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기후위기 등 신종 복합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의 정부는 증거 기반 정책 수립, 예견적 정부를 위한 디지털 혁신, 문제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애자일(agile) 정부로의 전환 뿐만 아니라, 데이터와 AI를 활용한 디지털 정부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회도서관은 정부혁신의 개념과 배경, 국제적 혁신 트렌드, 주요국의 정부혁신 추진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팩트북 제104호 「정부혁신」을 발간하였습니다. 이번 팩트북이 미래정부의 국가경쟁력 제고에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바랍니다.






해시태그
참고자료
- 정부혁신 : 한눈에 보기 (2023.09.25.) / 국회도서관
- 주요국의 국가전략 : 한눈에 보기 (2022.03.21.) / 국회도서관
-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 (2023.04.14.) / 관계부처 합동
-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2023.04.14.) /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 2023년 정부혁신 종합계획 (2023.03.) / 관계부처 합동
- 윤석열정부 120대 국정과제 (2022.07.) / 대한민국 정부
-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 (2022.05.03.) /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 국민 삶의 질. 2022 (2023.02.20.) / 통계청 통계개발원
-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개념과 특징 (2022.10.12.)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 대전환기 국가 역할 재정립과 정부운영전략 탐색 (2022.06.)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정부조직개편의 현황과 주요 쟁점 (2022.04.14.) / 국회입법조사처
- Human Development Report 2021-22 : Uncertain Times, Unsettled Lives - Shaping our Future in a Transforming World (2022.09.08.)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 World Happiness Report 2022 (2022.03.18.) /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 주요국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현황 분석 (2022.06.22.)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 Blueprint for an AI Bill of Rights : making automated systems work for the American people (2022.10.04.) / The White House
- 바이든 신행정부의 주요 정책 전망과 시사점 : 특별보고서 (2021.01.27.) / 국회입법조사처
- 영국과 중국의 과학기술 최상위 행정체계 개편과 시사점 (2023.05.08.)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 주요국 인공지능 정책 동향 : 미국, EU, 영국, 일본, 중국 (2023.04.26.) /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 디지털랜드 핀란드 :디지털 나침반 계획과 정부개혁 (2023.06.15.) / 국회도서관
- Government report : Finland’s Digital Compass (2022.12.02) / Finnish Government
- Digital Public Administration factsheet 2022: Finland (2022.08.02.) / European Commission
- 프랑스 개황. 2023 (2023.06.16.) / 외교부
- [2022년 국회 특별기획 정책토론회] 현행 정부조직개편과 조직기능 재설계에 관한 방향과 과제 (2022.12.16.) / 정우택 국회부의장, 한국정책개발학회
- 디지털 대전환 시대 정부혁신 : 정부혁신포럼 (2022.09.05.) / 한국행정연구원 미래행정혁신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