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시간 11월17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트럼프 행정부가 제출한 가자지구 결의안 초안을 표결에 부친다. 11월 4일 제출된 이 초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는 평화위원회 설치, 국제안정화군 창설, 재건 관리 체계 구축을 핵심으로 하며, ‘가자 분쟁 종식 종합구상’을 유엔 제도권 안으로 편입하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이러한 구조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평화위원회와 팔레스타인 위원회 간 권한 배분, 다국적 병력 확보, 법·지배구조 마련, 재건 재원 조달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다수 국가가 해당 초안 지지를 공식화한 지난 11월 14일, 러시아는 평화위원회와 국제안정화군 배치를 인정하지 않는 대안 결의안을 회람하며 견제에 나섰다. 그럼에도 미국 내에서는 가자 평화 합의가 “수많은 생명을 구한 외교적 성과”라는 인식이 초당적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 상승과 전·현직 민주당 지도부의 긍정적인 평가까지 더해지며 결의안 추진의 국내 정치적 기반이 강화되는 흐름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가자 안정화 접근에서는 대통령 측근 네트워크와 실용주의 외교가 결합한 양상이 나타난다.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와 재러드 쿠슈너는 기업 협상 방식의 신속한 의사결정과 현장 중심 접근을 통해 평화 합의에 관여했으며 안보리 논의가 이어지던 11월 9일에도 가자지구를 찾아 휴전 이행과 재건 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트럼프의 사위인 쿠슈너뿐 아니라 스티브 위트코프의 아들 잭 위트코프가 트럼프 가족이 상당 지분을 보유한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의 최고경영자로 재직 중이라는 사실은, 가자 구상을 둘러싼 주요 조율 구조가 트럼프의 극히 제한된 측근 인맥을 중심으로 형성돼 있음을 보여준다. 결의안 채택 여부는 향후 중동 내 정세와 강대국 경쟁 구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에 우리는 한미동맹의 전략적 연속성을 토대로 원칙적 지지를 표명하되, 중동 주요국과의 양자 협력이 유엔 차원 논의나 이행 과정과 충돌하지 않도록 조정하며 외교적 자율성과 영향력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출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출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유엔 결의안 표결을 앞둔 트럼프 행정부의 가자 안정화 접근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