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국민 삶의 질. 2023

□ 통계청 통계개발원은 2월 22일, 국민의 삶을 질적인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를 발간함.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지난 3년(2020~2022년)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95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6.69점보다 0.74점 낮았으며, 38개 OECD 회원국 중 35위에 올랐음

□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나라는 핀란드(7.8점)였으며, 덴마크(7.6점, 스웨덴(7.4점), 노르웨이(7.3점) 등 북유럽 나라들이 삶의 만족도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함. 미국은 6.9점으로 15위, 영국은 6.8점으로 19위, 일본은 6.13점으로 32위에 올랐음

□ 통계청은 코로나19 시기 악화되었던 지표(여행일수,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횟수, 자원봉사 참여율, 사회적 고립도 등)가 소폭으로 개선되는 추세이나 이전 추세만큼 회복되지는 못하고 있다고 밝혔음. 반면 고용률, 실업률, 대학졸업자 취업률, 미세먼지 농도, 삶의 만족도는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기대수명, 비만율, 가구순자산 등의 지표는 최근 악화되었고, 소득이 낮을수록, 연령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남

[출처]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 발간 (2024.02.22.) / 통계청
여전히 불행한 대한민국…OECD 38국 중 ‘삶의 만족도’ 35위 (2024.02.22.) / 조선일보
한국인 삶의 만족도 개선됐지만 여전히 OECD 최하위권(종합) (2024.02.22.) / 연합뉴스

목차

표제지

목차

PART 1. 개요 9

01. 작성 배경 10

02. 목적 11

03. '삶의 질'이란 12

04. 프레임워크 13

05. 지표 선정 기준 14

06. 최근 추세 판정 기준 14

07. 지표 관리 절차 15

08. 지표 체계 16

09. 최근 추세 판정 결과 요약 17

PART 2. 영역별 측정 결과 21

01. 가족ㆍ공동체 22

독거노인 비율 24

가족관계 만족도 25

지역사회 소속감 26

사회단체 참여율 27

사회적 고립도 28

02. 건강 29

기대수명 31

건강수명 32

스트레스 인지율 33

주관적 건강상태 34

비만율 35

자살률 36

신체활동 실천율 38

03. 교육 39

유아교육 취원율 41

교육비부담도 42

학교교육의 효과 43

학교생활 만족도 44

대학졸업자 취업률 45

고등교육 이수율 46

04. 고용ㆍ임금 48

실업률 50

고용률 51

월평균 임금 53

저임금근로자 비율 54

근로시간 55

일자리 만족도 56

05. 소득ㆍ소비ㆍ자산 57

1인당 국민총소득 59

가구중위소득 60

소득만족도 61

소비생활 만족도 62

가구순자산 63

가계부채비율 64

상대적 빈곤율 65

06. 여가 66

문화여가 지출률 68

여가시간 69

여가시간 충분도 70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횟수 71

1인당 여행일수 72

여가생활 만족도 73

07. 주거 74

자가점유가구 비율 76

주택임대료 비율 77

1인당 주거면적 78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79

통근시간 80

주거환경 만족도 81

08. 환경 82

1인당 도시공원 면적 84

미세먼지 농도(PM2.5) 85

농어촌 상수도 보급률 87

대기질 만족도 88

수질 만족도 89

토양환경 만족도 90

소음 만족도 91

녹지환경 만족도 92

기후변화 불안도 93

09. 안전 94

가해에 의한 사망률 96

범죄피해율 97

야간보행 안전도 98

산재사망률 99

화재 사망자수 100

도로교통사고 사망률 101

아동안전사고 사망률 102

안전에 대한 전반적 인식 103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105

10. 시민참여 106

선거투표율 108

정치적 역량감 109

기관신뢰도 110

부패인식지수 111

시민의식 113

자원봉사 참여율 114

대인신뢰도 115

11. 주관적 웰빙 116

삶의 만족도 118

긍정정서 120

부정정서 121

PART 3. 이슈 분석 124

01. 생애주기별 삶의 질 측정 프레임워크 / 한준 125

1. 서론 125

2. 생애주기 개념과 단계 구분 126

3. 생애주기별 삶의 질 영역 구성 127

4. 생애주기별 영역별 측정 항목들 129

5. 시사점 132

02. 연령대별 삶의 질과 영역별 만족도 / 권다은 133

1. 서론 133

2. 연구방법 134

3. 분석결과 136

4. 결론 142

[부록 1] 지표 정의서 145

[부록 2] 지표 자료출처 171

판권기 179

표 1-1. 생애주기 단계별 영역 구성 128

표 1-2. 생애주기 단계 삶의 질 관련 공통 측정 항목 130

표 1-3. 아동ㆍ청소년기 삶의 영역별 측정 항목 130

표 1-4. 청년기 삶의 영역별 측정 항목 131

표 1-5. 중장년기 삶의 영역별 측정 항목 131

표 1-6. 노년기 삶의 영역별 측정 항목 131

표 2-1. 생애주기 연령별 표본 기술통계 134

표 2-2. 측정변수 135

표 2-3. 연령별 삶의 질과 영역별 만족도 138

그림 1-1. 생애주기 구분 및 연령 기준 127

그림 1-2. 삶의 질 측정 차원들 128

그림 1-3. 생애주기 단계별 생태적 동심원 모형 129

그림 2-1. 연령별ㆍ영역별 만족도 137

그림 2-2. 생애주기별 영역별 만족도와 삶의 질 140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삶의질 # 사회지표 # 교육지표 # 고용지표 # 사회통계 # 삶의만족도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