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은 24일, 「2025년 10대 유망기술(Top 10 Emerging Technologies of 2025)」을 발표함
ㅇ 세계경제포럼(WEF)은 매년 ‘10대 유망 기술(Emerging Technologies)' 보고서를 통해 향후 3~5년 내 사회·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기술을 발표하고 있음. '2025년 10대 유망기술'은 13번째 시리즈임
□ 올해의 10대 기술은 ▲신뢰와 안전, ▲지속가능한 산업, ▲인간 건강, ▲에너지와 소재의 융합이라는 4가지 흐름이 주축을 이룸. 이들을 관통하는 열쇳말은 건강과 지속가능성, 도시의 회복탄력성임. 포럼의 10대 기술엔 각국 정부에 관련 기술 개발과 관련한 규제를 없애고 재정 지원을 촉구하려는 의도도 담겨 있음
□ 세계경제포럼(WEF) <2025년 10대 유망 기술>
1. 구조화 배터리 복합재 (Structural Battery Composites, SBCs)
ㅇ 자동차나 비행기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동시에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소재
ㅇ 배터리 구조물 자체에도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술로 탄소섬유나 에폭시 수지 등 가볍고 강도가 높은 복합소재로 구성됐으며 3차원(3D) 프린팅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음
2. 삼투압 발전 시스템 기술 (Osmotic power systems)
ㅇ 삼투압 발전은 바닷물·민물과 같이 염분 농도가 다른 두 수계 사이 삼투압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태양광이나 풍력과 달리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원이 될 수 있음
3. 차세대 원자력 기술 (Advanced nuclear technologies)
ㅇ 소형 모듈 원자로(SMR) 같은 더 작은 원자력발전소와 가스 냉각 원자로를 사례로 꼽음. 기존 원자력 발전소에 비해 안전성이 높고, 입지 선택의 범위도 넓다는 이점이 있음
4. GLP-1 계열 신약 기술 (GLP-1s for neurogenerative disease)
ㅇ 덴마크의 노보노디스크가 개발한 오젬픽, 위고비로 대표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용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수용체 작용제
ㅇ 이 약물이 뇌 신경에도 영향을 끼쳐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에도 유망한 효과를 낸다는 연구와 초기 임상시험 결과가 잇따라 나오고 있어 현재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는 이들 질환에 새로운 희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5. 생체공학 치료제 (Engineered living therapeutics)
ㅇ 몸안에서 치료 물질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미생물을 이용한 치료 기술
ㅇ 몸안에서 치료제를 생산하면 바이오의약품의 생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환자가 큰 거부감 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약물을 공급받을 수 있음
6. 생화학 신호 센서 기술 (Autonomous biochemical sensing)
ㅇ 효소, 항체, 살아 있는 세포 등을 결합한 작은 센서로 사람의 개입 없이도 24시간 내내 건강이나 환경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
7. 녹색 질소 고정 기술 (Green nitrogen fixation)
ㅇ 화석연료 대신 전기를 사용해 질소 비료를 만드는 기술
ㅇ 친환경 질소 고정 기술은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나 플라스마, 광촉매를 이용해 암모니아를 만들어 농업부문의 탄소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음
8. 나노자임 기술 (Nanozymes)
ㅇ 천연 효소의 기능을 모방하면서도 더 높은 안정성과 저비용이 특징인 인공 나노 소재 기반 촉매
9. 협력 감지 (Collaborative Sensing)
ㅇ 서로 다른 대상이나 환경을 감지하는 여러 센서나 장치들이 보내오는 정보를 공유해 더 정확하고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술
10. 생성형 워터마킹 기술 (Generative AI watermarking)
ㅇ AI 콘텐츠에 신뢰성과 출처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등 생성물에 보이지 않는 디지털 마커를 삽입
[출처]
미래 ‘블루오션’ 후보로 지목된 10가지 첨단기술 (2025.06.30.) / 한겨레
비만치료제, 치매까지 정복?…다보스포럼이 꼽은 '10대 미래기술' (2025.06.24.) / 매일경제
ㅇ 세계경제포럼(WEF)은 매년 ‘10대 유망 기술(Emerging Technologies)' 보고서를 통해 향후 3~5년 내 사회·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기술을 발표하고 있음. '2025년 10대 유망기술'은 13번째 시리즈임
□ 올해의 10대 기술은 ▲신뢰와 안전, ▲지속가능한 산업, ▲인간 건강, ▲에너지와 소재의 융합이라는 4가지 흐름이 주축을 이룸. 이들을 관통하는 열쇳말은 건강과 지속가능성, 도시의 회복탄력성임. 포럼의 10대 기술엔 각국 정부에 관련 기술 개발과 관련한 규제를 없애고 재정 지원을 촉구하려는 의도도 담겨 있음
□ 세계경제포럼(WEF) <2025년 10대 유망 기술>
1. 구조화 배터리 복합재 (Structural Battery Composites, SBCs)
ㅇ 자동차나 비행기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동시에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소재
ㅇ 배터리 구조물 자체에도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술로 탄소섬유나 에폭시 수지 등 가볍고 강도가 높은 복합소재로 구성됐으며 3차원(3D) 프린팅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음
2. 삼투압 발전 시스템 기술 (Osmotic power systems)
ㅇ 삼투압 발전은 바닷물·민물과 같이 염분 농도가 다른 두 수계 사이 삼투압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태양광이나 풍력과 달리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원이 될 수 있음
3. 차세대 원자력 기술 (Advanced nuclear technologies)
ㅇ 소형 모듈 원자로(SMR) 같은 더 작은 원자력발전소와 가스 냉각 원자로를 사례로 꼽음. 기존 원자력 발전소에 비해 안전성이 높고, 입지 선택의 범위도 넓다는 이점이 있음
4. GLP-1 계열 신약 기술 (GLP-1s for neurogenerative disease)
ㅇ 덴마크의 노보노디스크가 개발한 오젬픽, 위고비로 대표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용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수용체 작용제
ㅇ 이 약물이 뇌 신경에도 영향을 끼쳐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에도 유망한 효과를 낸다는 연구와 초기 임상시험 결과가 잇따라 나오고 있어 현재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는 이들 질환에 새로운 희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5. 생체공학 치료제 (Engineered living therapeutics)
ㅇ 몸안에서 치료 물질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미생물을 이용한 치료 기술
ㅇ 몸안에서 치료제를 생산하면 바이오의약품의 생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환자가 큰 거부감 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약물을 공급받을 수 있음
6. 생화학 신호 센서 기술 (Autonomous biochemical sensing)
ㅇ 효소, 항체, 살아 있는 세포 등을 결합한 작은 센서로 사람의 개입 없이도 24시간 내내 건강이나 환경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
7. 녹색 질소 고정 기술 (Green nitrogen fixation)
ㅇ 화석연료 대신 전기를 사용해 질소 비료를 만드는 기술
ㅇ 친환경 질소 고정 기술은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나 플라스마, 광촉매를 이용해 암모니아를 만들어 농업부문의 탄소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음
8. 나노자임 기술 (Nanozymes)
ㅇ 천연 효소의 기능을 모방하면서도 더 높은 안정성과 저비용이 특징인 인공 나노 소재 기반 촉매
9. 협력 감지 (Collaborative Sensing)
ㅇ 서로 다른 대상이나 환경을 감지하는 여러 센서나 장치들이 보내오는 정보를 공유해 더 정확하고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술
10. 생성형 워터마킹 기술 (Generative AI watermarking)
ㅇ AI 콘텐츠에 신뢰성과 출처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등 생성물에 보이지 않는 디지털 마커를 삽입
[출처]
미래 ‘블루오션’ 후보로 지목된 10가지 첨단기술 (2025.06.30.) / 한겨레
비만치료제, 치매까지 정복?…다보스포럼이 꼽은 '10대 미래기술' (2025.06.24.) / 매일경제
목차
Foreword 03
Building strategic foresight 04
Introduction 05
Methodology 06
1 Structural battery composites 09
2 Osmotic power systems 12
3 Advanced nuclear technologies 15
4 Engineered living therapeutics 18
5 GLP-1s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21
6 Autonomous biochemical sensing 24
7 Green nitrogen fixation 27
8 Nanozymes 30
9 Collaborative sensing 33
10 Generative watermarking 36
From weak signals to societal transformation 39
Contributors 40
Endnotes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