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경제전망보고서 (2024. 2)

□ 2024년 세계경제는 지정학적으로는 높은 불확실성이 계속되겠으나 그간의 고물가‧ 고금리 국면이 점차 완화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국내경제는 소비,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모멘텀이 약화된 반면 수출이 예상보다양호함에 따라 완만한 개선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 물가상승률은 더딘 소비 회복세 등으로 근원물가를 중심으로 완만한 둔화 추세를 이어가겠으나, 농산물가격 상승 등으로 둔화 흐름이 당분간 주춤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경제전망(2024.2월) (2024.02.22.) / 한국은행 보도자료
[관련 영상] 최근 한국, 미국, 유로지역의 디스인플레이션 흐름 평가 (2024.04.02.) / 한국은행 공식 유튜브 채널 

목차

표제지

목차

EXECUTIVE SUMMARY 4

경제전망 요약표(2024.2월) 8

Ⅰ. 국내외 여건 및 전망 9

1. 주요 여건 점검 9

대외여건 10

대내여건 15

전망의 주요 전제 19

2. 거시경제 전망 20

경제성장 21

경상수지 26

물가 28

고용 32

시나리오 분석 34

[부록] 국내외 주요 경제지표 43

Ⅱ. 핵심이슈 : 가계별 금리익스포저를 감안한 금리상승의 소비 영향 점검 46

검토 배경 48

최근 소비 및 저축 양상 49

금리익스포저 이질성의 영향 50

결론 및 시사점 54

[참고 1] 가계별 금리익스포저(URE) 추산 56

[참고 2] 한계소비성향 추정 방법 57

참고문헌 58

판권기 59

Ⅰ. 국내외 여건 및 전망 22

[표 2.1] 향후 성장경로의 주요 리스크 22

[표 2.2] 향후 물가경로의 주요 리스크 31

Ⅱ. 핵심이슈 : 가계별 금리익스포저를 감안한 금리상승의 소비 영향 점검 51

[표 1] 금리익스포저에 따른 가계의 구분 51

[표 2] 연령별 평균 통계량 52

Ⅰ. 국내외 여건 및 전망 10

[그림 1.1] 글로벌 PMI 10

[그림 1.2] 세계 상품교역량 10

[그림 1.3] 미국 GDP 성장률 및 기여도 11

[그림 1.4] 미국 노동시장 상황 11

[그림 1.5] 유로지역 GDP 성장기여도 12

[그림 1.6] 유로지역 물가상승률 12

[그림 1.7] 중국 부동산지표 12

[그림 1.8] 중국 소비자신뢰지수 12

[그림 1.9] 일본 수출 및 수입 13

[그림 1.10] 일본 소비자물가 13

[그림 1.11] 아세안5국 실물지표 14

[그림 1.12] 인도 지출부문별 성장률 14

[그림 1.13] 신흥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14

[그림 1.14] 국제유가 추이 14

[그림 1.15] 원유생산 전망 14

[그림 1.16] 글로벌 원유수요 전망 14

[그림 1.17] 통합재정지출 전망 15

[그림 1.18] 관리재정수지 15

[그림 1.19] 주택 매매가격 16

[그림 1.20] 주택 전세가격 16

[그림 1.21] 주택가격전망CSI과 주택매매수급지수 16

[그림 1.22] 미분양과 준공후 미분양 16

[그림 1.23] 1인당 명목임금 상승률 17

[그림 1.24] 상용직 정액급여 상승률 17

[그림 1.25] 미 연준 정책금리 기대 18

[그림 1.26] 국고채 및 미 국채 금리 18

[그림 1.27] 원/달러환율 및 미달러화 지수 18

[그림 1.28] 예금은행 가계대출 18

[그림 1.29] 예금은행 기업대출 18

[그림 2.1] GDP 민간소비, 건설투자 및 재화수출 21

[그림 2.2] 지출 부문별 기여도 21

[그림 2.3] 주요기관의 금년 성장률 전망 분포 22

[그림 2.4] 가계 실질구매력 증가율 및 기여정도 22

[그림 2.5] 가계부채 및 금리 22

[그림 2.6] 글로벌 반도체 매출 및 국내 기업 투자 전망 23

[그림 2.7] 지식재산생산물투자 및 제조업 매출액 23

[그림 2.8] 건설 수주 및 신규착공 24

[그림 2.9] 정부 SOC 예산 24

[그림 2.10] IT 및 비IT 통관수출 25

[그림 2.11] D램 수급 및 가격 25

[그림 2.12] 품목별 대미수출 25

[그림 2.13] 지역별 통관수출 증가율 26

[그림 2.14] 반도체 수출과 자본재 수입 26

[그림 2.15] 경상수지 전망경로 27

[그림 2.16] 출입국자수 추이 27

[그림 2.17]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28

[그림 2.18] 월별 상승률 차이 분해 28

[그림 2.19] 소비자물가 상승률 및 기여도 29

[그림 2.20] 근원물가 상승률 및 기여도 29

[그림 2.21] 석유류가격 29

[그림 2.22] 농산물가격 상승률 29

[그림 2.23]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30

[그림 2.24] 근원물가 상승률 전망 30

[그림 2.25] 주요기관 국제유가 전망 31

[그림 2.26] 취업자수 증감 32

[그림 2.27] 실업률 및 고용률 32

[그림 2.28] 성ㆍ연령별 취업자수 증감 32

[그림 2.29] 산업별 취업자수 경로 32

[그림 2.30] 산업별 빈일자리율 33

[그림 2.31] 베버리지 곡선 33

[그림 2.32] 시나리오별 GDP성장률 34

[그림 2.33] 시나리오별 물가상승률 34

Ⅱ. 핵심이슈 : 가계별 금리익스포저를 감안한 금리상승의 소비 영향 점검 48

[그림 1] 민간소비 추세 및 실적 48

[그림 2] 기준금리, 실질금리 및 가계대출 실효금리 48

[그림 3] 형태별 재화소비 49

[그림 4] 재화 및 서비스 소비 49

[그림 5] 소득 분위별 소득 및 소비지출 변화 49

[그림 6] 가계 순저축률 50

[그림 7] 가계 이자부 자산/부채 비율 및 기준금리 50

[그림 8] 가계 금리익스포저 분포(10분위별) 51

[그림 9] URE 분위별 유동성ㆍ비유동성 자산 51

[그림 10] 금리익스포저별 소비수준 및 한계소비성향 52

[그림 11] 금리익스포저별 주택보유비중 및 연령 52

[그림 12] 전체 및 W-HtM가계의 연령분포 52

[그림 13] 연령대별 가계구분 비율 52

[그림 14] 자산분위별 60대의 분포 52

[그림 15] 금리익스포저별 소비 변화(실제 데이터, 19년 대비 22년) 53

[그림 16] 금리익스포저별 소비 변화(1% 금리상승시 모형예측치) 53

BOX 1 우리나라의 對아세안5 수출 특징 및 향후 전망 35

BOX 2. 최근 한국ㆍ미국ㆍ유로지역의 디스인플레이션 흐름 평가 39

박스그림목차

BOX 1. 우리나라의 對아세안5 수출 특징 및 향후 전망 35

[그림 1] 국가별 수출비중 추이 35

[그림 2] 국가별 무역수지 35

[그림 3] 주요국의 對아세안5 FDI 35

[그림 4] 우리 對아세안5 수출 품목별 비중 36

[그림 5] 우리 對아세안5 국가별 품목별 수출 비중 36

[그림 6] 우리의 對아세안5 FDI 산업별 비중 36

[그림 7] 아세안5의 對미ㆍ중 수출 품목별 비중 37

[그림 8] 우리 對아세안5 수출과 미ㆍ중의 對아세안5 수입 37

[그림 9] 우리 對아세안5 중간재 수출 최종귀착지 37

[그림 10] 최근 對아세안5 수출 증가율 38

[그림 11] 아세안 수입시장의 국가별 비중 추이 38

[그림 12] 아세안5 고위기술 중간재 수입 중 한국 수출 비중 38

BOX 2. 최근 한국ㆍ미국ㆍ유로지역의 디스인플레이션 흐름 평가 39

[그림 1] 시장 및 중앙은행의 주요국 Headline 물가상승률 전망 39

[그림 2] 주요국의 Headline 인플레이션 추이 40

[그림 3] 주요국의 근원물가 상승모멘텀 40

[그림 4] 주요국의 Headline 인플레이션 기여도 41

[그림 5] 주요국의 누적 물가상승률 42

[그림 6] 주요국의 정책금리 누적 상승폭 42

〈표 1〉 평균 통계량(2023년) 56

해시태그

#경제전망 # 국내성장률 # 소비자물가 # 물가상승률 # 국제유가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