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는 영국 정부가 2030년까지 달성하고자 하는 청정 전력(Clean Power) 목표와 그 이행 현황 및 과제를 분석한 자료임. 2024년 12월 발표된 '청정 전력 2030 행동계획(Clean Power 2030 Action Plan)'을 중심으로, 청정 전력 정의와 주요 지표, 각 에너지원별 발전 비중과 설비 용량 등을 통계와 함께 제시함
□ 정부는 2030년까지 영국 전체 전력 소비량을 청정 전력으로 충당하고, 발전량의 최소 95%를 청정 에너지원에서 생산하며, 전력 생산의 탄소집약도를 50gCO₂e/kWh 이하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설정함. 청정 전력에는 재생에너지, 원자력, 탄소포집형 가스발전, 수소 발전 등이 포함되며, 소규모 열병합발전(CHP) 및 폐기물 발전은 제외됨
□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영국 전력의 약 65%가 청정 전력에서 생산되었으며, 해상풍력이 가장 큰 비중(27%)을 차지함. 그러나 청정 전력 총량은 여전히 전체 소비량보다 약 41% 부족하며, 원자력 발전은 점진적으로 감소 중임. 스코틀랜드는 청정 전력 생산량이 자국 소비량을 초과하였으나, 잉글랜드와 웨일스 등 다른 지역은 아직 미달 상태임
□ 설비 용량 측면에서는 해상풍력과 태양광이 향후 가장 큰 성장 여력을 가진 분야로 평가됨. 정부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용량을 세 배 이상 확대하고, 태양광과 육상풍력도 두 배 가까이 늘릴 계획임. 반면, 기존 원전 폐쇄로 인해 원자력의 비중은 2030년까지 일시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영국의 전력 시스템을 탈탄소화하고,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며, 넷제로 목표에 다가가기 위한 전략적 전환의 핵심은 청정 전력 확대임을 강조함. 이를 위해 기술 투자뿐 아니라 규제 완화, 인허가 간소화, 장기적 인센티브 구조 개편 등이 필요함을 시사함
□ 정부는 2030년까지 영국 전체 전력 소비량을 청정 전력으로 충당하고, 발전량의 최소 95%를 청정 에너지원에서 생산하며, 전력 생산의 탄소집약도를 50gCO₂e/kWh 이하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설정함. 청정 전력에는 재생에너지, 원자력, 탄소포집형 가스발전, 수소 발전 등이 포함되며, 소규모 열병합발전(CHP) 및 폐기물 발전은 제외됨
□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영국 전력의 약 65%가 청정 전력에서 생산되었으며, 해상풍력이 가장 큰 비중(27%)을 차지함. 그러나 청정 전력 총량은 여전히 전체 소비량보다 약 41% 부족하며, 원자력 발전은 점진적으로 감소 중임. 스코틀랜드는 청정 전력 생산량이 자국 소비량을 초과하였으나, 잉글랜드와 웨일스 등 다른 지역은 아직 미달 상태임
□ 설비 용량 측면에서는 해상풍력과 태양광이 향후 가장 큰 성장 여력을 가진 분야로 평가됨. 정부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용량을 세 배 이상 확대하고, 태양광과 육상풍력도 두 배 가까이 늘릴 계획임. 반면, 기존 원전 폐쇄로 인해 원자력의 비중은 2030년까지 일시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영국의 전력 시스템을 탈탄소화하고,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며, 넷제로 목표에 다가가기 위한 전략적 전환의 핵심은 청정 전력 확대임을 강조함. 이를 위해 기술 투자뿐 아니라 규제 완화, 인허가 간소화, 장기적 인센티브 구조 개편 등이 필요함을 시사함
목차
Title page 1
Contents 1
Summary 1
1. Clean power 2030 targets 2
2. Background data 4
2.1. UK clean generation 4
2.2. Clean power capacity 7
2.3. How has UK generation decarbonised to date? 12
2.4. How much is electricity demand expected change in the future? 13
2.5. How much clean power do other countries produce?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