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개발연구원(KDI)은 5월 11일 발표한 「KDI 경제전망, 2023년 상반기」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을 지난 2월 전망치(1.8%)보다 0.3%p 낮춘 1.5%로 하향 조정함.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반도체 경기가 2001년 IT버블 붕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수준으로 심각하게 부진한 상황”이라며 “지난 전망때보다 더 안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고, 반도체 경기 회복 속도도 이전 전망때보다 더디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성장률을 낮췄다”고 언급함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4%로 추계함. 이는 지난 2월 전망치(3.5%)보다 0.1%포인트 낮춘 수치로, 2분기 전기·가스요금 인상 지연이 물가 상승률 전망치 하향 조정에 영향을 미쳤음. 다만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근원물가는 서비스 가격을 중심으로 올라 3.5%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며, KDI는 “물가 안정을 위한 긴축적 거시정책 기조가 요구된다”고 언급함
[출처] KDI, 올해 경제 성장률 1.5%로 하향…“반도체 회복 늦으면 성장세 더 둔화” (2023.05.11.) / 경향신문
[참고자료]
(영상보고서) KDI 2023~24년 경제전망 발표 (현장 브리핑) (2023.05.11.) / 한국개발연구원 (KDI)
(인포그래픽) 2023~24년 KDI 경제전망 (2023.05.11.) / 한국개발연구원 (KDI)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4%로 추계함. 이는 지난 2월 전망치(3.5%)보다 0.1%포인트 낮춘 수치로, 2분기 전기·가스요금 인상 지연이 물가 상승률 전망치 하향 조정에 영향을 미쳤음. 다만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근원물가는 서비스 가격을 중심으로 올라 3.5%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며, KDI는 “물가 안정을 위한 긴축적 거시정책 기조가 요구된다”고 언급함
[출처] KDI, 올해 경제 성장률 1.5%로 하향…“반도체 회복 늦으면 성장세 더 둔화” (2023.05.11.) / 경향신문
[참고자료]
(영상보고서) KDI 2023~24년 경제전망 발표 (현장 브리핑) (2023.05.11.) / 한국개발연구원 (KDI)
(인포그래픽) 2023~24년 KDI 경제전망 (2023.05.11.) / 한국개발연구원 (KDI)
목차
목차 1
KDI, 2023 상반기 경제전망 / CM herald 편 1
Ⅰ. 현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1
Ⅱ. 2023~24년 국내경제 전망 2
1. 대외여건에 대한 주요 전제 2
2. 2023~24년 국내경제 전망 2
3. 전망의 위험요인 2
Ⅲ. 정책방향 3
1. 재정정책 3
2. 통화정책 3
3. 금융정책 3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KDI, 2023 상반기 경제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