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한국-영국 경제협력 확대 방안 : 용역보고서

□ 한국경제인협회는 이슬기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에 의뢰한 「한영 경제 협력 확대 방안」 보고서를 11월 27일 발표하고,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원전·풍력·수소 등 무탄소에너지 분야에서 한-영 경제 협력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함

ㅇ 원전: 英 2030년까지 신규 8기 건설 … 국내 대형원전의 英 수출 협의 가속화
ㅇ 풍력: 세계 2위 英 해상풍력시장에 대한 국내 풍력 제조사 진출 확대
ㅇ 수소: 韓(수소활용)-英(수소생산) 강점 결합해 수소산업 공급망 강화
ㅇ 무탄소연합: 영국 정부·기업 참여 통해 CF연합 국제적 확산 도모



(출처: 한국경제인협회 보도자료)

목차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4

1. 연구의 개요 4

2. 한-영 에너지ㆍ인프라 협력 방안 요약 5

제2장 원전 협력 방안 6

1. 한국의 원전 정책 및 산업 동향 6

(1) 정책 동향 6

(2) 산업 동향 9

2. 양국의 원전 협력 기반 12

3. 협력 방안 15

제3장 풍력 협력 방안 18

1. 한국의 풍력 정책 및 산업 동향 18

(1) 정책 동향 18

(2) 산업 동향 19

2. 양국의 풍력 협력 기반 21

3. 협력 방안 23

제4장 수소 협력 방안 25

1. 한국의 수소 정책 및 산업 동향 25

(1) 정책 동향 25

(2) 산업 동향 26

2. 양국의 수소 협력 기반 28

3. 협력 방안 29

제5장 무탄소에너지(CFE, Carbon-Free Energy) 협력 방안 31

1. 한국의 무탄소에너지 정책 동향 31

2. 협력 방안 34

참고문헌 36

〈표 1-1〉 한-영 에너지 협력 방안 5

〈표 2-1〉 신한울 3ㆍ4호기 추진 경과 7

〈표 2-2〉 원전산업 R&D 추진 전략 주요 내용 8

〈표 2-3〉 원전산업 전문인력 양성 방안 주요 내용 8

〈표 2-4〉 원자력 전원 비중 9

〈표 2-5〉 국내 원자력 산업 경쟁력 11

〈표 2-6〉 한국과 영국의 원전 현황 비교 13

〈표 3-1〉 제조사별 국내 설치 실적 19

〈표 3-2〉 국내 풍력산업 경쟁력 20

〈표 4-1〉 국내 수전해산업 경쟁력 국가 간 비교 27

〈표 4-2〉 국내 연료전지산업 경쟁력 국가 간 비교 27

〈그림 2-1〉 한국 원자력 발전량 추세 10

〈그림 5-1〉 국가별 균등화발전비용이 가장 낮은 발전원 32

해시태그

#한영경제협력 #원전 #풍력 #수소 #무탄소에너지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한국-영국 경제협력 확대 방안 : 용역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