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산업계 전력수요 대응을 위한 전력공급 최적화 방안

우리나라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낮은 전력 요금은 산업 발전의 기반이자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어왔다. 
그러나 지역별 전력수급 불균형과 송전망의 포화로 국가 전력공급 비용이 상승하고 전력 계통 안정성이 위협받고 있다. AI·첨단 산업의 발전에 따라 향후 전력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송전설비 수요도 지속해서 증가할 것이다.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로 전력망이 신속하게 보강되어야 한다. 강건하고 유연한 국가 전력망의 적기구축을 위해 현행 건설체계의 한계를 극복하는 법, 제도적 지원체계 마련이 시급한 때이다.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

목차

목차 1

Ⅰ. 연구배경 1

Ⅱ. 국내 전력수급 현황과 이슈 2

(1) 전력수요 및 발전설비 현황 2

(2) 지역별 전력수급 불균형과 전력융통 현황 4

(3) 송전설비 현황 6

(4) 전력망 확충 현황 및 문제점 8

Ⅲ. 결론 및 시사점 10

[표 1] 발전설비 용량 추이 3

[표 2] 6대 권역별 발전량(2023년) 4

[표 3] 태양광 및 풍력의 지역별 발전량 5

[표 4] 제10차 송변전설비계획의 목표 설비 규모 및 투자비 7

[표 5] 주요 송전망 건설지연 사례 8

[표 6] 국내 송전제약 개소와 현황 9

[표 7] 주요국 송전망 혁신 사례 10

[그림 1] GDP 대비 제조업 비중과 산업용 전력수요 비중 2

[그림 2] 전력수요ㆍ발전설비 추이(1990-2024) 3

[그림 3] 전력시장 참여자별 설비 추이 4

[그림 4] 지역별 전력수급 개념과 현황 5

[그림 5] 월별 수도권 융통전력 한계량 및 융통전력량 6

[그림 6] 1990년 대비 최대전력, 발전설비, 송전설비 변화율 7

[그림 7] 서해안-수도권 HVDC 기간망 개요 7

[그림 8] 송전설비 건설 단계별 소요시간 및 지연 원인 8

[그림 9] 국내 전력계통 제약 9

[그림 10] 동해안-수도권 송전망 구성 9

해시태그

#산업계전력 # 전력공급 # 전력수요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산업계 전력수요 대응을 위한 전력공급 최적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