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일본 입지적정화 제도의 동향과 인천시 시사점

목차

표제지

목차

1.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도시 재구조화의 필요성 2

2. 일본의 입지적정화 제도 분석 7

3. 인구감소시기의 도시공간 재구조화 관련제도 13

4. 인천시의 입지적정화계획 도입을 위한 정책방향 17

참고문헌 22

판권기 23

[그림 1] 인천시 인구변화 추계(2022~2052년) 2

[그림 2] 인천시 군구별 순이동 인구규모 및 신도시(IFEZ) 인구이동 특성 3

[그림 3] 2018년 인천시 고령인구 비율 상ㆍ하위 행정동 3

[그림 4] 인천 원도심 지역의 늘어나는 빈집 및 나대지 현황(부평지역) 4

[그림 5] 역세권 중심의 도시설계 5

[그림 6] 일본의 입지적정화 개념 설명 8

[그림 7] 도시계획과 입지적정화계획의 관계 9

[그림 8] 입지적정화계획구역의 도시 골격 10

[그림 9] 특정용도유도지구의 개념 설명 11

[그림 10] 도야마시 컴팩트 도시 실현 전략 12

[그림 11] 꼬치와 경단 형태로 구성된 도야마시 공간구조 12

[그림 12] 서울시 생활인구 현황(2024년 11월 30일 기준) 13

[그림 13] 지역별 특성 및 교통수단을 고려한 집약적 도시계획 사례 14

[그림 14] 부산시의 15분 도시 전략을 위한 자전거 PM 전용노선 조성 현황 14

[그림 15] 인천 원도심 역세권(작전역) 도시재생혁신지구 후보지 선정 15

[그림 16] 서울시 이문3구역 결합개발 개념 16

[그림 17] 인천시의 입지적정화 도입을 위한 공간변화 제안 17

[그림 18] 주요 거점지역의 입체ㆍ복합공간 유도 계획 개념 및 구상(안) (인천대로-경인전철 결절점) 18

[그림 19] 역세권 유형별 영향권 범위 검토 예시(경인철도) 18

[그림 20] 초연결 역세권 구상 개념 19

[그림 21] 지하철~버스 환승시설 사례(시애틀)와 경인전철 지하화시 철도~버스 간 환승시스템 예시 19

[그림 22] 완전도로를 통한 보행이동 및 환승 시간 감소 개념 20

[그림 23] 타 도시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운영사례 21

해시태그

#인구감소 # 도시재구조화 # 입지적정화 # 도시계획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일본 입지적정화 제도의 동향과 인천시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