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국립국회도서관의 보고서는 일본의 전후 조선(造船) 산업 정책의 변천 과정을 정리하고, 한국, 중국, 유럽 등의 주요국 조선 정책과 산업 동향을 비교 분석함
- 일본은 1950~60년대 세계 최대 조선국으로 부상하였지만, 이후 한국과 중국의 부상으로 시장 점유율이 하락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법제와 정책을 추진해 옴
□ 최근에는 '해사산업강화법(2021)' 제정 등으로 디지털화·친환경화·자동운항 기술 개발, 국제 해상수송 안정성 확보, 산업기반 재편 등의 전략적 조치를 추진함
- 동시에 중국·한국의 막대한 공공지원과 기술 투자, 유럽의 고부가가치 조선 분야 집중 등의 글로벌 동향을 참고하여 일본 조선산업의 구조 개혁과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함
목차
はじめに
Ⅰ 造船業と船舶
1 造船業の概要
2 船舶の種類
Ⅱ 造船業の状況
1 国内の状況
2 世界の状況
Ⅲ 我が国の造船政策の変遷
1 戦後の復興と発展
2 造船不況
3 韓国・中国の台頭とOECD 造船協定の頓挫
4 国際競争力の強化
5 最近の動向
Ⅳ 諸外国の造船業の動向
1 中国
2 韓国
3 欧州
Ⅴ 造船政策の課題
1 国際競争
2 技術開発・研究開発
3 需要変動への対応
4 安全保障
おわり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