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기술패권경쟁이 본격화된지 약 6년의 시간이 흘렀다. 2018년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중 관세 인상으로 시작된 미·중 무역전쟁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시발점이 되었고, 「반도체 및 과학법」,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대표되는 바이든 행정부의 산업정책과 대(對)중 반도체 수출통제는 미·중 기술패권경쟁을 더욱 심화시켰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미국의 통상기조가 변화하게 된 원인을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 무역 데이터, 국제산업연관표 데이터, 특허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양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앞으로의 변화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2. 주요 내용
본 보고서에서는 먼저 미국의 통상기조 변화의 원인을 크게 “China Shock”으로 대표되는 세계화의 충격, 냉전 종식에 따른 대외 환경의 변화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와 관련하여 미 정계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양자 간 무역, 국제산업연관표, 특허 데이터를 토대로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면적으로는 미국의 중국산 제품 수입 비중이 줄어들었지만, 미국 시장에서 중국을 대체한 주요 교역국의 대(對)중 공급망 의존도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칩렛 및 첨단패키징)와 이차전지(양극재·음극재 소재) 분야에서는 지정학적 위험을 우회(완화)할 수 있는 기술의 발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과 중국의 과잉설비 문제에 따른 향후 글로벌 통상질서의 변화를 예측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3. 정책 대안 및 시사점
본 보고서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으로 임박한 무역 협상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미·중 무역전쟁 이후 대(對)미 무역흑자의 증가로 인해 거센 압박에 직면한 가운데 미국과의 협력 가능 분야를 발굴하고 공급망 재편에서의 기여를 강조하는 한편 양보할 수 있는 선을 검토해야 한다. 둘째, 미 정계가 중국의 우회수출을 경계하고 있는 만큼 중국산 중간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등 공급망 다변화에 더욱 힘써야 한다. 셋째, 미국의 통상기조 변화, 중국의 과잉설비 문제 등으로 인한 글로벌 통상질서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주요국과의 정책 공조강화가 필요하며, 다양한 협력체계의 구축과 참여를 통해 협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이차전지 등의 분야에서는 공급망 관련 지정학적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소재의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1
제1장 서론 23
제2장 미국의 통상기조 변화 27
제1절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회귀 28
1. 세계화에 대한 반발 29
2. 미국의 대외 환경 변화 39
제2절 미ㆍ중 무역전쟁 43
1. 미ㆍ중 무역전쟁의 경제적 영향 43
2. 미ㆍ중 무역전쟁이 선거에 미친 영향 48
제3절 소결 50
제3장 미ㆍ중 무역전쟁과 글로벌 공급망 51
제1절 분석의 개요 52
제2절 무역 데이터 분석 54
1. 미ㆍ중 무역전쟁 관세 54
2. 분석 결과 57
제3절 국제산업연관표 분석 77
1. 분석의 개요 78
2. 부가가치의 흐름 80
3. 공급망 익스포저 91
제4절 소결 102
제4장 글로벌 공급망과 기술 103
제1절 분석의 개요 104
제2절 반도체 산업 109
1. 분석의 배경 109
2. 특허 분석 결과 113
제3절 이차전지 118
1. 분석의 배경 118
2. 특허 분석 결과 123
제4절 소결 132
제5장 글로벌 통상질서 주요 이슈 133
제1절 미국의 통상기조 134
1.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글로벌 공급망 134
2.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과 글로벌 공급망 138
제2절 중국의 과잉설비 문제와 글로벌 공급망 144
1. 녹색산업 공급망을 둘러싼 갈등 144
2. 중국의 과잉설비와 글로벌 공급망 146
제3절 소결 150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51
참고문헌 156
1. 문헌자료 157
2. 웹사이트 174
[부록 1] 이차전지 관련 특허 코드 175
Abstract 178
판권기 181
[표 3-1] 연구개발(R&D) 집약도에 따른 산업분류 65
[표 3-2] 연구개발(R&D) 집약도에 따른 산업분류(국제산업연관표) 82
[표 4-1] 칩렛 기술의 주요 장점 111
[표 4-2] 칩렛 기술의 주요 도전 과제 111
[표 4-3] 칩렛(chiplet) 관련 특허 코드 및 내용 114
[표 4-4] 칩렛(chiplet) 관련 주요 키워드 114
[표 4-5] 이차전지 주요 핵심원자재 생산량과 매장량 119
[표 4-6] 이차전지 관련 특허 코드, 내용, 키워드 124
[그림 2-1] 미국 취업자 중 제조업 취업자 비율 31
[그림 2-2] 세계화가 포퓰리즘으로 이어지는 경로 34
[그림 2-3] 미국의 관세 추이 40
[그림 2-4] 노동시장 충격 대응 방안에 대한 선호 45
[그림 3-1] 미ㆍ중 무역전쟁 이후 관세의 변화 55
[그림 3-2] 미국의 총 수입액 중 중국의 비중 57
[그림 3-3] 관세 적용 여부에 따른 수입액의 변화 58
[그림 3-4] 미국의 국가별 수입 비중의 변화 59
[그림 3-5] 미ㆍ중 무역전쟁 이후 관세 적용 여부에 따른 수입 비중의 변화 60
[그림 3-6] 미국의 지역별 수입 비중의 변화 61
[그림 3-7] 미ㆍ중 무역전쟁 이후 관세 적용 여부에 따른 수입 비중의 변화(지역) 62
[그림 3-8] 주요 대(對)미 수출국의 중국산 제품 수입 비중 변화 63
[그림 3-9] 주요 대(對)미 수출 지역의 중국산 제품 수입 비중 변화 64
[그림 3-10] 산업분류에 따른 수입집중도(미국) 69
[그림 3-11] 산업분류에 따른 수입집중도(멕시코) 70
[그림 3-12] 산업분류에 따른 수입집중도(캐나다) 71
[그림 3-13] 산업분류에 따른 수입집중도(일본) 72
[그림 3-14] 산업분류에 따른 수입집중도(한국) 73
[그림 3-15] 산업분류에 따른 수입집중도(유럽연합) 74
[그림 3-16] 산업분류에 따른 수입집중도(아세안) 75
[그림 3-17] 연구개발 집약도가 높은 산업(C26 제외)의 국가별 수입집중도 76
[그림 3-18] 국제산업연관표의 구조 78
[그림 3-19] 미국으로의 수출에 포함된 중국의 부가가치(멕시코) 84
[그림 3-20] 미국으로의 수출에 포함된 중국의 부가가치(캐나다) 85
[그림 3-21] 미국으로의 수출에 포함된 중국의 부가가치(일본) 86
[그림 3-22] 미국으로의 수출에 포함된 중국의 부가가치(한국) 87
[그림 3-23] 미국으로의 수출에 포함된 중국의 부가가치(베트남) 88
[그림 3-24] 미국으로의 수출에 포함된 중국의 부가가치(유럽연합) 89
[그림 3-25] 미국으로의 수출에 포함된 중국의 부가가치(아세안) 90
[그림 3-26] 중국에 대한 수입 측면 공급망 익스포저(멕시코) 93
[그림 3-27] 중국에 대한 수입 측면 공급망 익스포저(캐나다) 94
[그림 3-28] 중국에 대한 수입 측면 공급망 익스포저(일본) 95
[그림 3-29] 중국에 대한 수입 측면 공급망 익스포저(한국) 96
[그림 3-30] 중국에 대한 수입 측면 공급망 익스포저(베트남) 97
[그림 3-31] 중국에 대한 수입 측면 공급망 익스포저(유럽연합) 98
[그림 3-32] 중국에 대한 수입 측면 공급망 익스포저(아세안) 99
[그림 3-33] 중국에 대한 수입 측면 공급망 익스포저(미국) 101
[그림 4-1] 칩렛 및 첨단패키징 분야 특허출원수 116
[그림 4-2] 양극재 분류별 특허출원수 129
[그림 4-3] 음극재 관련 특허출원수 130
[그림 4-4] 주요 차세대 배터리 특허출원수 131
[그림 5-1] 미 의회에 발의된 중국 관련 법안의 수 135
부록표목차 8
[표 A-1] 이차전지 특허 분석 코드(H01M4) 및 설명 176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글로벌 통상질서의 변화와 공급망 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