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요국 사이버 안보 전략의 변화와 방향을 살펴보고 한국 사이버안보전략에의 시사점과 국회의 역할을 논한다. 우선 키워드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주요국의 사이버안보 개념의 확장과 사이버안보전략 중점 변화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 정보 보안과 네트워크 방어에 초점을 맞추었던 사이버안보전략이 공급망과 기술산업 역량강화, 사이버안보 생태계 구축, 전사회적 접근, 글로벌 협력 등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진화하는 기술과 변화하는 위협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법적 강제와 민관협력 생태계 구축 등 실행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한국의 사이버안보 전략은 사이버 방어와 공세적 사이버 등 전략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나, 법률 집행(law enforcement)과 민관협력의 생태계 구축 등 제도화된 실행력 강화가 보완되어야 한다.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법적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민간기업, 학계, 시민사회, 개인을 포괄하는 전사회적 접근이 중요해지는 현실 속에서 한국 사이버 안보의 실행력 강화를 위해 국회의 정치적 관심과 적극적 역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3
Ⅰ. 서론 4
Ⅱ. 사이버안보 개념의 확장과 주요국의 사이버안보 전략 변화 분석 6
1. 사이버안보 개념의 확장 6
2. 주요국 사이버안보 전략의 확장적 변화 7
Ⅲ. 한국 사이버안보전략과 의회에의 제언 17
1. 파괴적 기술혁신과 지정학 위기의 시대, '사이버안보 정치(cybersecurity politics)' 17
2. 국가안보와 국민안전을 위한 사이버안보 '정치'와 의회의 역할 20
참고문헌 27
판권기 30
[표 1] 전통적 안보와 기술적 사이버 보안 → 복합안보 패러다임과 포괄적 사이버안보 7
[표 2] 주요국 국가사이버안보전략 핵심 키워드 : 미국, 영국, 일본, EU, 한국(빈도수가 많을수록 위쪽에 있음) 9
[표 3] 미국 연방의회 117대 회기(2021년도) 사이버안보 관련 법안에 제기된 내용 21
[표 4] 미국 상하원 의회 상임위별 사이버안보 관련 소위 25
[그림 1] 다면적 차원의 사이버안보 개념의 확장 7
[그림 2] 미국 국가사이버안보전략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1
[그림 3] 영국 국가사이버안보전략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2
[그림 4] 일본 국가사이버안보전략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3
[그림 5] EU 국가사이버안보전략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4
[그림 6] 한국 국가사이버안보전략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5
[그림 7] 사이버안보 정치(cybersecurity politics)를 추동하는 6가지 요소 18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사이버안보 개념의 확장과 주요국의 사이버안보 전략 변화 : 한국 사이버안보에의 함의와 의회에의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