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7
제1장 서론 10
1. 연구 필요성 10
2. 연구 목적 14
3. 연구 방법 14
제2장 지역산업 인력 수급과 노동시장 성과 분석 18
1. 지역산업 인력 수급 현황 19
2. 지역산업 인력 수급과 노동시장 성과 간 관계 분석 30
3. 소결 34
제3장 지역 간 인구이동과 노동시장 성과 분석 37
1. 지역 간 인구이동 분석 37
2. 지역 간 인구이동과 노동시장 성과 관계 분석 40
3. 소결 46
제4장 지역 간 임금 격차 및 추이 실증분석 48
1. 분석 자료 및 분석 방법 48
2. 분석 결과 51
3. 소결 60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62
1. 주요 연구 결과 62
2. 정책 시사점 및 향후 연구과제 65
참고문헌 72
[부록] 75
판권기 77
〈표 2-1〉 인력 수급 관련 주요 용어 정의 21
〈표 3-1〉 학력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임금 및 상용직 근로자 현황 43
〈표 4-1〉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시간당임금 격차 및 추이 분석 결과 52
〈표 4-2〉 학력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시간당임금 격차 및 추이 분석 결과 57
〈그림 2-1〉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산업기술인력 부족률 추이 21
〈그림 2-2〉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산업기술인력 채용예정인력 추이 23
〈그림 2-3〉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산업기술인력 채용인력 및 미충원율 현황 24
〈그림 2-4〉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총인구 및 생산가능인구 추이 26
〈그림 2-5〉 중ㆍ고등학교 입학 및 졸업생 현황 27
〈그림 2-6〉 대학 입학 및 졸업생 추이 28
〈그림 2-7〉 석ㆍ박사 입학 및 졸업생 추이 29
〈그림 2-8〉 산업기술인력 노동시장 성과 현황 31
〈그림 2-9〉 지역산업 인력 수급과 노동시장 성과 간 상관관계 분석(2021년) 33
〈그림 3-1〉 시도 간 전입 사유별 1인 인구이동 현황 38
〈그림 3-2〉 수도권 순 인구이동 추이 39
〈그림 3-3〉 수도권과 비수도권 내 임금근로자 및 상용직 근로자 현황 41
〈그림 3-4〉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시간당임금 현황 44
〈그림 3-5〉 상대임금 및 상용직비율과 수도권 순 인구이동 간 관계 45
〈그림 5-1〉 지역산업인력정책 실효성 제고 방안 66
〈부표 1〉 주요 변수 기초 현황 76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지역 간 노동시장 성과 분석과 지역산업인력정책 시사점 :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