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한 에듀테크 활성화 종합방안

목차

표제지

목차

Ⅰ. 에듀테크의 개념과 활용 6

01. 에듀테크의 개념과 특징 7

02. 에듀테크 활용의 효과성 분석 15

Ⅱ. 환경 및 현황 분석 24

01. 에듀테크 시장 및 동향 분석 25

02. 에듀테크 활용 환경 분석 41

03. 교육 현장 및 기업의 요구분석 52

Ⅲ. 에듀테크 생태계 조성 방안 67

01. 에듀테크 생태계의 개념 및 특징 68

02. 에듀테크 생태계의 미래 모형과 성공요인 79

Ⅳ. 정책과제별 추진 방안 87

01. 정책과제 도출 과정 및 개선 방향 88

분야 01. 에듀테크 활용도 제고 97

분야 02. 에듀테크 산업 육성 117

분야 03. 에듀테크 지원체계 정립 141

분야 04. K-에듀테크 글로벌 협력 확산 161

Ⅴ. 정책 집행과 후속 과제 175

[부록]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한 에듀테크 활성화 종합방안 연구 개요 182

참고문헌 185

판권기 196

표 2-1. 2022년 초중등 분야 에듀테크 분야별 제품 39

표 2-2. 제1~6차 교육정보화 기본계획의 특징 42

표 2-3.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주요과제 45

표 2-4. 교육현장의 에듀테크 활용 현황 설문문항 구성 53

표 2-5. 교육현장 대상 설문 응답자 특성 53

표 2-6. 교육현장의 에듀테크 활용 경험 여부 54

표 2-7. 에듀테크 활용 유형 및 정도(교과수업) 55

표 2-8. 에듀테크 활용 유형 및 정도(학급ㆍ학생관리/행정업무지원) 56

표 2-9. 에듀테크 활용 과정에서 느낀 좋은 점 57

표 2-10. 에듀테크 활용 과정에서 느낀 어려운 점 58

표 2-11. 에듀테크 활용이 어려웠던 주요 이유 59

표 2-12. 에듀테크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 60

표 2-13. 에듀테크 활용을 위해 지원되어야 할 사항 61

표 2-14. 에듀테크 기업의 요구 분석 설문문항 구성 62

표 2-15. 에듀테크 기업 대상 설문 응답자 특성 63

표 2-16. 에듀테크 산업진흥 정부정책 종합 만족도 64

표 2-17. 에듀테크 산업진흥 법률 제정 및 진흥원 신설 필요성 66

표 3-1. CPNDS에 의한 에듀테크 산업 분류 72

표 4-1. 문제 분석을 통한 주요 과제 도출 및 개선 방향 89

표 4-2. 에듀테크 활성화 세부 과제 및 주요 내용 92

표 4-3. 에듀테크 전문인력의 역할 관련 연구 동향 103

표 4-4. 바우처 금액 산정 방안 108

표 4-5. 에듀테크 소프트랩 실증 프로그램 유형 확대 방안 120

표 4-6. 한국형 에듀테크 증거 기준(안)(K-Edtech evidence Framework) 121

표 4-7. NESTA의 에듀테크 혁신 테스트베드 4단계 123

표 4-8. NESTA의 에듀테크 실증 모델 123

표 4-9. 영국 NESTA 증거 기준 프레임워크 125

표 4-10. 교육 현안 해결형 에듀테크 개발 참여 주체(학교ㆍ기업)별 역할 예시 126

표 4-11. 페다고지 교육훈련 구성(안) 136

표 4-12. 신규 에듀테크 전문인력 양성교육 구성(안) 137

표 4-13. 재직자 역량 향상교육 구성(안) 137

표 4-14. 에듀테크 활용 지원인력 양성교육 구성(안) 138

표 4-15. 1EdTech의 Student Learning Data Model 구성 내용 150

표 4-16. 국가별 에듀테크 정책/계획 시행 책임 조직 158

표 4-17. 해외 주요 박람회 170

표 5-1. 과제별 추진일정 177

그림 1-1. 에듀테크의 정의 9

그림 2-1. 14개국 국가별 디지털 교육정책 현황 26

그림 2-2. 국내 에듀테크 시장 규모 및 전망 27

그림 2-3. 세계 에듀테크 산업 지출 추이 전망 28

그림 2-4. 에듀테크 주요 기술들의 지출 추이 및 전망 29

그림 2-5. Holon IQ의 에듀테크 산업 분류체계 32

그림 2-6. NAVITAS의 에듀테크 생태계 분류체계 33

그림 2-7. 글로벌 에듀테크 기업분포 34

그림 2-8. 국내ㆍ외 학습콘텐츠 영역 비즈니스 분야 비교 35

그림 2-9. 국내ㆍ외 기술 플랫폼 영역 비즈니스 분야 비교 36

그림 2-10. 국내ㆍ외 네트워크 기반 부문 비즈니스 분야 비교 37

그림 2-11. 국내ㆍ외 에듀테크 기업 디바이스 부분 비즈니스 분야 37

그림 2-12. 2022년 대한민국 에듀테크 마켓맵 38

그림 2-13. 6단계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비전 및 전략 44

그림 2-14. 디지털 시대 교육의 대전환 방향 47

그림 2-15/그림 2-17. 에듀테크 공급자 애로사항 65

그림 3-1. 에듀테크 활용 교육 생태계의 구성 69

그림 3-2. 현(As-Is) 에듀테크 활용 교육 생태계의 문제점 74

그림 3-3. CPS(Cyber-Physical System) 기반의 에듀테크 활용 모델 79

그림 3-4. 교육 전환에 따른 교수자의 역할 변화 82

그림 3-5. 에듀테크 활용 교육 생태계 미래(To-Be) 모델 83

그림 4-1. 에듀테크 활성화의 문제점 및 해결을 위한 추진과제 연계도(안) 90

그림 4-2. 에듀테크 활성화 비전, 추진 전략 및 과제 91

그림 4-3. 중앙 및 권역(거점)별 에듀테크 지원센터의 역할도 102

그림 4-4. 학교의 구매 절차 간소화를 위한 K-에듀파인과 S2B 간 연계 방안 106

그림 4-5. 에듀테크 소프트랩 운영 모델 확대(안) 118

그림 4-6. 에듀테크 소프트랩 실증 절차 119

그림 4-7. Competencies and Academic Standards Exchange Frameworks 134

그림 4-8. 1EdTech가 정의한 디지털 전환 147

그림 4-9. 1EdTech가 정의한 Student Learning Data Model (예시) 150

그림 4-10.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단계별 1EdTech의 에듀테크 표준 목록 152

그림 4-11. 미국, Greenville County Schools의 디지털 학습 생태계 구성 153

그림 4-12. 미국의 에듀테크 제품에 대한 EdSurge Index 페이지 154

그림 4-13. 1EdTech에서 제공하는 Student Learning Data Model 중 미디어 객체 데이터 사전 155

그림 4-14. 해외진출 전략 수립 절차도 163

그림 4-15. 싱가포르 Smart Nation Initiative 166

그림 4-16. Singapore : State of Edtech Report 2022 (Skills Nation) 166

그림 4-17. Bett Show 인사이트 공유 사례 172

그림 5-1. 에듀테크 활성화 종합방안 연구 절차 183

그림 5-2. 전문가 작업반 구성도 184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에듀테크 # 디지털교육 # 교육혁신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