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나라는 핀란드(7.8점)였으며, 덴마크(7.6점, 스웨덴(7.4점), 노르웨이(7.3점) 등 북유럽 나라들이 삶의 만족도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함. 미국은 6.9점으로 15위, 영국은 6.8점으로 19위, 일본은 6.13점으로 32위에 올랐음
□ 통계청은 코로나19 시기 악화되었던 지표(여행일수,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횟수, 자원봉사 참여율, 사회적 고립도 등)가 소폭으로 개선되는 추세이나 이전 추세만큼 회복되지는 못하고 있다고 밝혔음. 반면 고용률, 실업률, 대학졸업자 취업률, 미세먼지 농도, 삶의 만족도는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기대수명, 비만율, 가구순자산 등의 지표는 최근 악화되었고, 소득이 낮을수록, 연령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남
[출처]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 발간 (2024.02.22.) / 통계청
여전히 불행한 대한민국…OECD 38국 중 ‘삶의 만족도’ 35위 (2024.02.22.) / 조선일보
한국인 삶의 만족도 개선됐지만 여전히 OECD 최하위권(종합) (2024.02.22.) / 연합뉴스
목차
표제지
목차
PART 1. 개요 9
01. 작성 배경 10
02. 목적 11
03. '삶의 질'이란 12
04. 프레임워크 13
05. 지표 선정 기준 14
06. 최근 추세 판정 기준 14
07. 지표 관리 절차 15
08. 지표 체계 16
09. 최근 추세 판정 결과 요약 17
PART 2. 영역별 측정 결과 21
01. 가족ㆍ공동체 22
독거노인 비율 24
가족관계 만족도 25
지역사회 소속감 26
사회단체 참여율 27
사회적 고립도 28
02. 건강 29
기대수명 31
건강수명 32
스트레스 인지율 33
주관적 건강상태 34
비만율 35
자살률 36
신체활동 실천율 38
03. 교육 39
유아교육 취원율 41
교육비부담도 42
학교교육의 효과 43
학교생활 만족도 44
대학졸업자 취업률 45
고등교육 이수율 46
04. 고용ㆍ임금 48
실업률 50
고용률 51
월평균 임금 53
저임금근로자 비율 54
근로시간 55
일자리 만족도 56
05. 소득ㆍ소비ㆍ자산 57
1인당 국민총소득 59
가구중위소득 60
소득만족도 61
소비생활 만족도 62
가구순자산 63
가계부채비율 64
상대적 빈곤율 65
06. 여가 66
문화여가 지출률 68
여가시간 69
여가시간 충분도 70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횟수 71
1인당 여행일수 72
여가생활 만족도 73
07. 주거 74
자가점유가구 비율 76
주택임대료 비율 77
1인당 주거면적 78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79
통근시간 80
주거환경 만족도 81
08. 환경 82
1인당 도시공원 면적 84
미세먼지 농도(PM2.5) 85
농어촌 상수도 보급률 87
대기질 만족도 88
수질 만족도 89
토양환경 만족도 90
소음 만족도 91
녹지환경 만족도 92
기후변화 불안도 93
09. 안전 94
가해에 의한 사망률 96
범죄피해율 97
야간보행 안전도 98
산재사망률 99
화재 사망자수 100
도로교통사고 사망률 101
아동안전사고 사망률 102
안전에 대한 전반적 인식 103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105
10. 시민참여 106
선거투표율 108
정치적 역량감 109
기관신뢰도 110
부패인식지수 111
시민의식 113
자원봉사 참여율 114
대인신뢰도 115
11. 주관적 웰빙 116
삶의 만족도 118
긍정정서 120
부정정서 121
PART 3. 이슈 분석 124
01. 생애주기별 삶의 질 측정 프레임워크 / 한준 125
1. 서론 125
2. 생애주기 개념과 단계 구분 126
3. 생애주기별 삶의 질 영역 구성 127
4. 생애주기별 영역별 측정 항목들 129
5. 시사점 132
02. 연령대별 삶의 질과 영역별 만족도 / 권다은 133
1. 서론 133
2. 연구방법 134
3. 분석결과 136
4. 결론 142
[부록 1] 지표 정의서 145
[부록 2] 지표 자료출처 171
판권기 179
표 1-1. 생애주기 단계별 영역 구성 128
표 1-2. 생애주기 단계 삶의 질 관련 공통 측정 항목 130
표 1-3. 아동ㆍ청소년기 삶의 영역별 측정 항목 130
표 1-4. 청년기 삶의 영역별 측정 항목 131
표 1-5. 중장년기 삶의 영역별 측정 항목 131
표 1-6. 노년기 삶의 영역별 측정 항목 131
표 2-1. 생애주기 연령별 표본 기술통계 134
표 2-2. 측정변수 135
표 2-3. 연령별 삶의 질과 영역별 만족도 138
그림 1-1. 생애주기 구분 및 연령 기준 127
그림 1-2. 삶의 질 측정 차원들 128
그림 1-3. 생애주기 단계별 생태적 동심원 모형 129
그림 2-1. 연령별ㆍ영역별 만족도 137
그림 2-2. 생애주기별 영역별 만족도와 삶의 질 140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국민 삶의 질.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