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도서관(관장 황정근)은 6월 18일(수) ‘데이터로 보는 도심항공교통(UAM)’을 주제로 『Data & Law』(2025-5호, 통권 제30호)를 발간함
□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은 저고도의 공중을 활용한 도시의 항공운송 생태계를 의미함. 기술발달로 도심형 항공기인 ‘전기동력 수직이착륙기(eVTOL: electric Vertical Take-Off&Landing)’와 ‘수직형 이착륙장(버티포트, Vertiport)’이 개발되면서 활주로 없이도 도심 내에서 승객과 화물을 수송하는 항공교통체계의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음
□ 국토교통부는 2020년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K-UAM)을 발표하면서 UAM의 전 세계 시장 규모는 2040년 6,090억 달러, 국내 시장 규모는 109억 달러(약 13조 원)로 형성될 것으로 전망함(2019년 5월 환율기준). 그리고, 국내 산업 파급효과도 16만 명의 일자리 창출, 생산유발 23조 원 및 부가가치유발 11조 원이 있을 것으로 예상함. 또한, 국내에서 UAM이 활성화될 경우 서울 시내 통행시간이 평균 37분에서 9분으로 78% 감축되는 등의 사회적 효과를 기대함
□ 이와 함께, 국토교통부는 국내 UAM 기술 수준은 미국 및 유럽연합(EU)에 비하여 인프라 기술은 79.3% 수준, 핵심기술* 수준은 63.3%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또한,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자료에 따르면 eVTOL에 대한 준비 수준인 ATRI지수**의 우리나라 지수는 총점 34점 중 19.4점으로 주요 선진국 중 7위 수준임
* 핵심기술 부문은 자율비행이나 기체소음진동 저감 등의 기술 등을 말함.
** ATRI(Air Taxi Readiness Index)는 회계법인 KPMG International에서 발표하는 지수로 전 세계 25여 개국가를 대상으로 eVTOL에 대한 준비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임. 측정항목은 ①소비자 수용성, ② 인프라, ③ 정책·규제, ④기술·혁신 등으로 구성됨.
□ 국토교통부는 2020년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에서 2024년까지 실험·실증을 마친 뒤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일부노선을 상용화하여 2035년에는 이용을 보편화하겠다고 밝힘. 2025년 현재, 국토교통부는 UAM 상용화를 위한 실증사업(K-UAM 그랜드챌린지)을 아직 진행하고 있음. 2023년 8월부터 고흥 한국항공 우주연구원에서 추진한 1단계 실증사업은 9개 중 8개 컨소시엄 실증이 완료되었고, 2024년 12월부터는 아라뱃길(청라~계양)에서 2단계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장지원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장은 “UAM은 미래 항공교통체계로 우리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지만, 선진국과 기술격차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라면서 “이번 『Data & Law』가 UAM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사회적 관심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힘
[출처] 데이터로 보는 도심항공교통(UAM) - 국회도서관, 『Data & Law』(2025-5호, 통권 제30호) 발간 (2025.06.18.) / 국회도서관 보도자료
□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은 저고도의 공중을 활용한 도시의 항공운송 생태계를 의미함. 기술발달로 도심형 항공기인 ‘전기동력 수직이착륙기(eVTOL: electric Vertical Take-Off&Landing)’와 ‘수직형 이착륙장(버티포트, Vertiport)’이 개발되면서 활주로 없이도 도심 내에서 승객과 화물을 수송하는 항공교통체계의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음
□ 국토교통부는 2020년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K-UAM)을 발표하면서 UAM의 전 세계 시장 규모는 2040년 6,090억 달러, 국내 시장 규모는 109억 달러(약 13조 원)로 형성될 것으로 전망함(2019년 5월 환율기준). 그리고, 국내 산업 파급효과도 16만 명의 일자리 창출, 생산유발 23조 원 및 부가가치유발 11조 원이 있을 것으로 예상함. 또한, 국내에서 UAM이 활성화될 경우 서울 시내 통행시간이 평균 37분에서 9분으로 78% 감축되는 등의 사회적 효과를 기대함
□ 이와 함께, 국토교통부는 국내 UAM 기술 수준은 미국 및 유럽연합(EU)에 비하여 인프라 기술은 79.3% 수준, 핵심기술* 수준은 63.3%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또한,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자료에 따르면 eVTOL에 대한 준비 수준인 ATRI지수**의 우리나라 지수는 총점 34점 중 19.4점으로 주요 선진국 중 7위 수준임
* 핵심기술 부문은 자율비행이나 기체소음진동 저감 등의 기술 등을 말함.
** ATRI(Air Taxi Readiness Index)는 회계법인 KPMG International에서 발표하는 지수로 전 세계 25여 개국가를 대상으로 eVTOL에 대한 준비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임. 측정항목은 ①소비자 수용성, ② 인프라, ③ 정책·규제, ④기술·혁신 등으로 구성됨.
□ 국토교통부는 2020년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에서 2024년까지 실험·실증을 마친 뒤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일부노선을 상용화하여 2035년에는 이용을 보편화하겠다고 밝힘. 2025년 현재, 국토교통부는 UAM 상용화를 위한 실증사업(K-UAM 그랜드챌린지)을 아직 진행하고 있음. 2023년 8월부터 고흥 한국항공 우주연구원에서 추진한 1단계 실증사업은 9개 중 8개 컨소시엄 실증이 완료되었고, 2024년 12월부터는 아라뱃길(청라~계양)에서 2단계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장지원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장은 “UAM은 미래 항공교통체계로 우리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지만, 선진국과 기술격차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라면서 “이번 『Data & Law』가 UAM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사회적 관심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힘
[출처] 데이터로 보는 도심항공교통(UAM) - 국회도서관, 『Data & Law』(2025-5호, 통권 제30호) 발간 (2025.06.18.) / 국회도서관 보도자료
목차
목차 1
데이터로 보는 도심항공교통(UAM) / 최경원 1
[요약] 1
도심항공교통 개념도 1
전기동력 수직이착륙기(eVTOL)의 종류 1
UAM 시장 전망 및 효과 2
국내 UAM 기술현황 2
국내 UAM 정책현황 3
국내 UAM 수용성 3
소음 및 안전 대책 4
관련 법률 4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데이터로 보는 도심항공교통(U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