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5년) 세계경제 전망 : 업데이트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는 13일, 「2025년 세계경제 전망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2.7%로 예상함. 이는 작년 11월에 제시한 기존 전망(3.0%)보다 0.3%p 낮은 수치임 

□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서 세계 교역이 급격히 위축된 가운데, 금융위기와 부채위기 등 복합적인 리스크가 겹치며 글로벌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진단임. 미국과 중국이 '관세 90일 유예'에 합의했지만, 세계 경제 전반에 미칠 부정적 영향은 여전히 클 것으로 분석함 

□ 또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올해 세계 경제 키워드로 '격변의 무역 질서, 표류하는 세계 경제'를 제시함. 그러면서 ▲ 관세 및 무역전쟁 격화 ▲ 인플레이션 재발과 통화정책 불확실성 ▲ 역자산효과와 금융 불안 및 부채 위기 등이 복합적으로 성장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함 

□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이번 경제 전망에서 미국이 보편 관세 10%를 유지하는 가운데 중국과 협상을 통해 당초 거론됐던 '100%대 상호관세'보다 낮은 수준의 세율을 적용할 것으로 전제했다고 설명함. 실제 미국과 중국은 전날 협상을 통해 서로에게 부과했던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함. 이에 따라 미국이 중국 상품에 매긴 관세는 145%에서 30%로,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매겼던 보복관세 125%는 10%로 낮아짐

□ 윤상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거시금융실장은 '전날 미국과 중국이 합의한 관세율은 이번 전망의 전제보다도 조금 더 낮은 수준'이라며 '다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만큼, 전망의 성장률 자체를 크게 바꿀 정도는 아니다'고 설명함

 
[출처] KIEP, 세계성장률 3.0→2.7% 하향…'관세 충격에 무역질서 격변' (2025.05.13.) / 연합뉴스

목차

표제지 1

목차 2

1. 세계경제 전망 개관 3

가. 2025년 세계경제 3

나. 2026년 세계경제 5

다. 주요 리스크 요인 6

라. 세계 교역 14

2. 국제금융시장 및 국제상품시장 21

가. 금리 21

나. 환율 26

다. 국제유가 34

라. 비철금속 및 곡물 가격 38

3. 선진국 경제 전망 41

가. 미국 41

나. 유럽 47

다. 일본 54

4. 신흥국 경제 전망 62

가. 중국 62

나. 인도 71

다. 동남아 77

라. 러시아 84

마. 중앙아시아 90

바. 브라질 95

사. 중남미 100

아. 중동 및 북아프리카 107

자.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115

표 1-1. KIEP 세계경제 전망 5

표 1-2. 세계 교역 및 가격 증가율 14

표 1-3. 2025년 미국의 주요 관세조치 18

표 1-4. 세계 교역량 증가율 및 전망치(2025~26년) 20

표 2-1. 주요국의 기준금리 조정 동향 23

표 2-2. 미국 국채금리의 상승ㆍ하락 요인 25

표 2-3.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의 금리 전망 25

표 2-4.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환율 전망치 33

표 2-5. 세계 원유 수급 전망 37

표 2-6. 주요기관별 국제유가 전망 37

표 3-1. 미국 경제성장률(지출 부문별) 41

표 3-2. 상하원 예산결의안 주요 항목 44

표 3-3. 미국 관세정책과 관련한 각 기관의 전망 45

표 3-4. 주요 기관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 46

표 3-5. 유럽 주요국의 분기별 GDP 성장률 47

표 3-6. 유럽 주요국의 2025년 및 2026년 경제성장률 전망 53

표 3-7. 일본 GDP 성장률 추이 54

표 3-8. 최근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이 58

표 3-9. 최근 일본정부의 경제대책과 추경 규모 추이 59

표 3-10. 트럼프2기 관세 인상 관련 일본 산업계의 주요 대응 60

표 3-11. 주요 기관의 일본 경제성장률 전망 61

표 4-1.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62

표 4-2. 2025년 중국 중앙 및 지방 정부 예산 계획 66

표 4-3. 트럼프 2기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에 대한 중국의 대응 68

표 4-4. 주요 기관별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 70

표 4-5. 인도의 부문별 성장률 72

표 4-6. 주요 기관의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 76

표 4-7. 동남아 주요국의 지출별 GDP 증가율 78

표 4-8. 주요 기관의 동남아 주요국 경제성장률 전망 83

표 4-9. 러시아 실질 GDP 성장률 84

표 4-10. 러시아 지출부문별 성장률 84

표 4-11. 러시아의 주요 생산 지표 85

표 4-12. 주요 기관의 러시아 경제성장률 전망 89

표 4-13. 중앙아시아 경제성장률 90

표 4-14. 2022년 미국의 대중앙아시아 무상원조 규모와 비중 93

표 4-15. 주요 기관의 중앙아시아 국가별 성장률 전망 94

표 4-16. 브라질의 2024년 부문별 성장률(지출) 95

표 4-17. 브라질의 2024년 부문별 성장률(생산) 95

표 4-18. 주요 기관의 브라질 경제성장률 전망(2025~26년) 99

표 4-19. 주요 기관의 중남미 주요국 경제성장률 전망(2025~26년) 106

표 4-20. 중동 주요국의 경제성장률 108

표 4-21. 주요 기관의 중동 주요국 경제성장률 전망(2025~26년) 114

표 4-22. 2024년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경제성장률 115

표 4-23.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내 미국 개발원조 상위 수혜국(2019~23년 누적 기준) 122

표 4-24.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대미 무역흑자 비중 상위국(2024년 기준) 122

표 4-25. 주요 기관별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경제성장률 전망(2025~26년) 123

그림 1-1. 선진국의 성장률 추이 4

그림 1-2. 신흥국의 성장률 추이 4

그림 1-3.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 지도 6

그림 1-4. 전 세계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 8

그림 1-5.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지수 추이 8

그림 1-6. 중국 신규 부동산 가격 추이 9

그림 1-7. 주요 위기 시 미국 주가 반응 추이 9

그림 1-8. 세계 교역(상품+서비스) 증가율 추이 14

그림 1-9. 세계 상품 교역량 추이: 분기별 15

그림 1-10. 지역별 세계 상품 교역량 추이: 분기별 15

그림 1-11. 세계 상품 수출액 증가율 추이: 월별 16

그림 1-12. 주요국의 상품 수출액 증가율 16

그림 1-13. 주요국의 상품 수입액 증가율 16

그림 1-14. 품목별 상품 교역액 증가율 17

그림 1-15. 업종별 세계 서비스 교역액 증가율 17

그림 1-16. 세계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19

그림 1-17. 세계 공급망압력 지수(GSCPI) 19

그림 2-1. 미국 국채 발행량 22

그림 2-2. 미국 국채 잔액 22

그림 2-3. 주요국의 장기(10년) 국채금리 23

그림 2-4. 미국 기대인플레이션 및 장단기 금리차 23

그림 2-5. 우리나라의 주요 금리 24

그림 2-6. 우리나라의 외국인 채권투자 동향 24

그림 2-7. 달러 인덱스와 달러/유로 및 엔/달러 환율 추이 27

그림 2-8. 신흥국 통화지수와 위안/달러 환율 추이 27

그림 2-9. 미국 달러 대비 환율 및 금리차 추이 29

그림 2-10. 원/달러 환율과 원/위안 및 원/엔 환율 추이 30

그림 2-11. 주요 32개국의 달러 대비 통화가치 변동률 30

그림 2-12. 미국 달러 대비 환율 및 미중 금리차 추이 30

그림 2-13. 한국의 직접투자 추이 31

그림 2-14. 한국의 증권투자 추이 31

그림 2-15. 유가 34

그림 2-16. 유가 불확실성 지수(OVX) 34

그림 2-17. 원유의 수요와 공급 37

그림 2-18. 미 원유 생산량 37

그림 2-19. 전기동 가격 및 재고 38

그림 2-20. 알루미늄 가격 및 재고 38

그림 2-21. 대두 가격 39

그림 2-22. 소맥 및 옥수수 가격 39

그림 2-23. 전기동 수급 전망 40

그림 2-24. 전기동 및 알루미늄 가격 전망 40

그림 2-25. 주요 곡물 수급 전망 40

그림 2-26. 주요 곡물 가격 전망 40

그림 3-1. 미국 GDP 구성 항목별 성장률 기여도 41

그림 3-2. 미국 물가상승률(전년동월대비) 41

그림 3-3. 미국 실업률 및 비농업 부문 고용 증감 42

그림 3-4. 미국 실업수당 청구 건수와 경제활동참가율 및 고용률 42

그림 3-5. 미국 소매판매지수 42

그림 3-6. 미국 소비자심리지수 42

그림 3-7. 미국 주택 판매 수 43

그림 3-8. S&P/Case-Shiller 미국 주택가격지수 43

그림 3-9. 미국 ISM 제조업지수 및 서비스업지수 43

그림 3-10. 미국 산업생산지수 43

그림 3-11. 미국 연방정부 수입 및 지출 추이 44

그림 3-12.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 및 부문별 기여도 48

그림 3-13. 유럽 주요국의 대세계 상품교역 추이 49

그림 3-14. 유로 지역과 영국의 노동시장 주요 지표 50

그림 3-15. 유럽중앙은행과 영국중앙은행의 정책금리 50

그림 3-16. 유럽 주요국의 정부부채 비율 51

그림 3-17. 유럽 주요국의 재정수지 비율 51

그림 3-18. 일본 GDP 구성항목별 기여도 54

그림 3-19. 일본 소비활동지수 추이 55

그림 3-20. 일본기업의 설비투자, 경상이익, 매출액 추이 55

그림 3-21. 일본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 56

그림 3-22. 일본 고용 형태별 고용자 수 변화 및 유효구인배율 56

그림 3-23. 일본 수출입 및 무역수지 추이 57

그림 3-24. 일본 경상수지 추이 57

그림 3-25. 일본 정책금리 추이 58

그림 3-26. GDP 대비 기초재정수지 적자 및 정부부채 추이 59

그림 4-1. GDP 증가율 및 주요 부문의 기여도 62

그림 4-2. 중국 소매판매 증가율 63

그림 4-3. 중국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63

그림 4-4.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율 63

그림 4-5. 중국 산업생산 증감률 64

그림 4-6. 중국 제조업 및 비제조업 PMI 지수 64

그림 4-7. 중국 CPI 및 PPI 증감률 64

그림 4-8. 중국 실업률 및 신규고용 증감율 64

그림 4-9. 중국 수출입 및 무역수지 추이 65

그림 4-10. 중국 주요 품목별 수출 65

그림 4-11. 인도 GDP 성장률 및 항목별 기여도 71

그림 4-12. 인도 경상수지 71

그림 4-13. 인도 월별 구매관리자지수(PMI) 72

그림 4-14. 인도 소비자물가지수(CPI) 72

그림 4-15. 인도 환율 및 주가지수 73

그림 4-16. 인도 월별 외환보유고 73

그림 4-17. 인도 기준금리 74

그림 4-18. 인도 GST 및 재정적자 비율 74

그림 4-19. 동남아 주요국의 실질 GDP 증가율 78

그림 4-20. 동남아 주요국의 환율 79

그림 4-21. 동남아 주요국의 경상수지 79

그림 4-22. 동남아 주요국의 공공부채 80

그림 4-23. 동남아 주요국의 재정수지 80

그림 4-24. 동남아 주요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 80

그림 4-25. 동남아 주요국의 기준금리 80

그림 4-26. 동남아 주요국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 82

그림 4-27. 동남아 주요국의 대미 수출액과 비중(2024년) 82

그림 4-28. 러시아 실질 GDP 성장률 추이 84

그림 4-29. 러시아 실업률 및 실업자 수 추이 85

그림 4-30. 러시아 실질임금 및 소매거래 추이 85

그림 4-31. 러시아 산업생산 및 고정자산투자 추이 85

그림 4-32. 러시아 상품 수출입 추이 86

그림 4-33. 러시아 소비자물가상승률 및 환율 추이 86

그림 4-34. 러시아 기준금리 추이 87

그림 4-35. 국별 환율(국별통화/USD) 추이 91

그림 4-36. 국별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 91

그림 4-37. 브라질 소비자물가상승률 96

그림 4-38. 브라질 환율 96

그림 4-39. 브라질 경상수지 96

그림 4-40. 브라질 원자재 수출가격 지수 96

그림 4-41. 브라질 기준금리(Selic) 97

그림 4-42. 브라질 정부부채 97

그림 4-43. 중남미 주요국의 연도별 성장률 추이 100

그림 4-44. 중남미 주요국의 분기별 성장률 추이 100

그림 4-45. 중남미 주요국의 제조업 생산지수 100

그림 4-46. 중남미 주요국의 광업 생산지수 100

그림 4-47. 중남미 주요국의 소비자신뢰지수 추이 101

그림 4-48. 중남미 주요국의 기업신뢰지수 추이 101

그림 4-49. 중남미 주요국의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102

그림 4-50. 중남미 주요국의 환율 추이 102

그림 4-51. 중남미 주요국의 수출 추이 102

그림 4-52. 중남미 주요국의 수입 추이 102

그림 4-53. 중남미 주요국의 기준금리 추이 103

그림 4-54. 중남미 주요국의 재정수지 추이 104

그림 4-55. 중남미 주요국의 정부부채 추이 104

그림 4-56. 중동 주요국 원유 생산량 추이 108

그림 4-57. 중동 주요 국가별 물가상승률 추이 108

그림 4-58. 중동 주요 국가별 환율 108

그림 4-59. 중동 주요 국가별 경상수지 추이 109

그림 4-60. 중동 주요 국가별 재정수지 추이 109

그림 4-61.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환율 추이 117

그림 4-62.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 경상수지 117

그림 4-63.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 정부부채 118

그림 4-64.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재정수지 118

그림 4-65.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 물가상승률 120

그림 4-66.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 기준금리 120

글상자목차 10

글상자 1-1. 제12차 대외경제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 10

해시태그

#세계경제전망 # 경제성장률 # 무역질서 # 관세전쟁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5년) 세계경제 전망 :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