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4
PART 1. 연구배경 5
1. 계획 수립의 배경 및 방향 5
1) 배경 및 법적 근거 5
2) 계획 수립방향 6
3) 계획 수립 성격 및 역할 6
4) 계획수립경위 6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범위 7
1) 연구 목적 7
2) 연구 범위 7
3. 주요 연구 내용 9
1) 연구 범위 9
PART 2. 국내외 여건 및 현황 분석 11
1. 국내외 여건 변화 11
1) 국내 인구 감소 및 지역격차 확대 11
2)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12
3) 디지털 대전환과 도시공간 혁신 12
4)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변화 가속화 13
5) 펜데믹의 확산과 비대면 산업 활성화 14
2. 국내 스마트도시 사업 추진 현황 16
1) 범정부 정책방향 16
2) 국내 스마트도시 정책 방향 20
3) 타 부처 스마트도시 사업 추진 현황 23
4) 국내 스마트도시 사업 추진 현황 26
5) 국가시범도시 사업 추진 현황 32
6) 스마트도시 관련 국내 산업시장 추정 36
3. 해외 스마트시티 추진 현황 39
1) 글로벌 스마트도시 시장 전망 39
2) 글로벌 스마트시도시 정책동향 40
4. 평가 및 시사점 59
1) 새로운 스마트도시 사업모델 발굴 필요 59
2) 도시데이터 기반으로 스마트도시 고도화 필요 59
3) 민간 주도의 스마트도시 산업생태계 조성 필요 60
4) 스마트도시 선진국으로 역할확대 필요 60
5. 개선 방향 정립 위한 SWOT 분석 67
PART 3. 중장기 정책 추진방향 69
1. 스마트도시 정책 패러다임 변화 69
2. 제4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비전 및 추진전략 수립 70
PART 4.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세부 추진전략 71
1. 지속가능한 공간모델 확산 71
2. AIㆍ데이터 중심 스마트도시 실현 95
1) 데이터허브 활성화 환경 조성 95
2) AI 기반 데이터 허브 고도화 101
3)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도시 조성 106
3. 민간 친화적 산업생태계 조성 111
1) 어반테크 기반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활성화 111
2) 거버넌스 강화 및 규제혁신 114
3) 민간 주도 산업생태계 조성 117
4) 스마트도시 산업 지원 120
4. K-스마트도시 해외진출 활성화 124
1) 국제협력 네트워크 강화 124
2) 한국형 스마트도시의 해외 확산 129
5. 추진일정 137
PART 5.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수립지원 139
1.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간담회 개최 139
1)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전문가 간담회 개최 139
2)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청년 간담회 개최 139
3)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산업계 간담회 개최 140
4)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스마트도시위원회 민간위원 간담회 개최 140
5) 간담회 결과 및 주요 의견 141
2.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공청회 개최 144
1)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공청회 개최 144
2) 공청회 개최 결과 및 주요 의견 144
PART 6. 결론 및 기대효과 148
1. 결론 148
2. 기대효과 149
[별책 1] 제4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업무협의 및 보고 151
[별책 2] 제4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전문가 자문회의 15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제4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수립 연구 용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