대상 : 국내 기업 재직) 166

〈표 3-27〉 해외 디지털 인력 특성 (대상 : 국내 대학 졸업, 해외 대학 수학 중) 171

〈표 3-28〉 해외 디지털 인력 특성 (대상 : 해외 국적 한국인) 173

〈표 3-29〉 기업 설문 및 해외 인재 인터뷰 결과 175

〈표 4-1〉 정책 방안 183

[그림 1-1] 2020년 이후 기업 기술 M&A에서 AI의 비중 증가 28

[그림 2-1] 국가별 AI 인재 집중도(2023) 35

[그림 2-2] AI 분야 최상위 연구자들 국적(2019년, 2022년) 37

[그림 2-3] 주요국별 AI분야 논문 수 및 연구자 수 38

[그림 2-4] 북미 지역에 공급되고 있는 다양한 국적의 AI 인재들 41

[그림 2-5] 유럽 딥테크에 종사하는 AI 인재 국적 정보 42

[그림 2-6] AI 인재의 국가 간 이동 그림 43

[그림 2-7] Contact KOREA 홈페이지 54

[그림 2-8] 유학ㆍ정주ㆍ혁신형 외국인정책 협업예산 추진방안 기본 방향 61

[그림 2-9] 체류 단계별 정책조합(policy-mix) 협업체계 63

[그림 2-10] 법무부 新 출입국ㆍ이민정책 추진방안 요약도 64

[그림 2-11] 해외 우수 소프트웨어(SW) 개발자 채용연계 사업 추진체계 67

[그림 3-1] 기업 업력별 조사 기업 수 134

[그림 3-2] 기업 업력별 평균 해외 디지털 인력 비율 137

[그림 3-3] 기업의 해외 디지털 인력 근속 기간 142

해시태그

#해외인재 # 인력자원 # 디지털인재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디지털(ICT) 분야 해외 우수인재 유치방안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