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남녀의 평균 초혼연령이 30여년간 6세 이상 높아졌으며, 1인 가구가 주요 가구 형태로 부상함
ㅇ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27일 「광복 80년, 통계로 본 한국 사회의 변화상」을 발표함
ㅇ 1990년 남성 평균 초혼연령은 27.8세, 여성은 24.8세였으나, 지난해에는 각각 33.9세, 31.6세로 높아짐
ㅇ 출산율은 1980년대 초반부터 대체출산율* 아래로 떨어졌고, 2000년대 초반부터는 초저출산 현상이 20년 넘게 이어지고 있음
*대체출산율: 현재 인구 규모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준
ㅇ 1인 가구 비중은 1990년 한 자릿수에서 2023년 35.5%로 급증하여 2세대 가구 다음으로 많아졌음
- 2세대 가구 비중은 1970년 70%에서 2023년 40.1%로 감소했으며, 3세대 이상 가구는 2.9%로 급감함
□ 인구 고령화 및 생활양식 변화로 만성질환 비율과 자살 사망률이 증가 추세를 보임
ㅇ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6.0%에서 2023년 37.2%로 상승했고, 고콜레스테롤혈증은 2005년 6.6%에서 2023년 20.9%로 크게 뛰었음
ㅇ 사망 원인 1위인 암 발생자 수는 1999년 10만1천856명에서 2022년 28만2천47명으로 20여년 새 3배 가까이 증가함
ㅇ 경제위기와 양극화, 각종 사회 문제 등으로 인하여, 자살 사망률은 1983년 인구 10만명 당 8.7명에서 2011년 31.7명까지 치솟았다가 2023년 27.3명으로 소폭 하락함
- 특히 2023년 기준 70대(39.0명)와 80대 이상(59.4명) 노인의 자살률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남
□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 비율은 증가했으나 여전히 절반을 넘지 못하며, 행복감은 소폭 상승함
ㅇ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2003년 20.4%에서 2024년 40.1%으로, 20여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었음
- '보통'(47.2%)과 '불만족'(12.7%) 응답을 고려할 때 만족 응답 비율이 낮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통계청의 평가임
ㅇ '행복감'은 2013년 6.3점에서 2024년 6.8점으로 상승했으며, 걱정과 우울감(부정 정서)은 2013년 각각 4.5점, 3.4점에서 2024년 4.1점, 3.5점 수준으로 소폭 낮아졌음
[출처] 초혼연령 30여년간 6세↑…'삶 만족' 응답은 여전히 절반 안 돼 (2025.08.27.) / 연합뉴스
ㅇ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27일 「광복 80년, 통계로 본 한국 사회의 변화상」을 발표함
ㅇ 1990년 남성 평균 초혼연령은 27.8세, 여성은 24.8세였으나, 지난해에는 각각 33.9세, 31.6세로 높아짐
ㅇ 출산율은 1980년대 초반부터 대체출산율* 아래로 떨어졌고, 2000년대 초반부터는 초저출산 현상이 20년 넘게 이어지고 있음
*대체출산율: 현재 인구 규모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준
ㅇ 1인 가구 비중은 1990년 한 자릿수에서 2023년 35.5%로 급증하여 2세대 가구 다음으로 많아졌음
- 2세대 가구 비중은 1970년 70%에서 2023년 40.1%로 감소했으며, 3세대 이상 가구는 2.9%로 급감함
□ 인구 고령화 및 생활양식 변화로 만성질환 비율과 자살 사망률이 증가 추세를 보임
ㅇ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6.0%에서 2023년 37.2%로 상승했고, 고콜레스테롤혈증은 2005년 6.6%에서 2023년 20.9%로 크게 뛰었음
ㅇ 사망 원인 1위인 암 발생자 수는 1999년 10만1천856명에서 2022년 28만2천47명으로 20여년 새 3배 가까이 증가함
ㅇ 경제위기와 양극화, 각종 사회 문제 등으로 인하여, 자살 사망률은 1983년 인구 10만명 당 8.7명에서 2011년 31.7명까지 치솟았다가 2023년 27.3명으로 소폭 하락함
- 특히 2023년 기준 70대(39.0명)와 80대 이상(59.4명) 노인의 자살률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남
□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 비율은 증가했으나 여전히 절반을 넘지 못하며, 행복감은 소폭 상승함
ㅇ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2003년 20.4%에서 2024년 40.1%으로, 20여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었음
- '보통'(47.2%)과 '불만족'(12.7%) 응답을 고려할 때 만족 응답 비율이 낮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통계청의 평가임
ㅇ '행복감'은 2013년 6.3점에서 2024년 6.8점으로 상승했으며, 걱정과 우울감(부정 정서)은 2013년 각각 4.5점, 3.4점에서 2024년 4.1점, 3.5점 수준으로 소폭 낮아졌음
[출처] 초혼연령 30여년간 6세↑…'삶 만족' 응답은 여전히 절반 안 돼 (2025.08.27.) / 연합뉴스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광복 80년, 통계로 본 한국 사회의 변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