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임금과 노동생산성 추이, 그리고 근로시간 단축의 영향

목차

표제지 1

목차 1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1. 배경 2

2. 노동생산성과 임금 추이 분석의 필요성 3

3. 법인부문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 4

4. 포괄성 기준으로 자료 선정 5

Ⅱ. 분석 5

1. 연간 노동생산성과 연간 임금의 추이 비교 5

1) 측정 방식 5

2) 추이 분석 6

3) 해석 7

2. 법인 부가가치와 피용자보수의 추이 비교 8

3. 산업별 연간 노동생산성과 연간 임금 분석 9

4. 임금과 노동생산성 간 괴리와 변동성 10

5. 기업 수익성에 대한 영향 분석 12

1) 기업의 노동집약도와 기업성과 12

2) 기업 수익성에 대한 회귀분석 14

Ⅲ. 결론 및 시사점 16

1. 결과 요약 16

1) 임금-노동생산성 증가율 간 괴리 16

2) 노동집약적 기업의 수익성 악화 17

2/3. 시사점 17

참고문헌 18

[표 1] 제도부문별 비중의 추이와 실질증가율: 국민계정 5

[표 2] 연간 노동생산성, 임금, 근로시간의 연평균 증가율: 법인부문, 명목기준 6

[표 3] 법인 부가가치 및 피용자보수의 추이: 명목기준 9

[표 4] 임금 및 노동생산성 증가율: 전체 산업 및 제조업, 영리법인, 명목, 연평균 9

[표 5] 수익률 고정효과 회귀분석: 기업, 제조업 및 비제조업 표본, 2011-2022 15

[그림 1] 연간 노동생산성 국제 비교: 취업자 1인당 GDP(2023년) 3

[그림 2] 제도부문별 부가가치 비중과 실질 부가가치의 추이: 국민계정 4

[그림 3] 연간 노동생산성과 임금의 추이: 법인부문, 임금근로자, 명목 6

[그림 4] 연간 노동생산성, 임금, 근로시간의 연평균 증가율: 법인부문, 임금근로자 7

[그림 5] 법인 부가가치 및 피용자보수의 추이: 명목, 2000=1 8

[그림 6] 임금 및 노동생산성 증가율: 영리법인, 명목, 연평균 9

[그림 7] 산업별 임금 및 노동생산성 증가율: 영리법인, 명목 10

[그림 8] 산업별 임금, 고용,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변동계수: 명목, 2010~2023 11

[그림 9] 산업별 초과 노동생산성 변동성과 초과 임금 증가율 간의 상관관계: 2010-2023 12

[그림 10] 노동집약적 기업군과 나머지 기업군의 ROA 평균 및 표준편차: 2018년 전후, 제조업 13

[그림 11] 대기업군과 중기업군 간 ROA 평균비교: 2018년 전후, 제조업 14

해시태그

#노동생산성 # 근로시간단축 # 주4.5일제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임금과 노동생산성 추이, 그리고 근로시간 단축의 영향