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디지털 시대의 화폐, 혁신과 신뢰의 조화 :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

□ 한국은행은 27일 발표한 「디지털 시대의 화폐, 혁신과 신뢰의 조화 :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 보고서를 통해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한국 경제의 새 가능성을 여는 열쇠일 수 있지만, 동시에 또 다른 불안의 씨앗이 될 수도 있다'며 '혁신을 안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신뢰가 중요한 만큼 제도적 안전판이 긴요하다'고 밝힘
 ㅇ 141페이지 분량의 이번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정보·연구·논란을 총정리한 '한은판 스테이블코인 백서'에 해당함 

□ 스테이블코인의 잠재 불안 요소로는 ▲ 디페깅(스테이블코인의 가치가 연동 자산의 가치와 괴리되는 현상) 위험 ▲ 코인런(코인 투자자의 대규모 현금상환 요구) 등 금융안정 위협 ▲ 소비자 보호 공백 ▲ 외환·자본 규제 우회 위험 ▲ 통화정책 효과 약화 ▲ 금융중개 기능 약화 등이 거론됨
 ㅇ 한은이 위험의 근거로 제시한 해외 사례나 분석을 보면, 스테이블코인은 본질적으로 법정통화와 '1대 1 가치 유지'를 약속하지만 2023년 초 USDC(써클)의 경우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의 영향으로 한 때 0.88달러까지 떨어짐 
 ㅇ 아울러 한은은 보고서에서 ''1코인=1원' 약속은 발행사와 이용자 간 사적 계약일 뿐, 국가나 중앙은행이 이를 법·제도적으로 보증하지 않는다' '발행사가 상환 약속을 지키지 못할 경우, 스테이블코인 보유자는 예금자와 달리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보호도 받을 수 없다'고 경고함 
 ㅇ 스테이블코인이 외환·자본 규제를 우회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옴. 예를 들어 국내 투자자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익명 거래가 가능한 개인 지갑으로 옮긴 뒤 달러 스테이블코인 등 다른 자산으로 바꿔 해외로 옮겨도 현재 별다른 규제를 받지 않음
 ㅇ 스테이블코인이 통화정책의 효과를 제약할 가능성도 제기됨. 한은은 현재 지급준비제도, 공개시장운영, 은행 앞 유동성 대출제도 등을 통해 통화량을 조절하고 있지만 스테이블코인 관련 통제 수단이 없음
 ㅇ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으로 단기 금리 변동성이 커질 수도 있음.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국채 등 준비자산 매입이 단기 금리에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임

□ 한국은행은 해법으로 은행 중심의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다시 제안함
 ㅇ 은행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의 주체가 되거나, 은행권이 주도하는 컨소시엄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되면 문제의 상당 부분이 현행 규제 체계에서 관리될 수 있다는 주장임
 ㅇ 한은은 'IT 기업 등 비은행 기업도 은행 중심 컨소시엄에 참여해 혁신과 성장을 끌어낼 수 있다'고 강조함
 ㅇ 예금 토큰*을 원화 스테이블코인과 병행 사용하자는 주장도 나옴. 한은은 '은행이 주도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등장하고, 예금토큰과 상호 보완적으로 설계된다면 민간의 혁신과 공공의 신뢰가 조화되는 이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함

* 예금 토큰은 은행 예금을 토큰 형태의 디지털 자산으로 변환한 것으로, 한은이 운영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은행이 발행하고 관리함. 금융소비자들은 이 예금 토큰을 물품이나 서비스 구매 등에 사용할 수 있음
 ㅇ 아울러 '미국 자유은행 시대의 은행권, 조선 후기 당백전처럼 신뢰를 얻지 못한 화폐는 언제나 같은 결말을 맞았다'며 '혁신에만 집착해 반드시 갖춰야 할 안전장치를 도외시해선 안 된다'고 조언함
 
[출처] 한은 '스테이블코인, 은행 중심 발행하고 예금토큰과 병행해야' (2025.10.27.) / 연합뉴스

목차

표제지 1

목차 2

Executive summary 4

Ⅰ. 스테이블코인과 통화ㆍ금융시스템의 미래 16

Ⅱ. 스테이블코인 현황 27

1.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유통구조 28

2. 스테이블코인 시장 현황 34

Ⅲ. 스테이블코인의 잠재적 발전 가능성 43

1. 가상자산 생태계 성장 지원 44

2. 기존 지급결제시스템 구조 개선 48

3. 국가간 지급의 효율성 제고 50

Ⅳ. 스테이블코인의 한계 51

1. 화폐의 단일성(singleness) 훼손 52

2. 블록체인 기술의 규제 준수 기능 및 한계 53

3. 블록체인 기술의 운영상 한계 60

4. 기존 지급결제시스템 구조 개선의 한계 62

Ⅴ. 스테이블코인이 가져올 수 있는 리스크 66

1. 금융ㆍ경제에 미치는 영향 67

2. 우리나라의 특수성에 따른 추가 리스크 77

(1) 외환 및 자본유출입 관리 정책에 미치는 영향 77

(2) 금융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 87

Ⅵ.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정책 대응 95

1. 그간의 국제기구 및 중앙은행의 대응: 스테이블코인 리스크를 지속 경고 96

2. 한국은행의 대응: 디지털화폐 시스템을 통한 미래 통화ㆍ금융 인프라 구축 104

3. 바람직한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 110

4. 스테이블코인 세부 규율 방안 118

[부록 1] 주요국의 가상자산 및 스테이블코인 규제 현황 124

[부록 2] 기타 국가들의 법정통화 연동형 스테이블코인 허용여부 및 실제 발행 현황 127

[부록 3]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Q&A 128

참고문헌 141

[표 Ⅱ-1] 주요 스테이블코인의 준비자산 비중 35

[표 Ⅱ-2] 통화별 스테이블코인 발행 비중(2025.6월) 36

[표 Ⅱ-3] 업권별 지급수단 활용 추진현황 39

[표 Ⅳ-1] 블록체인 플랫폼의 분류 53

[표 Ⅳ-2] 블록체인의 자금세탁방지 규제 준수 관련 기능 및 필요사항 55

[표 Ⅳ-3] 한국 및 미국 신용카드 수수료율 추이 63

[표 Ⅵ-1]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주요국 중앙은행의 입장 99

[표 Ⅵ-2] 스테이블코인 관련 주요국 중앙은행의 권한 103

[표 Ⅵ-3] 비은행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 방안별 비교 113

[표 Ⅵ-4] 전자금융거래법상 지급수단에 대한 규제 121

[그림 Ⅱ-1] 스테이블코인 발행 구조 29

[그림 Ⅱ-2] 스테이블코인 유통 구조 30

[그림 Ⅱ-3] 가상자산 거래소 유형 및 구조 30

[그림 Ⅱ-4] 기관투자자 상환 구조 31

[그림 Ⅱ-5] 일반투자자(개인 및 법인) 상환 구조 31

[그림 Ⅱ-6]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조 32

[그림 Ⅱ-7] 주요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34

[그림 Ⅱ-8] 가상자산 거래 결제수단 비중 34

[그림 Ⅱ-9] 스테이블코인 준비자산 변화 35

[그림 Ⅱ-10] 기업별 직원 1인당 매출액(2024년) 36

[그림 Ⅱ-11]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의 스테이블코인 거래금액 및 보유금액 37

[그림 Ⅱ-12]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의 스테이블코인 입출고(국내 ↔ 해외) 37

[그림 Ⅱ-13] 국내-해외 거래소간 가상자산 이전 38

[그림 Ⅱ-14] 스테이블코인 목적별 거래 규모(2024년) 39

[그림 Ⅲ-1] Pancakeswap 거래화면(예시) 45

[그림 Ⅲ-2] 스테이블코인과 블록체인 생태계 45

[그림 Ⅲ-3] 스마트계약 활용 운송대금 결제 사례 48

[그림 Ⅲ-4] 현행 신용카드 결제시스템(미국)과 스테이블코인 결제 비교 49

[그림 Ⅳ-1] 화폐의 단일성 52

[그림 Ⅳ-2] 토큰화 플랫폼별 규제수준 53

[그림 Ⅳ-3] 퍼블릭ㆍ허가형 블록체인의 규제 우회 위험 61

[그림 Ⅳ-4] 디지털 결제서비스 이용 경험률 63

[그림 Ⅳ-5] 국가간 지급에서 송금 은행의 자금세탁방지 규제 준수 절차 64

[그림 Ⅳ-6] 국가간 지급에서 수취 은행의 자금세탁방지 규제 준수 절차 64

[그림 Ⅴ-1] 테더와 써클의 준비자산 구성 70

[그림 Ⅴ-2] 미국ㆍ유로지역ㆍ한국의 장단기 국채 발행잔액의 GDP대비 비중 비교 70

[그림 Ⅴ-3]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35억 달러 증가에 대한 미 국채(3개월) 수익률 반응 70

[그림 Ⅴ-4] 국내 무역범죄 및 가상자산 이용 비중 78

[그림 Ⅴ-5] 글로벌 온체인 불법 거래 규모 및 달러 스테이블코인 이용 비중 추정 78

[그림 Ⅴ-6] 스테이블코인과 금융산업구조 변화 87

[그림 Ⅴ-7]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준비자산을 전액 단기 국채 및 MMF에 투자한 경우 90

[그림 Ⅴ-8]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준비자산을 전액 은행 예금에 투자한 경우 91

[그림 Ⅵ-1] 한국은행의 디지털화폐 관련 주요 연구 및 사업 105

[그림 Ⅵ-2] 프로젝트 한강의 예금토큰 주요 사용처 106

[그림 Ⅵ-3] 예금토큰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 구매절차(예시) 106

[그림 Ⅵ-4] 탄소배출권 유통 모의실험 107

[그림 Ⅵ-5] 일반 고객 대상 토큰화 증권 발행 모의실험 107

[그림 Ⅵ-6] 금융기관 대상 토큰화 증권 발행 모의실험 107

[그림 Ⅵ-7] 스테이블코인과 예금토큰의 공존으로 안전한 디지털생태계 구성 109

[그림 Ⅵ-8] 주요국 규제 논의단계 111

[그림 Ⅵ-9] 스테이블코인 이용자 보호 장치 120

참고목차 3

[참고 Ⅰ-1] 통화ㆍ금융시스템의 기본 구조 22

[참고 Ⅰ-2] 미국 자유은행 시대(free-banking era)의 교훈 23

[참고 Ⅱ-1] 스테이블코인의 역사 33

[참고 Ⅱ-2]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파생상품 거래 38

[참고 Ⅱ-3] 업권별 스테이블코인의 지급수단 활용 추진 현황 40

[참고 Ⅲ-1] 탈중앙화 거래소를 통한 거래 구조 46

[참고 Ⅲ-2] 토큰증권 발행 및 유통 구조 47

[참고 Ⅲ-3] 기존 환거래은행을 통한 국가간 지급의 문제점 50

[참고 Ⅳ-1] 퍼블릭ㆍ허가형 블록체인 플랫폼의 KYC ID 수행 과정(예시) 55

[참고 Ⅳ-2] 스테이블코인 거래 과정에서 KYC/AML 규제 가능영역 56

[참고 Ⅳ-3] 블록체인의 자금세탁방지 규제 준수 관련 보완 필요사항 56

[참고 Ⅳ-4] 국내 금융기관의 자금세탁방지 규제 준수 사항 58

[참고 Ⅳ-5] 유럽 내 핀테크 및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의 AML 규제 준수에 관한 평가 59

[참고 Ⅴ-1]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따른 전체 통화량 변화 추정 67

[참고 Ⅴ-2] 준비자산 보유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 71

[참고 Ⅴ-3] 준비자산 확보와 스테이블코인의 가치 안정성 73

[참고 Ⅴ-4] 스테이블코인과 머니마켓펀드(MMF) 74

[참고 Ⅴ-5] 스테이블코인의 불법 활용 사례 81

[참고 Ⅴ-6]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외환 및 자본유출입 규제 우회 사례 82

[참고 Ⅴ-7] 현행 자본유출입 관련 규제 85

[참고 Ⅴ-8]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시 규제 우회 위험 확대 사례 86

[참고 Ⅴ-9] 스테이블코인과 내로우뱅킹(narrow banking) 비교 88

[참고 Ⅴ-10] 그간의 내로우뱅킹 논의와 시사점 89

[참고 Ⅴ-11] 한국과 미국의 금산분리 관련 규제 비교 94

[참고 Ⅵ-1] 스테이블코인 이용 확산에 따른 영향 및 리스크(BIS) 96

[참고 Ⅵ-2] 유럽의 달러 스테이블코인 대응 100

[참고 Ⅵ-3] 주요국 중앙은행의 혁신 연구 사례 100

[참고 Ⅵ-4] PYUSD 대규모 오발행(overminting) 사고와 시사점 114

[참고 Ⅵ-5] 「The Looming Threat of Uninsured Nonbank Stablecoins」 주요 내용 115

[참고 Ⅵ-6] 스테이블코인과 선불전자지급수단 비교 116

해시태그

#스테이블코인 # 디지털화폐 # 블록체인 # 가상자산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디지털 시대의 화폐, 혁신과 신뢰의 조화 :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