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한국경제 성장의 현황과 도전 : 성장의 지속성과 역동성

□ 한국경제학회는 국민경제자문회의의 용역을 받아 7월 17일 「한국경제 성장의 현황과 도전 : 성장의 지속성과 역동성」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함. 한국경제학회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은 2010년 총요소생산성이 경제 성장률에 기여한 비중이 45%에 달한 반면, 한국의 생산성 성장 기여도는 -4%로 오히려 성장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잠재성장률은 자본, 노동, 총요소생산성(기술개발·경영혁신 등 무형효과)으로 구성되는데,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총요소생산성이 1%p 이내로 유지되며 성장이 일어나지 않고 있음. 게다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저출생·고령화 현상도 저성장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음

□ 한국경제학회가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경제성장률은 2030년 1.68%, 2040년 0.97%, 2050년 0.89%, 2060년 0.44% 로 하락해 2070년에는 0.38%까지 낮아짐. 총인구뿐만 아니라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해 2030년 국내 노동 성장률은 마이너스(-0.39%)를 기록하는 등 일손 부족 사태도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 한국경제학회는 ”한국 경제는 부가가치와 기술 수준이 높은 품목으로 성공적으로 구조 전환을 하면서 지속적인 고성장을 일궜지만 반도체 산업 성장 이후 새로운 산업으로의 전환이 더 이상 빠르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혁신 성장을 위한 정책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함. 저출생 대응과 관련해서는 ”결혼에 대한 세제혜택 등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며, 결혼하고 아이를 키우는게 어렵지 않도록 관련 제도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함

[출처] “조만간 0%대로 뚝 떨어질 것”...전문가가 경고한 성장률, 이유는 (2023.08.27.) / 매일경제

목차

표제지

목차

서론 4

1. 한국 경제성장의 특징 5

(1) 한국경제의 성장 5

(2) 성장회계 분석을 통한 한국 경제성장의 특징 8

(3) 주요 성장 국면별 한국 경제성장의 특징 10

2. 산업구조변화의 특징 16

3. 한국경제의 도전: 저성장에 대한 진단 20

(1) 자본기여의 감소와 생산성 하락 20

(2) 산업화의 한계와 새로운 주력산업으로의 구조변화 정체 26

(3) 인구구조 고령화로 인한 성장률 하락 전망 30

(4) 인구감소를 상쇄하기 위한 고용증진 정책의 한계 32

4. 생산성 성장의 특징과 기업동학 양상의 변화 36

(1) 창업의 중요성과 기업동학의 감소 36

(2) 젊은사업체의 성장과 생산성 증가 41

5. 한국은 미국을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인가: 전망과 현실 45

6. 정책적 함의 51

7. 참고문헌 56

〈표 1〉 통계청 인구전망 결과 : 2020-2070년 31

〈표 2〉 경제성장률 전망 32

〈표 3〉 과거 정부의 신성장동력 관련 산업정책 52

〈그림 1〉 경제성장률 6

〈그림 2〉 일인당 소득(2017년, 미국 달러 기준) 7

〈그림 3〉 한국 성장회계 결과 8

〈그림 4〉 생산성(TFP)성장률 10

〈그림 5〉 성장회계의 국제비교 11

〈그림 6〉 생산성 수준의 국제비교 16

〈그림 7〉 산업의 구조변화 17

〈그림 8〉 경제발전 단계에 따른 제조업의 부가가치 및 고용 비중변화 18

〈그림 9〉 주요 수출품목의 변화 19

〈그림 10〉 생산요소 성장기여도 비교 22

〈그림 11〉 노동생산성 추세(2020Q1 대비) - 한국 vs. 미국 23

〈그림 12〉 연령별 고용률 - 30대, 40대, 50대 24

〈그림 13〉 연령별 고용률 - 60세 이상 25

〈그림 14〉 고용률 25~54세 : 한국 vs. 미국 26

〈그림 15〉 고용률 55세 이상 : 한국 vs. 미국 26

〈그림 16〉 산업별 생산성의 OECD와의 비교 28

〈그림 17〉 서비스 산업 생산성(제조업대비) 29

〈그림 18〉 생산성 성장률의 비교(제조업과 서비스 산업) 30

〈그림 19〉/〈그림 23〉 성장률 시나리오 33

〈그림 20〉 성장률 시나리오에 따른 고용률 34

〈그림 21〉 성장률 시나리오에 따른 실질임금 35

〈그림 22〉 성장률 시나리오에 따른 실질임금(기준성장률 실질임금 대비) 36

〈그림 23〉 창업률과 진입사업체의 비중 추이(1990-2017) 37

〈그림 24〉 젊은 사업체의 비중(1990-2017) 38

〈그림 25〉 아시아 주요 국가의 창업률과 젊은 기업의 비중 추이 39

〈그림 26〉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 분해 40

〈그림 27〉 사업체 연혁별 생산성 및 증가율 41

〈그림 28〉 젊은 사업체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42

〈그림 29〉 연혁별 내부효과의 추이 43

〈그림 30〉 생산성 증가의 산업별 기여도 변화 44

〈그림 31〉 신생기업의 생산성 증가 기여도: 산업의 기술집약도별 45

〈그림 32〉 실질 성장률 전망 46

〈그림 33〉 일인당 소득 전망(2017년, 미국 달러 기준) 46

〈그림 34〉 일인당 소득 전망(2020년 대비) 47

〈그림 35〉 일인당 소득 성장률 47

〈그림 36〉 인구성장률 48

〈그림 37〉 주요 산업 생산성의 미국과의 비교 49

〈그림 38〉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 50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한국경제 #경제정책 #경제성장률 #노동생산성 #산업구조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