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와 조지 W. 부시 연구소(George W. Bush Institute)는 17일 북한 주민 100명 인터뷰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 「봉쇄된 국경 너머: 북한의 코로나19 경험 관찰(BEHIND SHUTTERED BORDERS : A view into North Korea’s COVID-19 experiences)」을 발표함
ㅇ 인터뷰는 봉쇄 완화 이후인 2023년 9∼12월 여성 60명, 남성 40명을 대상으로 실시됨. 설문 수행 주체에 대해선 '북한에서 신중하고 세심한 설문조사를 관리한 성공적인 실적을 가진 기관과 파트너십을 맺었다'라고만 설명함
□ 보고서는 북한 주민 100명을 상대로 인터뷰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북한 정부가 팬데믹 관련 정보를 의도적으로 은폐하고 북한 주민과 외부에 허위 사실을 알렸다고 밝힘
ㅇ 보고서는 '코로나19로 발병 및 사망은 2022년 5월 첫 공식 발병 발표 이전인 2020년부터 북한 내에 광범위하게 있었다'며 '2020년 위기 초기부터 외부에 팬데믹 규모에 대해 진실을 말하고 국제적 도움을 받아들였다면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함
ㅇ 또한 '2022년 5월 이전 시민들은 백신에 사실상 접근할 수 없었고, 항바이러스 약물도 없었으며, 개인보호장비 공급도 최소한이었다'며 '중앙정부가 본질적으로 모든 책임을 회피하고 주민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내버려 두는 식으로 팬데믹 위기에 대처했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비판함
□ 처벌이나 봉쇄 조치의 두려움 탓에 지방정부나 개인 차원에서 발병 사실을 상부에 보고하지 않고 덮기도 했다고 보고서는 언급함. 북한 정권이 '코로나 청정국'을 대외적으로 알린 상황에서 의심 사례를 보고할 경우 처벌 받을 수 있다고 두려워했다는 것
ㅇ 또한 발병 보고를 하더라도 상부로부터 지원책은 없이 강도 높은 봉쇄 조치만 내려져 고생만 가중될 게 뻔했기 때문에 의사나 지방정부 공무원 등이 의심 사례를 기록하지 않았다고 함. 한 증언자는 '코로나19로 죽었다는 것을 알면서도 다른 질병으로 죽었다고 말하는 게 더 유리하다'며 '살아있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격리돼 더 고생하는 것이 뻔하기 때문'이라고 말함
□ 연구진은 검사 체계가 부재하고 당국도 정확한 정보를 알리지 않는 상황에서 설문 응답자들이 보고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이 실제 바이러스 확진 판정에 기반한다기보다는 개인의 가정에 근거한다고 연구 한계를 언급하면서도 '이들은 여전히 북한 역사상 가장 극단적인 고립 기간 일반 북한 주민들이 겪은 경험에 대한 첫 번째 통찰을 제공한다'라고 말함
ㅇ 보고서는 '북한의 공식 성명이나 데이터는 액면 그대로 믿지 말아야 하며 모든 것을 검증해야 한다'며 '북한 정부가 거부할 가능성이 높더라도, 필요할 때 계속해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강조함
[출처] 美싱크탱크 '北 '코로나 청정국' 발표는 거짓…초기부터 확산' (2025.06.18.) / 연합뉴스
ㅇ 인터뷰는 봉쇄 완화 이후인 2023년 9∼12월 여성 60명, 남성 40명을 대상으로 실시됨. 설문 수행 주체에 대해선 '북한에서 신중하고 세심한 설문조사를 관리한 성공적인 실적을 가진 기관과 파트너십을 맺었다'라고만 설명함
□ 보고서는 북한 주민 100명을 상대로 인터뷰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북한 정부가 팬데믹 관련 정보를 의도적으로 은폐하고 북한 주민과 외부에 허위 사실을 알렸다고 밝힘
ㅇ 보고서는 '코로나19로 발병 및 사망은 2022년 5월 첫 공식 발병 발표 이전인 2020년부터 북한 내에 광범위하게 있었다'며 '2020년 위기 초기부터 외부에 팬데믹 규모에 대해 진실을 말하고 국제적 도움을 받아들였다면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함
ㅇ 또한 '2022년 5월 이전 시민들은 백신에 사실상 접근할 수 없었고, 항바이러스 약물도 없었으며, 개인보호장비 공급도 최소한이었다'며 '중앙정부가 본질적으로 모든 책임을 회피하고 주민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내버려 두는 식으로 팬데믹 위기에 대처했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비판함
□ 처벌이나 봉쇄 조치의 두려움 탓에 지방정부나 개인 차원에서 발병 사실을 상부에 보고하지 않고 덮기도 했다고 보고서는 언급함. 북한 정권이 '코로나 청정국'을 대외적으로 알린 상황에서 의심 사례를 보고할 경우 처벌 받을 수 있다고 두려워했다는 것
ㅇ 또한 발병 보고를 하더라도 상부로부터 지원책은 없이 강도 높은 봉쇄 조치만 내려져 고생만 가중될 게 뻔했기 때문에 의사나 지방정부 공무원 등이 의심 사례를 기록하지 않았다고 함. 한 증언자는 '코로나19로 죽었다는 것을 알면서도 다른 질병으로 죽었다고 말하는 게 더 유리하다'며 '살아있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격리돼 더 고생하는 것이 뻔하기 때문'이라고 말함
□ 연구진은 검사 체계가 부재하고 당국도 정확한 정보를 알리지 않는 상황에서 설문 응답자들이 보고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이 실제 바이러스 확진 판정에 기반한다기보다는 개인의 가정에 근거한다고 연구 한계를 언급하면서도 '이들은 여전히 북한 역사상 가장 극단적인 고립 기간 일반 북한 주민들이 겪은 경험에 대한 첫 번째 통찰을 제공한다'라고 말함
ㅇ 보고서는 '북한의 공식 성명이나 데이터는 액면 그대로 믿지 말아야 하며 모든 것을 검증해야 한다'며 '북한 정부가 거부할 가능성이 높더라도, 필요할 때 계속해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강조함
[출처] 美싱크탱크 '北 '코로나 청정국' 발표는 거짓…초기부터 확산' (2025.06.18.) / 연합뉴스
목차
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3
HOW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3
WHAT WE FOUND 6
POLICY AND RESEARCH IMPLICATIONS 21
CONCLUSION 23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BEHIND SHUTTERED BORDERS : A view into North Korea’s COVID-19 experiences
(봉쇄된 국경 너머 : 북한의 코로나19 경험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