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4
요약 8
제1장 서론 10
제2장 응급실까지의 이동시간에 따른 응급실 이용 특성의 변화 12
제1절 연구 배경 및 분석자료 12
제2절 분석방법 16
제3절 주요 변수들 간의 실증적 관계 19
제4절 응급실 이동시간 관련 실증분석 23
1. 응급의료비 23
2. 의료 서비스 24
3. 퇴원 결과 26
4. 의료기관 선택 27
5. 응급실 도달까지 걸린 이동시간 변동성의 원인 28
6. 메커니즘 29
7. 이질성 분석 33
제5절 소결 36
제6절 정책적 시사점 37
제3장 응급의료 서비스의 효과 추정 39
제1절 연구 배경 및 분석자료 39
제2절 분석방법 50
제3절 분석 결과 51
제4절 소결 59
제5절 정책적 시사점 60
제4장 논의의 종합 62
참고문헌 63
판권기 66
〈표 2-1〉 기초 통계량 15
〈표 2-2〉 응급실 방문 횟수에 따른 기초 통계량 16
〈표 2-3〉 응급실까지 걸린 이동시간과 응급의료비의 상관관계 24
〈표 2-4〉 응급실까지의 이동시간과 응급의료 서비스 이용의 상관관계 25
〈표 2-5〉 응급실까지의 이동시간과 환자의 퇴원 결과 26
〈표 2-6〉 응급실까지의 이동시간과 의료기관 선택의 상관관계 27
〈표 2-7〉 첫 방문과 그 후 방문의 의료 이용 선택 비교 29
〈표 2-8〉 메커니즘 테스트 30
〈표 2-9〉 응급실 방문 주요 원인 분포 31
〈표 2-10〉 서울, 읍면리 거주 관련 이질성 34
〈표 3-1〉 기초 통계량 42
〈표 3-2〉 중증 응급 상황에 따른 기초 통계량 43
〈표 3-3〉 코로나19 시기에 따른 심정지 환자 기초 통계량 47
〈표 3-4〉 중증 응급 환자 특성 변화 48
〈표 3-5〉 EMS 대응 시간 이상치와 인구학적 변수들의 관계 49
〈표 3-6〉 EMS 대응 시간이 현장 사망에 미치는 효과 52
〈표 3-7〉 EMS 대응시간 효과 추정 모형의 잠재적 대안 모형 검토 53
〈표 3-8〉 EMS 대응 시간의 내생성 테스트 53
〈표 3-9〉 환자 거주지를 고려한 EMS 대응 시간의 효과 54
〈표 3-10〉 메커니즘 테스트 55
〈표 3-11〉 강건성 검증 56
〈표 3-12〉 EMS 대응시간 효과의 이질성 58
[그림 2-1] 거주지 특성에 따른 응급실까지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 19
[그림 2-2] 응급실 도착 지연에 대한 인식 20
[그림 2-3] 총 응급의료비와 이동시간의 관계 21
[그림 2-4] 응급의료비 구성요소와 이동시간의 관계 22
[그림 2-5] 환자 이송 수단에 따른 응급실 도달 소요 시간 누적 분포 32
[그림 3-1] 심정지 환자 평균 대응시간의 월별 추세 43
[그림 3-2] 심정지 환자 출동 횟수의 월별 추세 44
[그림 3-3] 중증 응급환자 추세 45
[그림 3-4] 심정지와 그 외 중증 응급 질환 환자의 이송 및 미이송 추세 46
[그림 3-5] 심정지와 그 외 중증 응급 질환 환자의 재이송 및 현장 사망 추세 4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응급실 이용 특성 분석과 응급의료 서비스의 효과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