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재생에너지 단계별 갈등 이슈와 갈등 대응 방안 연구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ㆍ탄소중립 달성과 재생에너지 확대

- 재생에너지는 탄소중립 달성의 주요 수단으로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가 급증하고 있으며, 2025년 초에는 세계 최대 발전원이 될 것으로 전망됨.
- 2020년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8.0%이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은 30.0%까지 도달하였음. 글로벌 에너지 위기와 에너지 안보를 위해 주요국들은 재생에너지 목표를 상향하고 있어 향후에도 재생에너지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ㆍ재생에너지와 주민 수용성
-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서 환경 및 경관 영향 등으로 주민 수용성 관련 갈등이 발생하면서 재생에너지 확대의 주요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이에 세계 각국은 주민 수용성 제고 및 갈등 완화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ㆍ국내 재생에너지 단계별 갈등 확산

- 국내에서는 재생에너지 시설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민 수용성 관련 갈등 외에도, 특정 지역 편중 현상과 계통 용량 부족 등으로 계통 접속 관련 발전사업자들과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음. RE100 확산,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등 글로벌 탄소 무역 장벽으로 인한 산업 부문의 재생에너지 수요 증가로 재생에너지 공급이 부족할 경우 활용 단계에서도 갈등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음. 
- 국내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산업 경쟁력 제고 수단으로서의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갈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고찰을 통해 선제적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함.
-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상황을 고려한 보급(발전)-송배전(계통 연계)-활용(소비) 단계별 발생 가능한 재생에너지 갈등 이슈를 분석하고, 갈등 완화와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함.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1
제3절 연구 체계 13
제4절 선행 연구 검토 14

제2장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및 갈등 관련 제도 현황 19
제1절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21
제2절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기존 재생에너지 갈등 이슈 분석 29
제3절 국내 재생에너지 갈등 관련 제도 조사 70

제3장 해외 주요국의 재생에너지 현황 및 갈등 대응 관련 제도 조사 85
제1절 독일 87
제2절 덴마크 100
제3절 프랑스 125
제4절 일본 136
제5절 소결 및 국내에의 시사점 149

제4장 국내 재생에너지 단계별 갈등 이슈 도출 및 분석 157
제1절 분석 개요 159
제2절 단계별 재생에너지 갈등 이슈와 우선순위 분석 165
제3절 주요 재생에너지 갈등 이슈별 세부 분석 173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86

제5장 재생에너지 갈등 이슈의 주요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189
제1절 주요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개요 191
제2절 설문 조사 결과 194
제3절 소결 229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233
제1절 장별 요약 235
제2절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갈등 대응 방안 239

부록 249
1. 전문가 대상 1차 FGI 서면 의견서 251
2. 전문가 대상 2차 FGI 서면 의견서 253
3.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 대상 설문지 265

참고문헌 277

Abstract 293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탄소중립 # 재생에너지 # 글로벌에너지위기 # 에너지안보 # 탄소국경조정제도 # CBAM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