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KINU 북한 동향 (2025년 상반기)

목차

표제지 1

목차 4

Ⅰ. 정치 8

1. 김정은 연설ㆍ담화 정치 부문 주요 내용 8

2. 김정은 공개 활동 특징 9

3. 구축함 진수 실패 15

4. 최고인민회의 법 제정 및 개정 현황 16

Ⅱ. 군사 19

1. 무기체계 및 군수 관련 활동 증가 추세 유지 19

2.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비핵화 반응 및 새로운 국방력 강화계획 언급 25

3. 북한군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 및 러북 군사협력 공식화 27

4. 제1공군사단 비행연대 방문 통해 항공 및 반항공 무기체계 과시 32

5. 다목적 구축함 진수 및 함상 화력체계 과시 41

Ⅲ. 대남 48

1. 대남 오물풍선 살포 및 확성기 방송 중지 48

Ⅳ. 대외 49

1. 러시아-북한 간 협력 심화 49

2. 대미 비난 담화 51

3. 중국-북한 간 교류 활동 53

4. 북한-글로벌 사우스 외교 활동 54

Ⅴ. 경제 56

1. 인민경제계획 수행 동향 56

2. 《지방발전 20×10 정책》 수행 동향 57

3. 러북 경제 협력 심화 동향 59

Ⅵ. 사회문화 61

1. 화성지구 건설 61

2. ICT 기반 인프라 구축 동향 64

3. 유네스코 등재 65

〈표 Ⅱ-1〉 북한의 2021~2025년(상반기) 국방력발전 5개년계획 세부과업부문 수행 현황 20

〈표 Ⅱ-2〉 김정은의 공개 군수공장 방문 보도 이력 23

〈표 Ⅱ-3〉 세르게이 쇼이구 서기장 방북 당시 보도 내용 30

〈표 Ⅱ-4〉 전투공병과 일반 공병대(건설 전담병력)의 역할 31

〈표 Ⅱ-5〉 미국 AMRAAM과 중국의 PL-12 제원 35

〈표 Ⅱ-6〉 GBU-39 SDB와 GBU-53/B SDB-II 제원 37

〈표 Ⅱ-7〉 다목적 구축함 〈최현〉호 식별 화력체계 42

〈그림 Ⅰ-1〉 2025년 상반기, 김정은 공개 활동 현황 11

〈그림 Ⅰ-2〉 2025년 상반기, 김정은 공개 활동 주요 특징 13

〈그림 Ⅱ-1〉 북한의 2021~2025년 연도별 상반기 무기 및 군수 관련 활동 건수 20

〈그림 Ⅱ-2〉 공대공 미사일 공개 버전 34

〈그림 Ⅱ-3〉 미국 AIM-120, 중국 PL-12, 북한 공대공 미사일 비교 35

〈그림 Ⅱ-4〉 북한이 공개한 정밀활동유도폭탄 2종 36

〈그림 Ⅱ-5〉 북한이 공개한 정밀활동유도폭탄 2종과 유사 미국 모델 37

〈그림 Ⅱ-6〉 북한이 공개한 무인기 소멸 작전 및 탱크병 대항훈련 경기 38

〈그림 Ⅱ-7〉 북한이 공개한 Su-25 폭탄 투하 및 북한 보유 Su-25K 39

〈그림 Ⅱ-8〉 〈샛별-9〉와 신형 장거리 정밀활동유도폭탄 39

〈그림 Ⅱ-9〉 〈최현〉호 발사 초음속순항미사일 추정체와 러시아의 지르콘 미사일 43

〈그림 Ⅱ-10〉 북한이 공개했던 〈별찌〉 대공미사일 형상 44

〈그림 Ⅱ-11〉 〈최현〉호 발사 전략순항미사일 2종 44

〈그림 Ⅱ-12〉 〈최현〉호 함상 주포와 이탈리아 127mm 함포 비교 45

〈그림 Ⅱ-13〉 〈최현〉호 후미 및 측면에 장착된 근접방어무기체계(CIWS) 46

〈그림 Ⅴ-1〉 《지방발전 20×10 정책》 2차 연도 사업지 58

〈그림 Ⅵ-1〉 평양 5만 세대 살림집 건설 계획 (2021~2025) 63

해시태그

#남북관계 # 김정은 # 북러군사협력 # 북한경제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KINU 북한 동향 (2025년 상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