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미 인태전략과 동북아 국제정세 : 중·러·북의 도전과 한국의 전략적 대응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9

Abstract 12

Ⅰ. 서론 14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5

2. 주요 연구 내용 18

Ⅱ. 미ㆍ일의 인태전략과 동북아 정세 변화 25

1. 미국 인태전략의 추진 배경과 지정학: 동북아 안보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김현욱 26

가. 배경: 국제정세와 미국 안보전략 동향 26

나. 트럼프의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ㆍ태평양 전략' 내용 32

다. 바이든 정부의 인태전략 및 미중경쟁 36

2. 일본의 인도ㆍ태평양 전략: 추진 배경 및 동북아 안보환경에 미치는 영향 / 이기태 45

가. 배경 45

나. 일본의 '자유롭고 열린 인도ㆍ태평양' 내용 47

다. 기시다 정부의 '자유롭고 열린 인도ㆍ태평양' 53

Ⅲ. 동북아 현상변경 국가들의 도전 59

1. 중국의 현상 도전 전략과 인태전략 확장에 대한 대응 / 이재영 60

가. 중국의 다극화 전략과 반미연대 61

나. 중ㆍ러ㆍ북 삼국 연대와 중국의 소다자ㆍ다자주의 65

다. 중국의 지역ㆍ국가별 대응 전략 72

라. 중국의 분야별 대응 전략 81

2. 러시아의 현상 도전 전략과 인태전략 확장에 대한 대응 / 현승수 86

가. 러시아의 현상 도전 전략 86

나. 러시아의 인태전략 확장에 대한 대응 100

3. 북한의 현상 도전 전략과 인태전략 확장에 대한 대응 / 김진하 116

가. 북한의 현상 도전 수정주의적 인식 117

나. 북한의 인태전략 확장에 대한 대응 129

Ⅳ. 한국의 전략적 대응 150

1. 한ㆍ미ㆍ일 인태전략 공조 추진 방향 151

가. 미국의 인태전략 추진 방향과 한국의 대응: 한ㆍ미ㆍ일 공조 강화 / 김현욱 151

나. 일본의 인도ㆍ태평양 전략 추진 방향과 한국의 대응 / 이기태 156

2. 한국의 대중, 대러, 대북 대응 전략 163

가. 인태전략 추진 하 한국의 대중 대응 전략 / 이재영 163

나. 인태전략 추진 하 한국의 대러 대응 전략 / 현승수 166

다. 인태전략 추진 하 한국의 대북 대응 전략 / 김진하 169

Ⅴ. 결론 175

참고문헌 187

최근 발간자료 안내 200

판권기 3

표 Ⅲ-3-1. 사슬결박의 효력 조건 138

표 Ⅲ-3-2. 나랑(Vipin Narang)의 핵태세 전략 148

표 Ⅲ-3-3. 2022년 '핵무력법' 핵무기의 사용조건 149

그림 Ⅲ-1-1. 2000~2024년 세계 GDP(PPP 구매력 기준) 브릭스와 G7의 비중 67

그림 Ⅲ-1-2. 상하이 협력기구 성원국 확대 역사 68

그림 Ⅲ-1-3. 상하이 협력기구 성원국 정치, 경제, 인구 특징 69

그림 Ⅲ-3-1. 현상국제질서에 대한 국가의 성향분류 125

해시태그

#인태전략 # 국제정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미 인태전략과 동북아 국제정세 : 중·러·북의 도전과 한국의 전략적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