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일부와 교육부는 학생 및 교사들의 통일 인식, 통일교육 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 시・도 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2023년 10월 20일부터 1월 20일까지 「2023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실시함. 조사 결과 북한의 도발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학생과 교사들의 통일 및 북한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나타남
□ 「2023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주요 내용
ㅇ 학생들의 '통일 필요' 인식은 감소, '통일 불필요' 인식은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보임. 교사들의 '통일 필요' 인식도 감소함
ㅇ '북한으로 인해 한반도 군사적 충돌 및 분쟁 가능성이 있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남
ㅇ 북한을 '협력' 대상으로 보는 인식은 감소하고, '경계·적대' 대상으로 보는 인식이 증가함
ㅇ '북한 사회가 변하지 않고 있다'는 인식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임
[출처] 「2023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발표 (2024.03.16.) / 통일부
□ 「2023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주요 내용
ㅇ 학생들의 '통일 필요' 인식은 감소, '통일 불필요' 인식은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보임. 교사들의 '통일 필요' 인식도 감소함
ㅇ '북한으로 인해 한반도 군사적 충돌 및 분쟁 가능성이 있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남
ㅇ 북한을 '협력' 대상으로 보는 인식은 감소하고, '경계·적대' 대상으로 보는 인식이 증가함
ㅇ '북한 사회가 변하지 않고 있다'는 인식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임
[출처] 「2023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발표 (2024.03.16.) / 통일부
목차
목차
미래 세대들의 통일 인식을 제고시켜 나가겠습니다. 북한의 도발 때문에 학생들의 통일ㆍ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해지다.: 「2023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1
[붙임] 「2023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주요 내용 1부 4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미래 세대들의 통일 인식을 제고시켜나가겠습니다. 북한의 도발 때문에 학생들의 통일·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해지다 : 「2023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