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5
Ⅰ. 개요 9
1. 배경 및 필요성 10
2. 연구 목적 및 내용 12
Ⅱ.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 활용 방안 13
1. AI 디지털 기반 사회정서학습의 필요성 14
가.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사회정서학습(SEL)의 역할 강화 14
나. AI 디지털기반 사회정서학습(SEL)의 필요성 16
2. 멀티모달 AI의 개념 및 동향 17
가. 멀티모달 AI (Multi Modal AI)의 개념 17
나. 국내 멀티모달 AI 사례 22
다. 해외 멀티모달 AI 사례 31
라. 트렌드 분석을 통한 멀티모달 AI 방향성 도출 42
3.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 기술 적용 사례 44
가.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 기술의 국내외 사례 44
나.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 기술의 제약과 한계 55
다.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 기술의 발전 방향 56
4.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 기술 요소와 설계 방안 58
가.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텍스트 데이터 및 수집 기술 59
나.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 및 수집 기술 61
다.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 및 수집 기술 64
라.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 설계 방안 65
5.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 및 시사점 66
가. 사회정서학습(SEL)의 핵심 역량과 멀티모달 AI 66
나.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의 핵심기술 68
다.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의 주요 활용 방안 68
라.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 활용의 기대 효과 69
Ⅲ. 멀티모달 AI 기반 사회정서학습 방안 탐색 72
1. 멀티모달 AI 기반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FGI 결과 73
가. 개요 73
나. FGI 결과 75
2. 멀티모달 AI 기반 사회정서학습 시나리오 91
가. 시나리오 1: 친구들과 함께 하는 팀 프로젝트 활동 93
나. 시나리오 2: 나를 찾아줘! 나의 감정과 이야기해 볼까? 행복은 내 안에 있다구! 96
다. 시나리오 3: 도와줘요! 에이아이! 100
라. 시나리오 4: AI 튜터와 나만의 학습 여정: 스트레스 관리부터 진로 탐색까지 104
마. 시나리오 5: 2030년 정은, 금동, 종일이의 학교 생활, 어느 하루 108
Ⅳ. 결론 및 제언 112
1. 요약 및 결론 113
2. 향후 과제 117
FGI 질문지 119
참고문헌 129
판권기 132
〈표 Ⅱ-1〉 사회정서학습(SEL) 5대 핵심 역량 15
〈표 Ⅱ-2〉 유니모달 AI와 멀티모달 AI의 다섯 가지 핵심 측면 비교 21
〈표 Ⅱ-3〉 국내외 멀티모달 AI의 다섯 가지 핵심 측면 비교 44
〈표 Ⅱ-4〉 상냥이 멀티모달 서비스의 검증 결과 46
〈표 Ⅱ-5〉 Kiwi 멀티모달 서비스의 검증 결과 47
〈표 Ⅱ-6〉 Woebot 멀티모달 서비스의 검증 결과 49
〈표 Ⅱ-7〉 Replika 멀티모달 서비스의 검증 결과 50
〈표 Ⅱ-8〉 Kuki 멀티모달 서비스의 검증 결과 52
〈표 Ⅱ-9〉 Wysa 멀티모달 서비스의 검증 결과 53
〈표 Ⅱ-10〉 MindPeace 멀티모달 서비스의 검증 결과 55
〈표 Ⅲ-1〉 FGI 참여자 프로필 73
〈표 Ⅲ-2〉 FGI 질문 내용 74
〈표 Ⅲ-3〉 워킹그룹 참여 현장 전문가 프로필 91
〈표 Ⅲ-4〉 미래 환경의 멀티모달 AI 기반 사회정서학습(SEL) 시나리오 92
[그림 Ⅱ-1] 유니모달 AI와 멀티모달 AI가 자동차를 이해하는 방식 17
[그림 Ⅱ-2] 네이버 CLOVA X 22
[그림 Ⅱ-3] 네이버 CLOVA의 핵심기능 (1) 22
[그림 Ⅱ-4] 네이버 CLOVA의 핵심기능 (2) 23
[그림 Ⅱ-5] 네이버 CLOVA X의 핵심기능 (3) 24
[그림 Ⅱ-6] SKT 에이닷(A.) 24
[그림 Ⅱ-7] SKT 에이닷의 핵심기능 (1) 25
[그림 Ⅱ-8] SKT 에이닷의 핵심기능 (2) 25
[그림 Ⅱ-9] SKT 에이닷의 핵심기능 (3) 26
[그림 Ⅱ-10] SKT 에이닷의 핵심기능 (4) 26
[그림 Ⅱ-11] 카카오브레인 허니비 27
[그림 Ⅱ-12] 카카오브레인 허니비의 핵심기능 28
[그림 Ⅱ-13] LG AI Research EXAONE 29
[그림 Ⅱ-14] LG AI Research 엑사원의 핵심기능 (1) 29
[그림 Ⅱ-15] LG AI Research 엑사원의 핵심기능 (2) 30
[그림 Ⅱ-16] LG AI Research 엑사원의 핵심기능 (3) 30
[그림 Ⅱ-17] LG AI Research 엑사원의 핵심기능 (4) 31
[그림 Ⅱ-18] OpenAI GPT-4o 31
[그림 Ⅱ-19] OpenAI GPT-4o의 핵심기능 (1) 32
[그림 Ⅱ-20] OpenAI GPT-4o의 핵심기능 (2) 32
[그림 Ⅱ-21] OpenAI GPT-4o의 핵심기능 (3) 33
[그림 Ⅱ-22] Meta ImageBind 33
[그림 Ⅱ-23] Meta ImageBind의 핵심기능 (1) 34
[그림 Ⅱ-24] Meta ImageBind의 핵심기능 (2) 34
[그림 Ⅱ-25] Meta ImageBind의 핵심기능 (3) 35
[그림 Ⅱ-26] Meta SeamlessM4T 35
[그림 Ⅱ-27] Meta SeamlessM4T의 핵심기능 (1) 36
[그림 Ⅱ-28] Meta SeamlessM4T의 핵심기능 (2) 36
[그림 Ⅱ-29] Meta SeamlessM4T의 핵심기능 (3) 37
[그림 Ⅱ-30] Meta SeamlessM4T의 핵심기능 (4) 37
[그림 Ⅱ-31] Google Gemini 38
[그림 Ⅱ-32] Google Gemini의 핵심기능 (1) 38
[그림 Ⅱ-33] Google Gemini의 핵심기능 (2) 39
[그림 Ⅱ-34] Google Gemini의 핵심기능 (3) 39
[그림 Ⅱ-35] Microsoft Kosmos-2 40
[그림 Ⅱ-36] Microsoft Kosmos-2의 핵심기능 (1) 40
[그림 Ⅱ-37] Microsoft Kosmos-2의 핵심기능 (2) 41
[그림 Ⅱ-38] Microsoft Kosmos-2의 핵심기능 (3) 41
[그림 Ⅱ-39] 상냥이 45
[그림 Ⅱ-40] 상냥이의 상담 컨텐츠와 검사 컨텐츠 45
[그림 Ⅱ-41] Kiwi 활용 장면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ews, 2020) 46
[그림 Ⅱ-42] Woebot 48
[그림 Ⅱ-43] Replika 49
[그림 Ⅱ-44] Kuki 51
[그림 Ⅱ-45] Wysa 52
[그림 Ⅱ-46] MindPeace 54
[그림 Ⅱ-47]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멀티모달 AI 58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멀티모달 AI 기반 사회정서학습(SEL) 적용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