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광역지역별 인력수급 전망 : 2020~2030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32

제1장 서론 47

제2장 광역지역별 노동시장 숙련 특성 분석 49

제1절 서론 49

제2절 광역지역별 교육 수준 51

제3절 광역지역별 숙련 수준 54

제4절 광역지역별 노동시장 성과 61

제5절 광역지역별 교육 및 숙련 수준과 노동시장 성과 64

제6절 소결 86

제3장 지역별 고령자 노동시장 분석 87

제1절 서론 87

제2절 인구구조 및 고령자 노동시장 변화와 특징 89

제3절 지역별 고령자 노동시장 특성 99

제4절 소결 126

제4장 지역별 청년층 인력수급 및 노동시장 분석 129

제1절 서론 129

제2절 지역별 청년층 인력수급 분석 131

제3절 지역별 청년층 실업자 및 비경제활동인구 분석 154

제4절 지역별 청년층 임금 근로 일자리 특성 분석 171

제5절 소결 187

제5장 광역지역별 산업별 실질부가가치 전망 191

제1절 서론 191

제2절 지역 경제 동향 및 현황 196

제3절 전망 모형 구축 237

제4절 광역지역별 산업별 GRDP 전망 292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326

제6장 수도권 인력수급 전망 329

제1절 수도권 산업구조 및 지역 노동시장 개관 329

제2절 수도권 인력수급 전망 결과 357

제3절 소결 391

제7장 대전ㆍ충남권 인력수급 전망 394

제1절 대전ㆍ충남권 산업구조 및 지역 노동시장 개관 394

제2절 대전ㆍ충남권 인력수급 전망 결과 410

제3절 소결 432

제8장 충북권 인력수급 전망 436

제1절 충북권 산업구조 및 지역 노동시장 개관 436

제2절 충북권 인력수급 전망 결과 446

제3절 소결 459

제9장 세종권 인력수급 전망 462

제1절 세종권 산업구조 및 지역 노동시장 개관 462

제2절 세종권 인력수급 전망 결과 472

제3절 소결 485

제10장 강원권 인력수급 전망 487

제1절 강원권 산업구조 및 지역 노동시장 개관 487

제2절 강원권 인력수급 전망 결과 498

제3절 소결 510

제11장 대구ㆍ경북권 인력수급 전망 513

제1절 대구ㆍ경북권 산업구조 및 지역 노동시장 개관 513

제2절 대구ㆍ경북권 인력수급 전망 결과 528

제3절 소결 550

제12장 동남권(부산ㆍ울산ㆍ경남) 인력수급 전망 552

제1절 동남권(부산ㆍ울산ㆍ경남) 산업구조 및 지역 노동시장 개관 552

제2절 동남권(부산ㆍ울산ㆍ경남) 인력수급 전망 결과 570

제3절 소결 596

제13장 광주ㆍ전남권 인력수급 전망 600

제1절 광주ㆍ전남권 산업구조 및 지역 노동시장 개관 600

제2절 광주ㆍ전남권 인력수급 전망 결과 620

제3절 소결 646

제14장 전북권 인력수급 전망 652

제1절 전북권 산업구조 및 지역 노동시장 개관 652

제2절 전북권 인력수급 전망 결과 664

제3절 소결 680

제15장 제주권 인력수급 전망 684

제1절 제주권 산업구조 및 지역 노동시장 개관 684

제2절 제주권 인력수급 전망 결과 695

제3절 소결 708

제16장 지역별 공공고용서비스 현황 분석 71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11

제2절 고용서비스의 주요 개념 713

제3절 우리나라 고용서비스의 주요 현황 715

제4절 우리나라 지역별 공공고용서비스 현황 727

제5절 소결 737

제17장 결론: 지역별 인력수급 전망 결과 및 시사점 738

참고문헌 744

[부록 1] 광역지역별 인력수급 전망 방법 747

[부표] 5장 부표 751

판권기 756

〈표 2-1〉 광역지역별 교육 수준 비중 추이(2013~2021년) 51

〈표 2-2〉 직업 숙련도(skill-level) 분류 체계 54

〈표 2-3〉 숙련 수준에 따른 산업별ㆍ직업별 비중(2021년 기준) 55

〈표 2-4〉 숙련 수준에 따른 직업별 비중 변화(2021년 기준) 57

〈표 2-5〉 전국 학력 및 숙련 수준별 비중(2021년 기준) 57

〈표 2-6〉 광역지역별 전년도 대비 경제활동인구 비율 및 평균 임금 수준 증감률(2014~2021년) 61

〈표 2-7〉 전국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3~2021년) 65

〈표 2-8〉 수도권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3~2021년) 66

〈표 2-9〉 대전ㆍ충남권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3~2021년) 69

〈표 2-10〉 충북권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3~2021년) 71

〈표 2-11〉 세종권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7~2021년) 73

〈표 2-12〉 강원권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3~2021년) 74

〈표 2-13〉 산업별 평균 임금 수준(2021년 기준) 75

〈표 2-14〉 대구ㆍ경북권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3~2021년) 76

〈표 2-15〉 동남권(부산ㆍ울산ㆍ경남)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3~2021년) 79

〈표 2-16〉 광주ㆍ전남권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3~2021년) 80

〈표 2-17〉 전북권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3~2021년) 82

〈표 2-18〉 제주권 교육 및 숙련 수준의 비중과 노동시장 성과 추이(2013~2021년) 84

〈표 3-1〉 연령대별 주요 고용지표 변화 93

〈표 3-2〉 지역별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의 장기 추이 100

〈표 3-3〉 지역별 인구수 변화 102

〈표 3-4〉 지역별 고령인구(55세 이상) 비중 103

〈표 3-5〉 지역별 고령자 고용률 현황 107

〈표 3-6〉 지역별 65세 이상 취업자 성별 비중 112

〈표 3-7〉 지역별 65세 이상 취업자 학력별 비중 114

〈표 3-8〉 지역별 65세 이상 취업자 산업별 비중 115

〈표 3-9〉 지역별 65세 이상 취업자 직업별 비중 117

〈표 3-10〉 지역별 65세 이상 취업자 종사상지위별 비중 119

〈표 3-11〉 분석 자료 기초통계 123

〈표 3-12〉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가 고령자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 124

〈표 3-13〉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가 고령자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차분 모형) 125

〈표 4-1〉 지역별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수 133

〈표 4-2〉 지역별 청년층 생산가능인구 수 134

〈표 4-3〉 지역별 연령대별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수 137

〈표 4-4〉 지역별 연령대별 청년층 생산가능인구 수 137

〈표 4-5〉 지역별 성별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수 138

〈표 4-6〉 지역별 성별 청년층 생산가능인구 수 139

〈표 4-7〉 지역별 교육 수준별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수 140

〈표 4-8〉 지역별 교육 수준별 청년층 생산가능인구 수 140

〈표 4-9〉 지역별 청년층 취업자 수 143

〈표 4-10〉 지역별 연령대별 청년층 취업자 수 146

〈표 4-11〉 지역별 성별 청년층 취업자 수 147

〈표 4-12〉 지역별 교육 수준별 청년층 취업자 수 148

〈표 4-13〉 지역별 청년층 취업자의 종사상지위별 구성 149

〈표 4-14〉 지역별 청년층 취업자의 산업별 구성 150

〈표 4-15〉 지역별 청년층 취업자의 직업별 구성 153

〈표 4-16〉 지역별 청년층 실업자 수 155

〈표 4-17〉 지역별 청년층 실업률 156

〈표 4-18〉 지역별 연령대별 청년층 실업자 수 157

〈표 4-19〉 지역별 연령대별 청년층 실업률 157

〈표 4-20〉 지역별 성별 청년층 실업자 수 158

〈표 4-21〉 지역별 성별 청년층 실업률 158

〈표 4-22〉 지역별 교육 수준별 청년층 실업자 수 160

〈표 4-23〉 지역별 교육 수준별 청년층 실업률 160

〈표 4-24〉 지역별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수 163

〈표 4-25〉 지역별 연령대별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수 164

〈표 4-26〉 지역별 성별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수 165

〈표 4-27〉 지역별 교육 수준별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수 166

〈표 4-28〉 지역별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니트 수 169

〈표 4-29〉 지역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 수 172

〈표 4-30〉 지역별 연령대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 수 174

〈표 4-31〉 지역별 성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 수 174

〈표 4-32〉 지역별 교육 수준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 수 175

〈표 4-33〉 지역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의 종사상지위별 구성 176

〈표 4-34〉 지역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의 사업체 규모별 구성 177

〈표 4-35〉 지역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의 산업별 구성 178

〈표 4-36〉 지역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의 직업별 구성 179

〈표 4-37〉 지역별 전체 임금 근로자 월임금 181

〈표 4-38〉 지역별 청년층 임금근로자 월임금 181

〈표 4-39〉 지역별 전체 임금 근로자 주당 근로시간 183

〈표 4-40〉 지역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 주당 근로시간 184

〈표 4-41〉 지역별 전체 임금 근로자 시간당 임금 185

〈표 4-42〉 지역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 시간당 임금 185

〈표 5-1〉 전망 지역 및 산업의 범위 194

〈표 5-2〉 산업분류 연계 195

〈표 5-3〉 서울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197

〈표 5-4〉 부산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199

〈표 5-5〉 대구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02

〈표 5-6〉 인천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04

〈표 5-7〉 광주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07

〈표 5-8〉 대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09

〈표 5-9〉 울산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12

〈표 5-10〉 세종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14

〈표 5-11〉 경기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17

〈표 5-12〉 강원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19

〈표 5-13〉 충청북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21

〈표 5-14〉 충청남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23

〈표 5-15〉 전라북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26

〈표 5-16〉 전라남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28

〈표 5-17〉 경상북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31

〈표 5-18〉 경상남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33

〈표 5-19〉 제주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실질부가가치) 235

〈표 5-20〉 서울특별시 추정 결과 241

〈표 5-21〉 부산광역시 추정 결과 245

〈표 5-22〉 대구광역시 추정 결과 248

〈표 5-23〉 인천광역시 추정 결과 251

〈표 5-24〉 광주광역시 추정 결과 254

〈표 5-25〉 대전광역시 추정 결과 257

〈표 5-26〉 울산광역시 추정 결과 260

〈표 5-27〉 세종특별자치시 추정 결과 263

〈표 5-28〉 경기도 추정 결과 265

〈표 5-29〉 강원도 추정 결과 268

〈표 5-30〉 충청북도 추정 결과 271

〈표 5-31〉 충청남도 추정 결과 274

〈표 5-32〉 전라북도 추정 결과 277

〈표 5-33〉 전라남도 추정 결과 280

〈표 5-34〉 경상북도 추정 결과 283

〈표 5-35〉 경상남도 추정 결과 286

〈표 5-36〉 제주도 추정 결과 289

〈표 5-37〉 서울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293

〈표 5-38〉 부산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295

〈표 5-39〉 대구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297

〈표 5-40〉 인천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299

〈표 5-41〉 광주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01

〈표 5-42〉 대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03

〈표 5-43〉 울산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05

〈표 5-44〉 세종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07

〈표 5-45〉 경기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09

〈표 5-46〉 강원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11

〈표 5-47〉 충청북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13

〈표 5-48〉 충청남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15

〈표 5-49〉 전라북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17

〈표 5-50〉 전라남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19

〈표 5-51〉 경상북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21

〈표 5-52〉 경상남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23

〈표 5-53〉 제주도의 경제(GRDP) 및 산업구조 전망(실질부가가치) 325

〈표 6-1〉 수도권 GRDP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331

〈표 6-2〉 수도권 산업별 GRDP 추이 334

〈표 6-3〉 수도권 산업별 GRDP의 지역 내 비중 추이 337

〈표 6-4〉 수도권 취업자 수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339

〈표 6-5〉 수도권 산업별 취업자 수 추이 342

〈표 6-6〉 수도권 산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345

〈표 6-7〉 수도권 직업별 취업자 수 추이 350

〈표 6-8〉 수도권 직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353

〈표 6-9〉 수도권 취업계수 356

〈표 6-10〉 수도권 생산가능인구 전망 357

〈표 6-11〉 수도권 성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358

〈표 6-12〉 수도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360

〈표 6-13〉 수도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364

〈표 6-14〉 수도권 경제활동인구 전망 366

〈표 6-15〉 수도권 성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368

〈표 6-16〉 수도권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369

〈표 6-17〉 수도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372

〈표 6-18〉 수도권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375

〈표 6-19〉 수도권 학력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377

〈표 6-20〉 수도권 취업자 수 전망 379

〈표 6-21〉 수도권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380

〈표 6-22〉 서울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381

〈표 6-23〉 인천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382

〈표 6-24〉 경기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383

〈표 6-25〉 수도권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384

〈표 6-26〉 서울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386

〈표 6-27〉 인천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387

〈표 6-28〉 경기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388

〈표 6-29〉 수도권 고용률 전망 389

〈표 7-1〉 대전ㆍ충남권 GRDP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395

〈표 7-2〉 대전ㆍ충남권 산업별 GRDP 추이 397

〈표 7-3〉 대전ㆍ충남권 산업별 GRDP의 지역 내 비중 추이 398

〈표 7-4〉 대전ㆍ충남권 취업자 수와 전국 대비 비중 추이 400

〈표 7-5〉 대전ㆍ충남권 산업별 취업자 수 추이 402

〈표 7-6〉 대전ㆍ충남권 산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403

〈표 7-7〉 대전ㆍ충남권 직업별 취업자 수 추이 404

〈표 7-8〉 대전ㆍ충남권 직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406

〈표 7-9〉 대전ㆍ충남권 취업계수 및 고용탄성치 409

〈표 7-10〉 대전ㆍ충남권 생산가능인구 전망 410

〈표 7-11〉 대전ㆍ충남권 성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11

〈표 7-12〉 대전ㆍ충남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12

〈표 7-13〉 대전ㆍ충남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14

〈표 7-14〉 대전ㆍ충남권 경제활동인구 전망 416

〈표 7-15〉 대전ㆍ충남권 성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417

〈표 7-16〉 대전ㆍ충남권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418

〈표 7-17〉 대전ㆍ충남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419

〈표 7-18〉 대전ㆍ충남권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421

〈표 7-19〉 대전ㆍ충남권 학력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422

〈표 7-20〉 대전ㆍ충남권 취업자 수 전망 424

〈표 7-21〉 대전ㆍ충남권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425

〈표 7-22〉 대전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425

〈표 7-23〉 충남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426

〈표 7-24〉 대전ㆍ충남권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427

〈표 7-25〉 대전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428

〈표 7-26〉 충남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429

〈표 7-27〉 대전ㆍ충남권 고용률 전망 430

〈표 8-1〉 충북권 GRDP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437

〈표 8-2〉 충북권 산업별 GRDP 추이 438

〈표 8-3〉 충북권 산업별 GRDP의 지역 내 비중 추이 439

〈표 8-4〉 충북권 취업자 수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440

〈표 8-5〉 충북권 산업별 취업자 수 추이 441

〈표 8-6〉 충북권 산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442

〈표 8-7〉 충북권 직업별 취업자 수 추이 443

〈표 8-8〉 충북권 직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444

〈표 8-9〉 충북권 취업계수 445

〈표 8-10〉 충북권 생산가능인구 전망 446

〈표 8-11〉 충북권 성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46

〈표 8-12〉 충북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47

〈표 8-13〉 충북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48

〈표 8-14〉 충북권 경제활동인구 전망 450

〈표 8-15〉 충북권 성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451

〈표 8-16〉 충북권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451

〈표 8-17〉 충북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452

〈표 8-18〉 충북권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453

〈표 8-19〉 충북권 학력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454

〈표 8-20〉 충북권 취업자 수 전망 455

〈표 8-21〉 충북권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456

〈표 8-22〉 충북권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457

〈표 8-23〉 충북권 고용률 전망 458

〈표 9-1〉 세종권 GRDP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463

〈표 9-2〉 세종권 산업별 GRDP 추이 464

〈표 9-3〉 세종권 산업별 GRDP의 지역 내 비중 추이 465

〈표 9-4〉 세종권 취업자 수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466

〈표 9-5〉 세종권 산업별 취업자 수 추이 467

〈표 9-6〉 세종권 산업별 취업자 수의 비중 추이 468

〈표 9-7〉 세종권 직업별 취업자 수 추이 469

〈표 9-8〉 세종권 직업별 취업자 수 비중 추이 470

〈표 9-9〉 세종권 취업계수 및 고용탄성치 471

〈표 9-10〉 세종권 생산가능인구 전망 472

〈표 9-11〉 세종권 성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72

〈표 9-12〉 세종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73

〈표 9-13〉 세종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74

〈표 9-14〉 세종권 경제활동인구 전망 476

〈표 9-15〉 세종권 성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477

〈표 9-16〉 세종권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477

〈표 9-17〉 세종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478

〈표 9-18〉 세종권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479

〈표 9-19〉 세종권 학력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480

〈표 9-20〉 세종권 취업자 수 전망 481

〈표 9-21〉 세종권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482

〈표 9-22〉 세종권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483

〈표 9-23〉 세종권 고용률 전망 484

〈표 10-1〉 강원권 GRDP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488

〈표 10-2〉 강원권 산업별 GRDP 추이 489

〈표 10-3〉 강원권 산업별 GRDP의 비중 추이 490

〈표 10-4〉 강원권 취업자 수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491

〈표 10-5〉 강원권 산업별 취업자 수 추이 493

〈표 10-6〉 강원권 산업별 취업자 수 비중 추이 494

〈표 10-7〉 강원권 직업별 취업자 수 추이 495

〈표 10-8〉 강원권 직업별 취업자 수 비중 추이 496

〈표 10-9〉 강원권 취업계수 497

〈표 10-10〉 강원권 생산가능인구 전망 498

〈표 10-11〉 강원권 성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98

〈표 10-12〉 강원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99

〈표 10-13〉 강원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500

〈표 10-14〉 강원권 경제활동인구 전망 501

〈표 10-15〉 강원권 성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502

〈표 10-16〉 강원권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03

〈표 10-17〉 강원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503

〈표 10-18〉 강원권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04

〈표 10-19〉 강원권 학력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505

〈표 10-20〉 강원권 취업자 수 전망 506

〈표 10-21〉 강원권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507

〈표 10-22〉 강원권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508

〈표 10-23〉 강원권 고용률 전망 508

〈표 11-1〉 대구ㆍ경북권 GRDP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514

〈표 11-2〉 대구ㆍ경북권 산업별 GRDP 추이 516

〈표 11-3〉 대구ㆍ경북권 산업별 GRDP의 지역 내 비중 추이 517

〈표 11-4〉 대구ㆍ경북권 취업자 수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518

〈표 11-5〉 대구ㆍ경북권 산업별 취업자 수 추이 520

〈표 11-6〉 대구ㆍ경북권 산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521

〈표 11-7〉 대구ㆍ경북권 직업별 취업자 수 추이 523

〈표 11-8〉 대구ㆍ경북권 직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525

〈표 11-9〉 대구ㆍ경북권 취업계수 526

〈표 11-10〉 대구ㆍ경북권 고용탄성치 527

〈표 11-11〉 대구ㆍ경북권 생산가능인구 전망 528

〈표 11-12〉 대구ㆍ경북권 성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529

〈표 11-13〉 대구ㆍ경북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530

〈표 11-14〉 대구ㆍ경북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532

〈표 11-15〉 대구ㆍ경북권 경제활동인구 전망 534

〈표 11-16〉 대구ㆍ경북권 성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535

〈표 11-17〉 대구ㆍ경북권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36

〈표 11-18〉 대구ㆍ경북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537

〈표 11-19〉 대구ㆍ경북권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39

〈표 11-20〉 대구ㆍ경북권 학력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540

〈표 11-21〉 대구ㆍ경북권 취업자 수 전망 542

〈표 11-22〉 대구ㆍ경북권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543

〈표 11-23〉 대구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544

〈표 11-24〉 경북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545

〈표 11-25〉 대구ㆍ경북권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546

〈표 11-26〉 대구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547

〈표 11-27〉 경북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548

〈표 11-28〉 대구ㆍ경북권 고용률 전망 549

〈표 12-1〉 동남권 GRDP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553

〈표 12-2〉 동남권 산업별 GRDP 추이 556

〈표 12-3〉 동남권 산업별 GRDP의 지역 내 비중 추이 557

〈표 12-4〉 동남권 취업자 수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559

〈표 12-5〉 동남권 산업별 취업자 수 추이 561

〈표 12-6〉 동남권 산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562

〈표 12-7〉 동남권 직업별 취업자 수 추이 564

〈표 12-8〉 동남권 직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567

〈표 12-9〉 동남권 취업계수 및 고용탄성치 569

〈표 12-10〉 동남권 생산가능인구 전망 570

〈표 12-11〉 동남권 성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571

〈표 12-12〉 동남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572

〈표 12-13〉 동남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574

〈표 12-14〉 동남권 경제활동인구 전망 576

〈표 12-15〉 동남권 성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578

〈표 12-16〉 동남권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79

〈표 12-17〉 동남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580

〈표 12-18〉 동남권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82

〈표 12-19〉 동남권 학력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584

〈표 12-20〉 동남권 취업자 수 전망 586

〈표 12-21〉 동남권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586

〈표 12-22〉 부산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587

〈표 12-23〉 울산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588

〈표 12-24〉 경남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589

〈표 12-25〉 동남권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590

〈표 12-26〉 부산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591

〈표 12-27〉 울산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592

〈표 12-28〉 경남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593

〈표 12-29〉 동남권 고용률 전망 594

〈표 13-1〉 광주ㆍ전남권 GRDP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601

〈표 13-2〉 광주ㆍ전남권 산업별 GRDP 추이 603

〈표 13-3〉 광주ㆍ전남권 산업별 GRDP의 지역 내 비중 추이 605

〈표 13-4〉 광주ㆍ전남권 취업자 수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608

〈표 13-5〉 광주ㆍ전남권 산업별 취업자 수 추이 611

〈표 13-6〉 광주ㆍ전남권 산업별 취업자 수의 권역 내 비중 추이 612

〈표 13-7〉 광주ㆍ전남권 직업별 취업자 수 추이 614

〈표 13-8〉 광주ㆍ전남권 직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616

〈표 13-9〉 광주ㆍ전남권 취업계수 및 고용탄성치 618

〈표 13-10〉 광주ㆍ전남권 생산가능인구 전망 620

〈표 13-11〉 광주ㆍ전남권 성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621

〈표 13-12〉 광주ㆍ전남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622

〈표 13-13〉 광주ㆍ전남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624

〈표 13-14〉 광주ㆍ전남권 경제활동인구 전망 626

〈표 13-15〉 광주ㆍ전남권 성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628

〈표 13-16〉 광주ㆍ전남권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629

〈표 13-17〉 광주ㆍ전남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630

〈표 13-18〉 광주ㆍ전남권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633

〈표 13-19〉 광주ㆍ전남권 학력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634

〈표 13-20〉 광주ㆍ전남권 취업자 수 전망 636

〈표 13-21〉 광주ㆍ전남권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637

〈표 13-22〉 광주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638

〈표 13-23〉 전남지역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639

〈표 13-24〉 광주ㆍ전남권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641

〈표 13-25〉 광주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642

〈표 13-26〉 전남지역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643

〈표 13-27〉 광주ㆍ전남권 고용률 전망 644

〈표 14-1〉 전북권 GRDP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653

〈표 14-2〉 전북권 산업별 GRDP 추이 654

〈표 14-3〉 전북권 산업별 GRDP의 지역 내 비중 추이 655

〈표 14-4〉 전북권 취업자 수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657

〈표 14-5〉 전북권 산업별 취업자 수 추이 658

〈표 14-6〉 전북권 산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659

〈표 14-7〉 전북권 직업별 취업자 수 추이 661

〈표 14-8〉 전북권 직업별 취업자 수의 권역 내 비중 추이 662

〈표 14-9〉 전북권 취업계수 663

〈표 14-10〉 전북권 생산가능인구 전망 664

〈표 14-11〉 전북권 성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665

〈표 14-12〉 전북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666

〈표 14-13〉 전북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667

〈표 14-14〉 전북권 경제활동인구 전망 668

〈표 14-15〉 전북권 성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669

〈표 14-16〉 전북권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670

〈표 14-17〉 전북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671

〈표 14-18〉 전북권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672

〈표 14-19〉 전북권 학력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673

〈표 14-20〉 전북권 취업자 수 전망 675

〈표 14-21〉 전북권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676

〈표 14-22〉 전북권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677

〈표 14-23〉 전북권 고용률 전망 678

〈표 15-1〉 제주권 GRDP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685

〈표 15-2〉 제주권 산업별 GRDP 추이 686

〈표 15-3〉 제주권 산업별 GRDP의 지역 내 비중 추이 687

〈표 15-4〉 제주권 취업자 수 및 전국 대비 비중 추이 688

〈표 15-5〉 제주권 산업별 취업자 수 추이 690

〈표 15-6〉 제주권 산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691

〈표 15-7〉 제주권 직업별 취업자 수 추이 692

〈표 15-8〉 제주권 직업별 취업자 수의 지역 내 비중 추이 693

〈표 15-9〉 제주권 취업계수 694

〈표 15-10〉 제주권 생산가능인구 전망 695

〈표 15-11〉 제주권 성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696

〈표 15-12〉 제주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696

〈표 15-13〉 제주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698

〈표 15-14〉 제주권 경제활동인구 전망 699

〈표 15-15〉 제주권 성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700

〈표 15-16〉 제주권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701

〈표 15-17〉 제주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701

〈표 15-18〉 제주권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702

〈표 15-19〉 제주권 학력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703

〈표 15-20〉 제주권 취업자 수 전망 704

〈표 15-21〉 제주권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705

〈표 15-22〉 제주권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706

〈표 15-23〉 제주권 고용률 전망 707

〈표 16-1〉 노동시장에 관한 법률 체계 714

〈표 16-2〉 우리나라 공공고용서비스 현황 717

〈표 16-3〉 급여체계 위계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고용서비스의 현황 719

〈표 16-4〉 각국별 공공고용서비스의 기능별 유형화 722

〈표 16-5〉 공공고용서비스와 실업급여 간 유형화 723

〈표 16-6〉 주요 국가의 공공고용서비스기관 종사자 수 비교 724

〈표 16-7〉 주요 국가의 공공고용서비스기관 종사자 수 비교 725

〈표 16-8〉 광역 단위 지방고용노동청 현황(2019년 기준) 729

〈표 16-9〉 지역 단위 공공고용서비스 현황 730

〈표 16-10〉 주요 특화서비스 대상 관련 법률 및 전달체계 734

〈표 16-11〉 공공고용서비스 전달체계의 국가별 비교 735

〈표 17-1〉 지역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740

〈표 17-2〉 지역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741

〈표 17-3〉 지역별 인력수요 전망 742

[그림 2-1] 광역지역별 숙련 수준 비중(2021년 기준) 59

[그림 2-2] 강원권 및 충북권의 산업 비중(2021년 기준) 60

[그림 2-3] 광역지역별 평균 임금 및 경제활동인구 비율(2021년 기준) 63

[그림 2-4] 전국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66

[그림 2-5] 수도권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67

[그림 2-6] 수도권의 산업 비중(2021년 기준) 68

[그림 2-7] 전국 및 대전ㆍ충남권의 산업 비중(2021년 기준) 69

[그림 2-8] 대전ㆍ충남권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70

[그림 2-9] 충북권의 산업 비중(2021년 기준) 71

[그림 2-10] 충북권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72

[그림 2-11] 세종권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7년 대비 2021년) 73

[그림 2-12] 강원권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75

[그림 2-13] 대구ㆍ경북권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77

[그림 2-14] 대구ㆍ경북권의 산업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78

[그림 2-15] 동남권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79

[그림 2-16] 광주ㆍ전남권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81

[그림 2-17] 광주ㆍ전남권의 산업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81

[그림 2-18] 전북권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83

[그림 2-19] 제주권의 산업 비중(2021년 기준) 84

[그림 2-20] 제주권 직업 구성 비중 변화(2013년 대비 2021년) 85

[그림 3-1] 연령별 인구구조 변화 추이 89

[그림 3-2] 주요국 65세 이상 인구 비중 90

[그림 3-3] 주요국 노령화 지수 91

[그림 3-4] 연령대별 취업자 비중 변화 추이 92

[그림 3-5] 55세 이상 연령의 성별 고용률 변화 95

[그림 3-6] OECD 국가의 55세 이상 연령별 고용률(2017년) 96

[그림 3-7] OECD 국가의 실질적 평균 은퇴 연령(2009~2016년 평균) 96

[그림 3-8] OECD 국가의 65세 이상 빈곤율과 실질적 평균 은퇴 연령 97

[그림 3-9] 연령별 비정규직 비중 변화 98

[그림 3-10] 지역별 노령화 지수 장기 추이 101

[그림 3-11] 55~64세 인구 비중 변화 104

[그림 3-12] 65세 이상 인구 비중 변화 105

[그림 3-13] 지역별 전체 고용률 변화 108

[그림 3-14] 지역별 65세 이상 고용률 변화 108

[그림 3-15] 2013~2021년간 지역별 전체 및 65세 이상 고용률 변화 비교 109

[그림 3-16] 고령인구 비중과 고령자 고용률 관계(2013~2021) 111

[그림 3-17] 고령인구 증가율과 고령자 고용률 관계(2013~2021) 111

[그림 3-18] 고령자 고용률과 전체 고용률 관계(2013~2021) 111

[그림 3-19] 지역별 65세 이상 취업자 학력별 비중 변화(2013~2021년) 114

[그림 3-20] 지역별 65세 이상 취업자 산업별 비중 변화(2013~2021년) 116

[그림 3-21] 지역별 65세 이상 취업자 직업별 비중 변화(2013~2021년) 118

[그림 3-22] 지역별 65세 이상 종사상지위별 취업자 비중 변화(2013~2021년) 119

[그림 3-23] 지역별 65세 이상 단시간(1~35시간) 취업자 비중 변화 120

[그림 3-24] 지역별 65세 이상 취업자 월평균 임금 121

[그림 3-25] 지역별 핵심노동연령 대비 65세 이상 월평균 임금 수준 121

[그림 4-1] 청년층 생산가능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추이 132

[그림 4-2] 지역별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비중 및 지역별 비중 변화 135

[그림 4-3] 지역별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136

[그림 4-4] 청년층 취업자 추이 142

[그림 4-5] 지역별 청년층 취업자 비중 및 지역별 비중 변화 144

[그림 4-6] 지역별 청년층 고용률 변화 145

[그림 4-7] 청년층 실업자 및 실업률 추이 154

[그림 4-8]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추이 161

[그림 4-9]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니트 추이 168

[그림 4-10] 지역별 청년층 임금 근로자 비중 및 지역별 비중 변화 173

[그림 4-11] 청년층 임금 근로자 월임금 연평균 상승률(2013년 하반기~2021년 하반기) 182

[그림 5-1] 서울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196

[그림 5-2] 부산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198

[그림 5-3] 대구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01

[그림 5-4] 인천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03

[그림 5-5] 광주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06

[그림 5-6] 대전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08

[그림 5-7] 울산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11

[그림 5-8] 세종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13

[그림 5-9] 경기도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16

[그림 5-10] 강원도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18

[그림 5-11] 충청북도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20

[그림 5-12] 충청남도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22

[그림 5-13] 전라북도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25

[그림 5-14] 전라남도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27

[그림 5-15] 경상북도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30

[그림 5-16] 경상남도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32

[그림 5-17] 제주도의 경제(GRDP) 성장률(전년 대비) 234

[그림 5-18] 전망 모형 구축 및 전망 절차 237

[그림 6-1] 수도권 GRDP 증가율 추이 332

[그림 6-2] 수도권 취업자 수 증가율(전년 대비) 추이 339

[그림 6-3] 수도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362

[그림 6-4] 수도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365

[그림 6-5] 수도권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367

[그림 6-6] 수도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373

[그림 6-7] 수도권 학력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378

[그림 6-8] 수도권의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규모 전망 390

[그림 7-1] 대전ㆍ충남권 GRDP 증가율 추이 395

[그림 7-2] 대전ㆍ충남권 취업자 수 증가율(전년 대비) 추이 401

[그림 7-3] 대전ㆍ충남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413

[그림 7-4] 대전ㆍ충남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415

[그림 7-5] 대전ㆍ충남권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417

[그림 7-6] 대전ㆍ충남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420

[그림 7-7] 대전ㆍ충남권 학력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423

[그림 7-8] 대전ㆍ충남권의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규모 전망 431

[그림 8-1] 충북권 GRDP 증가율 추이 437

[그림 8-2] 충북권 취업자 수 증가율(전년 대비) 추이 440

[그림 8-3] 충북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448

[그림 8-4] 충북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449

[그림 8-5] 충북권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450

[그림 8-6] 충북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453

[그림 8-7] 충북권 학력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455

[그림 8-8] 충북권의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규모 전망 458

[그림 9-1] 세종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474

[그림 9-2] 세종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475

[그림 9-3] 세종권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476

[그림 9-4] 세종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479

[그림 9-5] 세종권 학력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481

[그림 9-6] 세종권의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규모 전망 484

[그림 10-1] 강원권 GRDP 증가율 추이 488

[그림 10-2] 강원권 취업자 수 증가율(전년 대비) 추이 492

[그림 10-3] 강원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500

[그림 10-4] 강원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501

[그림 10-5] 강원권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502

[그림 10-6] 강원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504

[그림 10-7] 강원권 학력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05

[그림 10-8] 강원권의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규모 전망 509

[그림 11-1] 대구ㆍ경북권 GRDP 증가율 추이 514

[그림 11-2] 대구ㆍ경북권 취업자 수 증가율(전년 대비) 추이 519

[그림 11-3] 대구ㆍ경북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531

[그림 11-4] 대구ㆍ경북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533

[그림 11-5] 대구ㆍ경북권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535

[그림 11-6] 대구ㆍ경북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538

[그림 11-7] 대구ㆍ경북권 학력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41

[그림 11-8] 대구ㆍ경북권의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규모 전망 549

[그림 12-1] 동남권 GRDP 증가율(전년 대비) 추이 554

[그림 12-2] 동남권 취업자 수 증가율(전년 대비) 추이 560

[그림 12-3] 동남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573

[그림 12-4] 동남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575

[그림 12-5] 동남권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577

[그림 12-6] 동남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581

[그림 12-7] 동남권 학력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85

[그림 12-8] 동남권의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규모 전망 595

[그림 13-1] 광주ㆍ전남권 GRDP 증가율 602

[그림 13-2] 광주ㆍ전남권 취업자 수 증가율(전년 대비) 추이 608

[그림 13-3] 광주ㆍ전남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623

[그림 13-4] 광주ㆍ전남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625

[그림 13-5] 광주ㆍ전남권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627

[그림 13-6] 광주ㆍ전남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631

[그림 13-7] 광주ㆍ전남권 학력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635

[그림 13-8] 광주ㆍ전남권의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규모 전망 645

[그림 14-1] 전북권 GRDP 증가율 추이 653

[그림 14-2] 전북권 취업자 수 증가율(전년 대비) 추이 657

[그림 14-3] 전북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666

[그림 14-4] 전북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668

[그림 14-5] 전북권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669

[그림 14-6] 전북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671

[그림 14-7] 전북권 학력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673

[그림 14-8] 전북권의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규모 전망 679

[그림 15-1] 제주권 GRDP 증가율 추이 685

[그림 15-2] 제주권 취업자 수 증가율(전년 대비) 추이 689

[그림 15-3] 제주권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697

[그림 15-4] 제주권 학력별 생산가능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698

[그림 15-5] 제주권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699

[그림 15-6] 제주권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비중 변화(2020년 대비 2030년) 702

[그림 15-7] 제주권 학력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703

[그림 15-8] 제주권의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규모 전망 707

[그림 16-1] 지난 10년간 구직자 구직 및 취업 경로 추이 715

[그림 16-2] 현 직장을 얻기까지 어려웠던 점 716

[그림 16-3] 우리나라 고용서비스 분절성의 경계 727

[그림 16-4] 고용센터의 조직적 위상 728

[그림 16-5] 지역고용 협업 네트워크 732

〈부표 5-1〉 MAPE 지역 및 산업 코드 752

〈부표 5-2〉 MAPE (ARDL 모형) 753

〈부표 5-3〉 MAPE (T-V 모형) 754

〈부표 5-4〉 MAPE 비교 (ARDL 결과/T-V 결과) : ARDL과 T-V의 MAPE 비율로 1 미만일 경우 ARDL의 예측력이 우수 755

〈부록표 1-1〉 광역지역별 인력수급 전망 체계 748

해시태그

#인구구조 # 노동시장 # 인력수급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