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보고서는 글로벌 AI 패권경쟁이 ‘인재 중심 경쟁’으로 전환되는 현 시점에서, 중국의 AI 기술굴기 이면에 작동해 온 인재전략을 심층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인재전략의 재설계 방향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AI 분야에서 논문 생산량과 인용 지표 모두에서 세계적인 우위를 확보하며 ‘기술 굴기’의 구체적 성과를 가시화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전체 AI 논문에서 중국 논문의 비중은 약 23.2%에 달하면서 미국(9.2%)을 크게 앞서고, 중국의 AI 논문 인용 수는 전체 AI 논문 인용 수의 22.6%를 차지하여 유럽(20.9%), 미국(13.0%)을 앞지르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또한 중국은 2013년 이후 AI 특허의 양적 측면에서 압도적이며, 2022년 기준 출원·등록 모두 미국을 크게 상회한다. 2022년 중국의 AI 특허 출원 건수는 약 11만 2천 건으로, 미국(약 2만 7천 건)의 4배를 상회했으며, 등록 건수 역시 중국 특허청(CNIPA)이 미 특허청(USPTO)의 약 3배에 달했다. 2023년에는 전 세계 AI 등록 특허 가운데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69.7%에 이르러 사실상 글로벌 선두국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글로벌 AI 인재 측면에서 보고서는 2024년 기준으로 세계 상위 100명의 AI 전문가 중 절반 이상이 중국 내 연구기관 소속 중국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 소속 AI 전문가 20명 중 절반도 중국 출신이나 중국계로 분류되어, 실제로는 세계 최상위 AI 인재의 65% 이상이 중국계에 속한다고 밝혔다. 또한 보고서는 중국의 AI 연구자 수는 약 5만 2,000명으로 미국(약 6만 3,000명)과 함께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2015년까지만 해도 중국의 AI 연구자는 1만 명이 채 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성장률(연평균 30%)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AI 연구자가 4,926명 규모로 전 세계 8위권에 위치하지만, 규모 면에서 중국의 1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AI 패권경쟁 승리공식: 중국의 인재전략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