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RCEP 발효 1년, 농식품 수출입 영향과 시사점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은 세계 최대 규모의 메가 FTA로 2022년 2월 1일 발효됨.
• RCEP 체결은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ASEAN, 중국, 호주, 뉴질랜드와 기존 FTA 협정을 강화하고, 우리나라와 교역 규모가 큰 일본과 신규 FTA를 체결하는 효과가 있음.
• 농산물 수출 측면에서는 상호대응세율 제도가 폐지되어 상호주의가 적용되던 ASEAN 일부 국가들에 대한 추가개방 효과가 기대됨.

RCEP 발효로 인한 추가 관세 인하 폭이 낮아 수출입활용률은 낮은 편임.
• RCEP 발효 이후 관세가 즉시 철폐된 중국산 덱스트린의 2022년 RCEP 수입활용률은 72.2%였으며, 장기간에 걸친 관세 철폐로 RCEP 1년 차에 세율 감축 폭이 작은 일본산 고양이 사료의 수입활용률은 62.8%, 맥주 72.1%, 위스키 68.1%로 나타났음.
• RCEP을 통한 상호주의 폐지 품목 중 관세가 철폐된 품목들의 수출활용률은 50% 수준이었으며, 일본의 경우 관세 인하 기간이 길어 상대적으로 수출활용률이 낮게 나타났지만, 추후 관세 인하 폭이 커진다면 특혜관세 활용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됨.

ASEAN 일부 국가에서 유지되던 상호주의 폐지와 추후 일본으로 수출하는 품목의 관세 인하 폭이 커진다면, 우리나라 농축산물 수출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음.
• ASEAN 일부 국가와 상호주의가 폐지되면서 농축산물 수출에 있어 기회가 될 수 있으며, 현재 단계에서 수출량 및 수출액이 크지 않더라도 향후 해당 국가로의 수출 전략 수립 시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음.
• 오랜 기간에 걸쳐 관세가 철폐되는 일본으로의 특혜관세 활용률은 관세 인하 폭이 커짐에 따라 상승할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의 수출에서 FTA 특혜관세 정보를 활용하여 많은 수출업체가 관세 인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보 제공이 필요함.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3

01. RCEP 체결 현황 4

02. RCEP 발효에 따른 농식품 수출입 변화 9

2.1. RCEP 참여국가별 농식품 교역 9

2.2. 주요 품목별 교역 11

2.3. RCEP 추가개방 품목의 교역 13

03. RCEP 발효에 따른 수출입활용률 변화 15

3.1. 주요 품목의 RCEP 수입활용률 15

3.2. RCEP 발효에 따른 주요 품목의 수출활용률 16

04. 요약 및 시사점 19

참고문헌 21

판권기 2

표 1. RCEP 협정 추진 경과(완료) 4

표 2. RCEP 협정의 농업 부문 기체결 FTA 대비 추가개방 품목(한국 측 개방 품목) 5

표 3. RCEP 협정의 농업 부문 기체결 FTA 대비 추가개방 품목(상대국 개방 품목) 7

표 4. RCEP 발효 전후 RCEP 국가별 농식품 수입 동향 9

표 5. RCEP 발효 전후 RCEP 국가별 농식품 수출 동향 10

표 6. RCEP 발효 전후 주요 농식품 수입액 동향과 주요 국가 11

표 7. RCEP 발효 전후 주요 농식품 수출액 동향과 주요 국가 12

표 8. RCEP 협정을 통한 추가개방 주요 품목 수입액 동향 13

표 9. RCEP 상대국 추가개방 주요 품목 수출액 동향 14

표 10. 발효 1년 차(2022년) RCEP 협정세율 적용 수입액 16

그림 1. RCEP 발효에 영향을 받은 국가의 FTA 수출활용률 추세 18

해시태그

#농산물시장 # 관세 # 농식품무역 # 자유무역협정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RCEP 발효 1년, 농식품 수출입 영향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