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병역제도와 국방개혁 : 한눈에 보기

□ 국회도서관은 6월 10일(월) 팩트북 2024-2호 「병역제도와 국방개혁」을 발간함. 이번 팩트북은 국내외 국방환경 변화에 따른 병역제도 개편 논의와 국방개혁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주요국의 병역제도와 국방 과학화 정책, 각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정리하여 소개함

□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무기체계와 전쟁 수행 양상이 급변하고, 저출생에 따른 국방인력 감소로 병역제도 개편과 국방개혁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음. 여기에 우리의 지정학적 위상과 미·중의 군사 경쟁, 일본의 재무장과 북한의 위협 등의 요인들은 국방환경을 더욱 복합적이고 전략적으로 평가하고 대응해야 할 필요성을 높이고 있음

□ 정부는 2023년에 AI 기반의 첨단전력 확보와 군 구조 및 교육훈련 혁신을 목표로 ‘국방혁신 4.0’을 발표하고, 2026년부터 한국형 탈피오트(Talpiot)*를 모델로 한 ‘국립첨단과학기술사관학교’를 설치하여 첨단 국방과학기술 분야의 전문 연구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임. 또한,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 정책으로는 육군의 ‘아미 타이거(Army TIGER)’, 해군의 ‘스마트 네이비(SMART NAVY)’, ‘네이비 씨 고스트(Navy Sea GHOST), 공군의 ‘에어포스 퀀텀 5.0(Air Force Quantum 5.0)’ 등이 추진되고 있음

* 탈피오트(Talpiot)는 히브리어로 ‘최고 중의 최고’라는 뜻을 가진 단어이며, 한국형 탈피오트는 이스라엘의 첨단 군사과학 인재 육성 프로그램인 ‘탈피오트(Talpiot)’를 벤치마킹한 것임

□ 병역제도에 있어서 세계 각국은 국방환경 변화에 따라 기존의 병역제도를 전환하기도 하는데, 실례로 미국, 독일, 프랑스 등은 징병제에서 모병제로 전환하였고,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등은 여성 징병제를 도입함. 이 밖에도 이번 팩트북은 첨단 군사과학 인재를 육성하는 이스라엘의 ‘탈피오트(Talpiot)’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미국 최대의 R&D 조직인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영국의 국방부 국방과학기술프레임워크(Defence Technology Framework) 등 주요 국가들의 국방 과학기술 정책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함
 
[출처] 국회도서관, 「병역제도와 국방개혁」 팩트북 발간 (2024.06.10.) / 국회도서관 보도자료

목차

[표지] 1

책을 펴내며 / 이명우 3

① 병역제도의 이해 5

② 국방환경의 변화와 국방개혁 6

③ 한국의 병역제도와 개편 논의 7

④ 주요국 과학기술군 육성 정책 8

⑤ ARGOS로 보는 병역제도와 국방개혁 10

목차 12

I. 개요 21

II. 병역제도 27

요약 28

1. 개념 29

2. 유형 29

가. 의무병 제도 30

나. 지원병 제도 31

다. 혼합형 제도 33

3. 국가별 병역제도 유형 34

4. 한국의 병역제도 37

가. 연혁 38

나. 현황 41

다. 북한의 병역제도 45

III. 국방개혁 49

요약 50

1. 국방환경의 변화 51

가. 사회·경제적 변화 51

나. 문화·인식의 변화 53

2. 추진 현황 55

가. 국방개혁 기본계획 55

나. 국방혁신 4.0 59

다. 2023~20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68

3. 국방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71

가. 국방첨단과학기술사관학교 설치 71

나. 과학기술 전문사관·사이버 전문사관 72

IV. 주요국 사례 75

요약 76

1. 병역제도 개편 77

가. 미국 77

나. 독일 85

다. 대만 90

라. 이스라엘 95

마. 프랑스 98

2. 국방 과학화 정책 103

가. 미국 103

나. 프랑스 106

다. 독일 107

라. 영국 109

마. 중국 110

바. 이스라엘 112

V. 관련 법령 및 국회 논의 117

요약 118

1. 관련 법령 119

가. 병역법 119

나. 예비군법 120

다. 군인사법 120

라.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약칭: 국방개혁법) 121

마. 국방첨단과학기술사관학교 설치법 122

바. 방위사업법 122

2. 제21대 국회 계류의안 123

가. 병역자원 감소에 따른 개편 관련 123

나. 국방과학 및 기술혁신 관련 127

3. 국회 논의 128

가. 본회의 128

나. 상임위원회 129

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131

라. 특별위원회 131

마. 국정감사 132

바. 토론회·세미나·정책자료 133

VI. 각계 의견 137

요약 138

1. 모병제 전환 139

가. 여론조사 및 학계 논의 139

나. 정치권 논의 141

다. 전문가 논의 143

2. 여성의 군 참여 확대 146

가. 국내 논의 146

나. 주요국 사례 147

다. 전문가 논의 149

3. 과학기술군 육성 150

4. 기타 논의 152

가. 귀화자 병역 의무화 152

나. 예비군 활용 152

다. 북한 및 국제환경 대응 153

참고문헌 155

국회도서관 발간 팩트북 시리즈 159

판권기 163

[뒷표지] 164

[표 1] 전쟁 양상의 변화 23

[표 2] 징병제와 모병제의 장·단점 34

[표 3] 징병제 국가 현황 35

[표 4] 모병제 국가 현황 36

[표 5] 한국의 병역제도 변천 39

[표 6] 한국의 현역 복무기간 40

[표 7] 예비군 동원훈련 소집기간의 변화 41

[표 8] 병역의 종류 41

[표 9] 각 군별 병력 현황 42

[표 10] 2022년 북한군 현황 46

[표 11] 2022년 군 복무에 대한 인식 여론조사 54

[표 12] 국방개혁의 기본이념 55

[표 13] 역대 국방개혁 기본계획 주요 내용 56

[표 14] 합동 전영역 지휘통제(JADC2) 개념 62

[표 15] 각 군별 미래 전장환경에 대응하는 작전 기본개념 63

[표 16]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의 개념 64

[표 17] 각 군별 첨단과학기술군 발전 정책 64

[표 18] 2023~2028년 군 구조 개편안 67

[표 19] '2023~20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주요 내용 68

[표 20] 국방전략기술 선정 기준 69

[표 21] 10대 분야 30개 국방전략기술 70

[표 22] 「국방첨단과학기술사관학교 설치법」 주요 내용 72

[표 23] 과학기술 전문사관·사이버 전문사관 제도 72

[표 24] 과학기술 전문사관 전역 후 진로 현황 73

[표 25] 1960년대 미국의 모병제 전환 찬반 논의 79

[표 26] 2022년 미군 현황 80

[표 27] 미국의 예비전력 종류 및 특징 83

[표 28] 미국의 군인 모집을 위한 주요 대응책 84

[표 29] 2022년 독일군 현황 86

[표 30] 2024년 독일 연방군 소속 군인 현황 87

[표 31] 독일의 예비군 88

[표 32] 대만 '병력정비 5개년 계획' 주요 내용 91

[표 33] 대만 징병제 재도입 관련 찬성 의견 92

[표 34] 대만 징병제 재도입 관련 반대 의견 93

[표 35] 대만 '전국민 국방병력 구조조정 강화 방안' 주요 내용 94

[표 36] 2022년 대만군 현황 94

[표 37] 2022년 이스라엘군 현황 95

[표 38] 이스라엘 상비군 96

[표 39] 이스라엘 병역제도 수정안 주요 내용 97

[표 40] 역대 프랑스 국방개혁 100

[표 41] 2022년 프랑스군 현황 101

[표 42] SNU의 단계별 과정 및 임무 102

[표 43] 미 국방과학기술전략(NDSTS) 3대 전략 103

[표 44] 미국의 국가안보를 위한 3대 영역 14대 핵심기술 104

[표 45] 미 국방과학기술전략(NDSTS) 기본 원칙 105

[표 46] 프랑스 「국방계획법」 주요 내용 106

[표 47] 영국의 국방과학기술 7대 핵심기술 109

[표 48] 영국 국방부 과학기술전략의 기본 원칙 110

[표 49] 「제14차 5개년 규획」에서 제시된 국방과학기술 관련 내용 112

[표 50] 이스라엘 국방혁신 정책 113

[표 51] 이스라엘 '탈피오트(Talpiot)' 프로그램 114

[표 52] 모병제 도입 관련 학계 논의 141

[표 53] 유급지원병제 142

[표 54] 모병제 도입 예상 비용 142

[표 55] 여성 징병제 주요국 사례 147

[표 56] 여성 군 참여 확대 논의 주요국 사례 148

[그림 1] 신기술이 초래하는 미래 군사적 위협의 특징 22

[그림 2] 군 입대가용자원(20세 남성) 인구 추계 24

[그림 3] 병역제도 유형 30

[그림 4] 2012~2022년 상비군 구성 비율 43

[그림 5] 2022년 상비군 규모 순위 44

[그림 6] 2022년 예비군 규모 순위 44

[그림 7] 2022년 남북한 군 병력 비교 46

[그림 8] 연도별 현역 입영 가능 인구와 현역병 소요 52

[그림 9] 장교(학군·학사) 지원 현황 52

[그림 10] 부사관 지원 현황 53

[그림 11] 국방개혁 기본계획 시기 56

[그림 12] 국방의 획기적 변화를 위한 4번째 계획 59

[그림 13] 국방개혁 2.0과 국방혁신 4.0 비교 59

[그림 14] 국방혁신 4.0 개념 60

[그림 15] 한국형 3축 체계 개념도 61

[그림 16] 국방 AI 3단계 발전모델 66

[그림 17] 모병제 도입에 찬성하는 이유 140

[그림 18] 모병제 도입에 반대하는 이유 140

[그림 19] 여성 징병제 도입에 대한 여론조사 146

해시태그

#병역제도 # 국방개혁 # 국방환경 # 과학기술군 # 국방과학기술 # 첨단전력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