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산업성은 반도체・디지털 인프라・디지털산업의 향후 정책 방향을 검토하기 위한 「반도체・디지털 산업전략」을 발표함
□ ’21년 6월, 「반도체・디지털 산업전략」 공표 후 2년이 경과하였고, 러・우 사태로 경제안보의 중요성 및 디지털화・환경 관련 대응이 필요함에 따라 개정 발표함
□ 반도체・디지털산업의 방향성
① 디지털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DX, GX를 달성하는 동시에 순환경제사회,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회를 구축하여 고도의 디지털 사회 실현
□ 개별 전략
① 반도체 분야
- ’30년까지 일본 내 반도체 생산 매출액을 15조엔 이상 달성함으로써 일본 반도체의 안정적 공급 확보
② 정보처리 분야
- 차세대 정보처리기반 정비를 통한 산업기반 구축
- 생성형 인공지능 산업전략
③ 고도 정보통신・인프라 분야
- 디지털 인프라 정비
④ 이차전지 분야
- ’30년까지 제조 능력을 확립*하여 개발・생산을 선도하는 세계 거점 구축 실현
□ 종합 정책
① 반도체・이차전지 등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대응력 강화
② 차세대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자본 강화 방안 지원 검토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21년 6월, 「반도체・디지털 산업전략」 공표 후 2년이 경과하였고, 러・우 사태로 경제안보의 중요성 및 디지털화・환경 관련 대응이 필요함에 따라 개정 발표함
□ 반도체・디지털산업의 방향성
① 디지털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DX, GX를 달성하는 동시에 순환경제사회,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회를 구축하여 고도의 디지털 사회 실현
□ 개별 전략
① 반도체 분야
- ’30년까지 일본 내 반도체 생산 매출액을 15조엔 이상 달성함으로써 일본 반도체의 안정적 공급 확보
② 정보처리 분야
- 차세대 정보처리기반 정비를 통한 산업기반 구축
- 생성형 인공지능 산업전략
③ 고도 정보통신・인프라 분야
- 디지털 인프라 정비
④ 이차전지 분야
- ’30년까지 제조 능력을 확립*하여 개발・생산을 선도하는 세계 거점 구축 실현
□ 종합 정책
① 반도체・이차전지 등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대응력 강화
② 차세대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자본 강화 방안 지원 검토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목차
1.改定の趣旨・考え方
2.半導体・デジタル産業を取り巻く状況
(1)国内外の潮流
(2)各分野の動向
3.半導体・デジタル産業戦略(令和3年6月公表)の実施状況
(1)半導体分野
(2)情報処理分野
(3)高度情報通信インフラ分野
(4)蓄電池分野
4.半導体・デジタル産業の目指すべき方向性
5.個別戦略
(1)半導体分野
(2)情報処理分野
(3)高度情報通信インフラ分野
(4)蓄電池分野
(5)その他重要分野
6.横断的政策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半導体・デジタル産業戦略
(반도체·디지털 산업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