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국가 지식정보체계 구축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국회도서관의 역할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최종보고서

목차

표제지 1

목차 4

제1장 서론 1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2. 연구의 범위 13

3. 연구의 방법 14

4.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5

제2장 국가 지식정보 측면에서의 환경변화 분석 16

1. 환경변화로부터 분관 설립 당위성 토대 마련 16

1.1. 현황 분석을 통한 분관 설립 당위성 마련 16

1.2. 국회도서관 설립 근거 및 목적 44

1.3. 국가 지식정보 측면에서의 분관 운영 사례 조사 50

1.4. 국가 지식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미래 대응 전략 분석 61

1.5.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국회도서관의 역할 토대 마련 72

2. 국가 지식정보 공유 관련 내외부적 수요 분석 74

2.1. 국내ㆍ외 주요 기관의 지식정보 공유서비스 동향 조사ㆍ분석 74

2.2. 미래 국가 지식정보 공유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 조사 80

제3장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필요성 및 운영방향 94

1.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필요성 96

1.1. 국가 경쟁력 및 국가 발전을 위한 지식정보역량 제고 97

1.2. 국가경쟁력 실현에 있어서 현 국회도서관 체계의 한계 100

1.3. 국가 지식정보체계 구축 및 역량의 확대 측면 101

1.4.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의 지역별 지식거점 측면 104

1.5. 국가 문헌자료의 수장 능력 확대 및 분산 소장 측면 108

1.6. 아날로그 및 디지털 자료의 특성화 기반 분산 보존을 통한 재난관리 측면 112

1.7. 국회의원의 정책수립을 위한 서비스 균형 제공 측면 114

1.8. 연구도서관 기능의 확장을 통한 국회의 역량강화 측면 115

2. 국회도서관 분관의 비전 및 기능 116

2.1. 국회도서관 분관의 비전 및 기능 설정의 기본 방향 116

2.2. 국회도서관 분관의 비전 및 목표 119

2.3. 국회도서관 분관의 핵심 기능 123

2.4. 국회도서관 분관의 기능 및 세부 추진 내용 140

3. 국회도서관 분관의 운영 목표 및 운영 방향 142

3.1. 국회도서관 분관의 운영 목표 142

3.2. 국회도서관 분관의 운영 방향 144

제4장 본관과 분관의 역할분담 제시 147

1. 본관과 분관의 직무 현황 147

1.1. 국회도서관의 법률상 직무 147

1.2. 국회도서관의 본관과 부산 분관 직무 분담 분석 147

2. 국회도서관 본관과 분관의 역할 분담 150

2.1. 국회도서관 지역 분관의 필요성 150

2.2. 국회도서관 광주 분관의 역할 152

2.3. 국회도서관 본관, 부산 분관, 광주 분관의 역할 설정 153

제5장 분관 건립의 위치 및 규모 분석 156

1. 위치 분석 및 규모 분석 156

1.1. 입지 선정을 위한 여건 분석 156

1.2. 입지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162

1.3. 적정규모 도출을 위한 분석 167

2. 국회도서관 분관 건축 구상 171

2.1. 국회도서관 분관의 기능을 고려한 소요시설 프로그램 171

2.2. 사업비 분석 189

2.3. 사업기간 분석 192

제6장 분관 건립 및 개관 추진 로드맵 196

1. 국회도서관 분관 건립 추진 로드맵 196

2. 국회도서관 개관 추진 로드맵 199

제7장 결론 및 제언 20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4

2. 국가 지식정보 측면에서의 환경변화 분석 204

3.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필요성 207

4. 본관과 분관과의 역할분담 제시 208

5. 분관 건립의 위치 및 규모 분석 211

6. 분관 건립 및 개관 추진 로드맵 214

7. 제언 216

참고문헌 218

〈표 2-1〉 국회도서관 개요 17

〈표 2-2〉 국회도서관 부서별 업무 18

〈표 2-3〉 국회도서관 층별 시설 현황 22

〈표 2-4〉 국회도서관 소장장서 현황(2024.10.31. 기준) 23

〈표 2-5〉 최근 5년간 국회도서관 방문 이용자 수 24

〈표 2-6〉 국회도서관의 국회의원 및 입법부 대상 서비스 목록 24

〈표 2-7〉 국회도서관의 학술ㆍ연구자 대상 서비스 목록 26

〈표 2-8〉 국회도서관의 저작권 서비스 목록 28

〈표 2-9〉 국회도서관의 장서 기반 정보서비스 목록 29

〈표 2-10〉 국회부산도서관 부서별 업무 31

〈표 2-11〉 국회부산도서관 층별 시설 현황 32

〈표 2-12〉 국회부산도서관 소장장서 현황(2024.10. 기준) 32

〈표 2-13〉 국회부산도서관 온라인 콘텐츠 구독 현황(2024.10. 기준) 33

〈표 2-14〉 국회부산도서관의 의회ㆍ법률정보서비스 목록 33

〈표 2-15〉 국립도서관별 소재 위치 39

〈표 2-16〉 기록물 관련 기관별 소재 위치 41

〈표 2-17〉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개요 50

〈표 2-18〉 국립세종도서관 개요 52

〈표 2-19〉 미국 의회도서관 개요 53

〈표 2-20〉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개요 54

〈표 2-21〉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국립어린이도서관의 기본적 역할 55

〈표 2-22〉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간사이관의 기본 기능 56

〈표 2-23〉 영국 국립도서관 개요 56

〈표 2-24〉 프랑스 국립도서관 개요 58

〈표 2-25〉 2023 KISTI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 61

〈표 2-26〉 IFLA 전략계획 2019-2024의 가치 62

〈표 2-27〉 IFLA 전략계획 2019-2024의 전략방향 및 핵심 이니셔티브 62

〈표 2-28〉 미국 의회도서관 2024-2028 전략계획의 목표 및 목적 64

〈표 2-29〉 영국 도서관의 지식 문제 2023-2030 계획의 기본 가치관 65

〈표 2-30〉 영국 도서관의 지식 문제 2023-2030 계획의 목적 및 우선사항 65

〈표 2-31〉 독일국립도서관 2021-2024 전략적 우선 과제의 핵심 행동 분야별 상세 목표 68

〈표 2-32〉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2021-2024 미래전략의 목표 및 중점사업 70

〈표 2-33〉 World Digital Library의 서비스 고려사항(Van Oudenaren, 2017) 83

〈표 2-34〉 American Memory 제공 컬렉션 84

〈표 2-35〉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의 공간별 서비스 모델 기본 방향 87

〈표 2-36〉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의 공간구성 현황 88

〈표 3-1〉 국회도서관 분관의 기능 및 세부 추진 내용 140

〈표 4-1〉 본관과 부산 분관의 직무 집중도 149

〈표 4-2〉 본관과 부산 분관의 역할 구분 153

〈표 4-3〉 본관과 부산 분관, 광주 분관의 역할 구분 154

〈표 5-1〉 현실성 평가항목 163

〈표 5-2〉 접근성 평가항목 163

〈표 5-3〉 연계성 평가항목 164

〈표 5-4〉 역사ㆍ인식성 평가항목 164

〈표 5-5〉 확장성 평가항목 164

〈표 5-6〉 현실성 평가점수표 165

〈표 5-7〉 접근성 평가점수표 165

〈표 5-8〉 연계성 평가점수표 165

〈표 5-9〉 역사ㆍ인식성 평가점수표 166

〈표 5-10〉 확장성 평가점수표 166

〈표 5-11〉 입지후보지 평가(안) 166

〈표 5-12〉 광역대표도서관 및 국회부산도서관 규모 검토 168

〈표 5-13〉 국회도서관 분관 사업비 191

〈표 5-14〉 사업 추진일정표 192

〈표 6-1〉 국회도서관 분관 건립 추진 로드맵 단계별 주요 내용 197

〈표 6-2〉 국회부산도서관 건립 추진경과 198

〈표 6-3〉/〈표 6-2〉 국회도서관 분관 개관 추진 로드맵의 주요 항목별 업무 200

〈표 6-4〉/〈표 6-3〉 국회도서관 분관 개관 추진 로드맵의 주요 항목별 추진 일정 203

〈그림 2-1〉 국회도서관 조직도 18

〈그림 2-2〉 국회도서관 내 국가전략정보센터 22

〈그림 2-3〉 AI의정분석서비스 아르고스 상임위원회별 이슈 키워드 제공 26

〈그림 2-4〉 「학술연구자정보 공유(K-Scholar)」 사업 목표 27

〈그림 2-5〉 「학술연구자정보 공유(K-Scholar)」 사업 방향 27

〈그림 2-6〉 「학술연구자정보 공유(K-Scholar)」 사업 기대효과 27

〈그림 2-7〉 「국가학술정보 클라우드」 플랫폼 28

〈그림 2-8〉 「국가학술정보 클라우드」로 표준화된 학술정보 융합데이터 28

〈그림 2-9〉 국회부산도서관 30

〈그림 2-10〉 국회부산도서관 조직도 31

〈그림 2-11〉 국회부산도서관 지방의정 뉴스레터 34

〈그림 2-12〉 국회부산도서관 학령기 대상 프로그램 35

〈그림 2-13〉 국회부산도서관 성인 대상 프로그램 36

〈그림 2-14〉 국회부산도서관 협력 프로그램 37

〈그림 2-15〉 국회도서관 및 관련 시설 분포 38

〈그림 2-16〉 국립도서관 지역별 분포 40

〈그림 2-17〉 기록물 관련기관 지역별 분포 41

〈그림 2-18〉 국내 공공도서관 지역별 분포 현황(2023) 42

〈그림 2-19〉 국회도서관 SWOT 분석 43

〈그림 2-20〉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조직도 51

〈그림 2-21〉 국립세종도서관 조직도 52

〈그림 2-22〉 국립중앙도서관 대국민서비스 기획전시 사례 74

〈그림 2-23〉 국가전략정보포털 상임위별 자료 큐레이션 76

〈그림 2-24〉 국회부산도서관 대국민서비스 사례 76

〈그림 2-25〉 네덜란드 왕립도서관 대국민서비스 사례 78

〈그림 2-26〉 국립중앙도서관 지식정보공유 운영 사례 80

〈그림 2-27〉 경상북도문화콘텐츠진흥원 라키비움 지식정보공유 운영 사례 82

〈그림 2-28〉 미국 의회도서관의 디지털 컬렉션 84

〈그림 2-29〉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디지털도서관 Gallica 86

〈그림 2-30〉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좌석배치도 88

〈그림 2-31〉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 운영 사례 88

〈그림 2-32〉 연세대학교 학술정보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사례 91

〈그림 3-1〉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필요성 및 운영방향 도출 과정 95

〈그림 3-2〉 국회도서관의 사명, 비전, 목표 119

〈그림 3-3〉 지방의회 정보센터로서 지방의회 관련 자료의 통합관리 및 지원 123

〈그림 3-4〉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 각 지방 의정 지원서비스 124

〈그림 3-5〉 한국형 국회 GLAM(Korea Assembly Lachiveum)의 구현 방향 133

〈그림 3-6〉 국회도서관 분관의 학술연구도서관으로서의 특성화된 전문 서비스 제공 135

〈그림 3-7〉 국회도서관 자료의 안전한 분산 보존과 이중 보존 137

〈그림 3-8〉 해외 국회도서관 자료 목록에 대한 총괄 구축 및 서비스 138

〈그림 3-9〉 국회도서관 분관의 운영 목표 및 운영 방향 142

〈그림 4-1〉 공공도서관 지역별 분포 현황 151

〈그림 4-2〉 본관과 분담의 역할 분담 155

〈그림 5-1〉 국립도서관 지역별 분포 157

〈그림 5-2〉 기록물 관련 기관 및 공공도서관 지역별 분포 현황 158

〈그림 5-3〉 전국 4년제 대학교 수 및 학생 수 159

〈그림 5-4〉 부지 선정 프로세스 163

〈그림 5-5〉 도서관 유형별 규모 분석 167

〈그림 5-6〉 도서관 유형별 규모 분석 172

〈그림 5-7〉 이상적인 공공도서관 Diagram 173

〈그림 5-8〉 도서관 공간방향 트렌드 174

〈그림 5-9〉 융합공간 공간사례 175

〈그림 5-10〉 개방공간 공간사례 177

〈그림 5-11〉 개념공간 공간사례 178

〈그림 5-12〉 우미미라이 도서관 179

〈그림 5-13〉 무사시노 예술대학 도서관 180

〈그림 5-14〉 네덜란드 알미어 공공도서관 181

〈그림 5-15〉 덴마크 젤링 공공도서관 181

〈그림 5-16〉 대영도서관 전시공간 사례 182

〈그림 5-17〉 다목적실 사례 183

〈그림 5-18〉 예시 조감도 1 187

〈그림 5-19〉 예시 조감도 2 187

〈그림 5-20〉 예시 조감도 3 188

〈그림 5-21〉 국회도서관 분관 사업비 산출 189

〈그림 5-22〉 통합디자인 계획 프로세스 193

〈그림 5-23〉 통합디자인 설계공모 방식 194

〈그림 6-1〉 도서관 건립 체계 196

〈그림 6-2〉 국회도서관 분관 개관 추진 로드맵 199

해시태그

#지역균형발전 # 국회도서관 # 국회도서관분관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국가 지식정보체계 구축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국회도서관의 역할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최종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