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지]
목차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배경 7
제2절 연구내용 및 목적 8
제2장 이론적 논의와 사례 검토 10
제1절 개념적 논의 10
1. 개념의 역사와 역사적 배경 10
2. '삶의 질' 개념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 13
3. 삶의 질 측정에 대한 다양한 접근 20
제2절 삶의 질 지수 작성 사례 24
1. 국가 단위의 연구 24
2. 국제비교 목적의 연구 35
3. 사례검토 결과 36
제3장 삶의 질 지수 구성 체계 및 산출 방법 38
제1절 영역구성 38
1. 삶의 질 측정 영역 38
2. 개별 영역들의 삶의 질과의 관련성 40
제2절 영역별 지표선정 45
1. 지표 선정 기준 45
2. 영역별 세부 주제 및 지표 선정 47
참고문헌 97
〈부록1〉 해외사례 검토 전문 99
I. 일본 사회지표의 변천 및 현황 99
1. 일본 사회지표 작성의 배경 및 변천과정 99
2. 사회지표들의 특성과 내용 요약 100
3. 신국민생활지표(PLI)의 특성과 생활개혁지수(LRI)의 특성 비교 105
4. 생활개혁지수의 작성과정 및 결과 107
II. 캐나다 웰빙 지수(Canadian Index of Wellbeing) 117
1. 생활수준영역(Living Standard Domain) 119
2. 건강 영역(Health Population Domain) 121
3. 공동체 활력(Community Vitality Domain) 영역 125
4. 민주적 참여 영역(Democratic Engagement Domain) 127
5. 여가와 문화 영역(Leisure and Culture Domain) 130
6. 시간사용 영역(Time Use Domain) 134
7. 교육 영역(Education Domain) 136
8. 환경 영역(Environment Domain) 138
III. 부탄의 국민행복지수(Gross National Happiness) 140
1. 개요 140
2. 국민총행복지수의 구성(Gross National Happiness) 140
3. GNH Index variables 148
4. 부탄의 GNH지수 결과 152
IV. Wellbeing in the Netherlands -The SCP life situation index since 1974- 1974년 이후 네덜란드의 삶의 질 지표(LSI) / Jeroen Boelhouwer 156
1. 네덜란드의 삶의 질 지표(Life Situation Index, LSI) 157
2. 사회지표와 삶의 질 지표의 역사적 배경 158
3. '삶의 질'과 기타 개념들 159
4. LSI의 영역과 지표 161
5. LSI의 개념틀 166
6. LSI의 지표항목 169
7. 30년간 네덜란드의 삶의 질 평가 결과 172
8. 안정성과 민감성 176
9. 결론 178
〈표 1〉 알라트의 삶의 질 정의 17
〈표 2〉 빈호벤의 삶의 질 정의 17
〈표 3〉 잡프의 삶의 질 정의 18
〈표 4〉 일본의 생활개혁 지수 26
〈표 5〉 캐나다 웰빙 지수의 영역 및 측정 내용 29
〈표 6〉 GNH의 영역별 세부내용 31
〈표 7〉 인간개발지수의 구성 지표 35
〈표 8〉 OECD How's Life 영역 및 지표 36
〈표 9〉 삶의 질 영역 구분의 비교 : 통계청 기존 삶의 질 지수 및 OECD How's Life 39
〈표 10〉 삶의 질 지수 지표 구성안 47
〈표 11〉 통계개발원 '삶의 질 측정'과 OECD의 NIW(National Index of Well-being) 48
〈표 12〉 물질적 조건의 세부지표 53
〈표 13〉 교육의 세부 지표 60
〈표 14〉 건강의 세부 지표 65
〈표 15〉 삶의 질 세부지표 : 문화와 여가 69
〈표 16〉 삶의 질 세부지표 : 가족과 공동체 74
〈표 17〉 삶의 질 세부지표 : 시민사회와 민주적 참여 80
〈표 18〉 삶의 질 세부지표 : 환경 87
〈표 19〉 삶의 질 세부지표 : 안전 91
[그림 1] 캐나다의 웰빙 만다라(Mandala of Wellbeing) 29
[그림 2] OECD How's Life의 개념적 프레임 36
[그림 3] 삶의 질의 만다라(본 연구) 40
[그림 4] 삶의 질 영역 간의 영향관계 41
[그림 5] 물질적 조건의 중범위 분류간 관계 53
[그림 6] 교육의 중범위 범주간 관계 59
[그림 7] 건강 영역 삶의 질 모형 64
[그림 8] 여가와 문화 관련 삶의 질 모형 69
[그림 9] 가족과 공동체 72
[그림 10] 시민사회와 민주적 참여 77
[그림 11] 환경 영역 체계도 86
[그림 12] 안전 영역 체계도 9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국민 삶의 질 측정을 위한 분석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