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최근 산불대응 관련 주요 쟁점 및 향후 과제

금년 3월말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영남권 산불은 강풍으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매년 반복되는 대형산불 대응과 관련하여 다음의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① 산불발생 초기 실효성있는 대응을 위한 대응 단계별 발령기준 개선, ② 권역별 통합산불대응센터를 설치하는 등 산불대응기관 간 지휘·협조체계 강화, ③ 피해 복구지원, 산불발생 원인 및 대응체계의 문제점 조사·분석을 위한 특별법 마련, ④ 산불예방 측면에서 산불관련 규정 위반자에 대한 처벌 강화, ⑥ 내화수림 조성 확대, 진화인력 및 장비 확충 등이 필요하다. 향후 산불대응체계 개편 문제는 ① 각 기관의 전문성과 인력 등 역량과 장단점을 전체적으로 고려하고, ② 대응체계를 예방-진화-피해복구·관리 단계로 구분하여 대응체계 개편을 논의하되, 각 단계별로 조직을 전문화·고도화하는 방향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출처: 국회입법조사처)

 

목차

목차 1

1. 서론 1

2. 국내 산불발생 현황과 주요 원인 1

3. 산불 관련 쟁점 및 향후 과제 2

4. 결론 4

[그림 1] 산불 발생 주요원인 1

[그림 2] 산불대응 단계별 발령기준 2

해시태그

#대형산불대응 # 피해복구지원 # 통합산불대응센터 # 이슈와논점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최근 산불대응 관련 주요 쟁점 및 향후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